동양고전종합DB

周易正義(3)

주역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역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하니 利貞하니라
[疏]正義曰:兌, 說也, 說卦曰“說萬物者, 莫說乎澤.” 以兌是象澤之卦, 故以兌爲名.
澤以潤生萬物, 所以萬物皆說. 施於人事, 猶人君以恩惠養民, 民无不說也.
惠施民說, 所以爲亨. 以說說物, 恐陷諂邪, 其利在於貞正. 故曰“兌, 亨, 利貞.”
彖曰 兌 說也 剛中而柔外하여 說以利貞이라
[注]說而違剛則諂이요 剛而違說則暴 剛中而柔外 所以說以利貞也 剛中故 利貞이요 柔外故 說亨이라
[疏]正義曰:‘兌 說也’者, 訓卦名也.
外雖柔說, 而內德剛正, 則不畏邪諂. 內雖剛正, 而外迹柔說, 則不憂侵暴. 只爲剛中而柔外, 中外相濟, 故得說亨而利貞也.
是以 順乎天而應乎人하여
[注]天 剛而不失說者也
[疏]正義曰:廣明說義合於天人. 天爲剛德而有, 是剛而不失其說也.
今說以利貞, 是上順乎天也. 人心說於惠澤, 能以惠澤說人, 是下應乎人也.
說以先民하면 民忘其勞하고 說以犯難하면 民忘其死하나니 說之大 民勸矣哉인저
[疏]正義曰:說以先民民忘其勞以下, 歎美說之所致, 亦申明應人之法,
先以說豫撫民, 然後使之從事, 則民皆竭力, 忘其從事之勞, 故曰“說以先民, 民忘其勞”也.
‘說以犯難 民忘其死’者, 先以說豫勞民, 然後使之犯難, 則民皆授命, 忘其犯難之死, 故曰“說以犯難, 民忘其死”也.
施說於人, 所致如此, 豈非說義之大, 能使民勸勉矣哉. 故曰“說之大, 民勸矣哉.”
象曰 麗澤 君子以朋友講習하나니라
[注]麗 猶連也 施說之盛 莫盛於此
[疏]正義曰:‘麗澤 兌’者, 兩澤相連, 潤說之盛, 故曰“麗澤, 兌”也.
‘君子以朋友講習’者, 同門曰朋, 同志曰友, 朋友聚居, 講習道義, 相說之盛, 莫過於此也. 故君子象之, 以朋友講習也.
初九 和兌하니라
[注]居兌之初하여 應不在一하여 无所黨係하니 和兌之謂也 說不在諂하니 履斯而行이면 未見有疑之者하니 吉其宜矣
[疏]正義曰:初九居兌之初, 應不在一, 无所私說, 說之和也. 說物以和, 何往不吉, 故曰“和兌, 吉”也.
象曰 和兌之吉 行未疑也일새라
九二 孚兌하여야 悔亡하니라
[注]說不失中하여 有孚者也 失位而說 孚吉이라야 乃悔亡也
[疏]正義曰:九二說不失中, 有信者也, 說而有信, 則吉從之, 故曰“孚兌, 吉”也.
然履失其位, 有信而吉, 乃得亡悔, 故曰“孚兌, 吉, 悔亡”也.
象曰 孚兌之吉 信志也
[注]其志信也
[疏]正義曰:‘信志也’者, 失位而得吉, 是其志信也.
六三 來兌하니라
[注]以陰柔之質 履非其位하여 來求說者也 非正而求說 邪佞者也
[疏]正義曰: 而以不正來說, 佞邪之道, 故曰“來兌, 凶”也.
象曰 來兌之凶 位不當也일새라
[疏]正義曰:‘位不當’者, 由位不當, 所以致凶也.
九四 商兌未寧이니 介疾有喜리라
[注]商 商量裁制之謂也 隔也 三爲佞說하니 將近至尊이라
四以剛德으로 裁而隔之하여 匡內制外하니 是以未寧也 處於幾近하여 閑邪介疾하니 宜其有喜也
[疏]正義曰:‘商兌未寧’者, 商, 商量裁制之謂也. 夫佞邪之人, 國之疾也, 三爲佞說, 將近至尊.
故四以剛德, 裁而隔之, 使三不得進, 匡內制外, 未遑寧處, 故曰“商兌未寧.”
象曰 九四之喜 有慶也
[疏]正義曰:‘有慶’者, 四能匡內制外, 介疾除邪, 此之爲喜, 乃爲至尊所善, 天下蒙賴, 故言“有慶”也.
九五 孚于剝이니 有厲
[注]比於上六하여 而與相得하니 處尊正之位하여 不說信乎陽하고 而說信乎陰 孚于剝之義也 剝之爲義 小人道長之謂
九五, 處尊正之位, 下无其應, 比於上六, 與之相得, 是說信於小人, 故曰“孚于剝.” 信而成剝, 危之道也, 故曰“有厲.”
象曰 孚于剝 位正當也
[注]以正當之位 信於小人而疏君子 曰 位正當也라하니라
上六 引兌
[注]以夫陰質 最處說後하니 靜退者也 必見引然後 乃說也
象曰 上六引兌 未光也일새라
[疏]正義曰:‘未光也’者, 雖免躁求之凶, 亦有後時之失, 所以經无吉文, 以其道未光故也.


兌는 형통하니, 貞함이 이롭다.
正義曰:‘兌’는 기뻐함이니, 〈說卦傳〉에 “萬物을 기쁘게 하는 것은 못[澤]보다 더 기쁜 것이 없다.”라고 하였으니, 兌卦는 못을 형상한 卦이다. 그러므로 ‘兌’로 卦의 이름을 삼은 것이다.
못은 만물을 적셔주어 자라게 하니, 이 때문에 萬物이 모두 기뻐하는 것이다. 이것을 사람의 일에 베풀면 人君이 은혜를 가지고 백성을 길러주어서 백성들이 기뻐하지 않는 이가 없는 것과 같다.
은혜를 베풀어 백성들이 기뻐함은 형통함이 되는 이유이다. 기쁨으로써 남을 기쁘게 하면 아첨함과 간사함에 빠질까 염려되므로 그 이로움이 貞正함에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兌는 형통하니, 貞함이 이롭다.”라고 한 것이다.
〈彖傳〉에 말하였다. “兌는 기뻐함이니, 剛이 中에 있고 柔가 밖에 있어서 기뻐하되 貞함이 이롭다.
기뻐하면서 剛함을 어기면 아첨이고 剛하면서 기쁨을 어기면 포악함이니, 剛이 中에 있고 밖이 유순함은 기뻐하되 貞함이 이로운 까닭이다. 剛이 中에 있으므로 貞함이 이롭고, 柔가 밖에 있으므로 기뻐하여 형통한 것이다.
正義曰:[兌 說也] 卦의 이름을 訓한 것이다.
[剛中而柔外 說以利貞] 이는 九二와 九五가 剛으로서 中에 있고 上六과 六三이 柔로서 밖에 처함을 가지고 ‘兌는 형통하니 貞함이 이로움’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밖이 비록 유순하고 기뻐하나 안의 德이 剛正하면 간사함과 아첨함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안이 비록 剛正하나 밖의 자취가 부드럽고 기뻐하면 침해하고 포악함을 근심하지 않는다. 다만 剛이 中에 있고 柔가 밖에 있기 때문에 中과 밖이 서로 구제함이 된다. 그러므로 ‘기뻐하되 형통하고 貞함이 이로움’을 얻는 것이다.
이 때문에 하늘에 順하고 사람에게 應하여,
하늘은 剛하면서 기쁨을 잃지 않는 자이다.
正義曰:기뻐하는 뜻이 하늘과 사람에 부합함을 넓혀 밝힌 것이다. 하늘은 剛한 德이 되는데 柔로 다스림이 있으니, 이는 剛하면서 기쁨을 잃지 않는 것이다.
지금 기뻐하되 貞함이 이로움은 위로 하늘에 순한 것이요, 人心이 惠澤을 기뻐하니 능히 혜택으로써 남을 기쁘게 함은 이는 아래로 사람에 應하는 것이다.
기쁨으로써 백성에게 먼저 하면 백성들이 수고로움을 잊고, 기쁨으로써 難을 범하면 백성들이 그 죽음을 잊나니, 기쁨이 큼에 백성들이 권면되도다.”
正義曰:‘說以先民 民忘其勞’ 이하는 기쁨이 이루는 바[所致]를 탄미한 것이고, 또한 사람에게 應하는 법을 거듭 밝힌 것인바,
먼저 기쁨으로써 백성을 어루만진 뒤에 그들로 하여금 일을 따르게 하면 백성들이 모두 힘을 다하여 그 일을 따르는 수고로움을 잊게 된다. 그러므로 “기쁨으로써 백성에게 먼저 하면 백성들이 수고로움을 잊는다.”라고 한 것이다.
[說以犯難 民忘其死] 먼저 기쁨으로써 백성들을 위로한 뒤에 그들로 하여금 難을 犯하게 하면 백성들이 모두 목숨을 바쳐서 難을 犯하는 죽음을 잊게 된다. 그러므로 “기쁨으로써 難을 범하면 백성들이 그 죽음을 잊는다.”라고 한 것이다.
기쁨을 남에게 베풀면 그 이루는 바가 이와 같으니, 어찌 기쁨의 뜻이 큰 것이 아니겠는가. 능히 백성들로 하여금 권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쁨이 큼에 백성들이 권면되도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連해 있는 못이 兌卦이니, 君子가 보고서 朋友간에 講習한다.”
麗는 連과 같으니, 기쁨을 베푸는 盛함이 이보다 더 盛한 것이 없다.
正義曰:[麗澤 兌] ‘麗’는 連과 같으니, 두 못이 서로 連해 있음은 적셔주고 기쁘게 함이 盛한 것이다. 그러므로 “連해 있는 못이 兌卦이다.”라고 한 것이다.
[君子以朋友講習] 同門을 ‘朋’이라 하고 同志를 ‘友’라 하니, 朋友가 모여 거처하면서 道義를 講習함은 서로 기뻐함의 盛함이 이보다 더한 것이 없다. 그러므로 군자가 이것을 본받아서 붕우간에 講習하는 것이다.
初九는 和하여 기뻐함이니, 吉하다.
兌의 처음에 거하여 應이 한곳에 있지 않아서 黨에 매여 있는 바가 없으니, 和하여 기뻐함을 이른다. 기쁨이 아첨에 있지 않으니, 이것을 밟고서 가면 의심하는 자가 있음을 보지 못할 것이니, 吉함이 당연하다.
正義曰:初九가 兌의 처음에 거하여 應이 한곳에 있지 않아서 사사로이 기뻐하는 바가 없으니, 기뻐하여 和한 것이다. 남을 기쁘게 하기를 和로써 하면 어디로 간들 吉하지 않겠는가. 그러므로 “和하여 기뻐함이니, 吉하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和兌의 吉함은 행함에 의심하지 않기 때문이다.”
正義曰:[行未疑] 기뻐함이 아첨이 되지 않으니, 이것을 밟고서 가면 의심하는 자를 보지 못하니, 이 때문에 吉함을 얻는 것이다.
九二는 信實한 기쁨이니 吉하여야 뉘우침이 없어진다.
기뻐하면서 中을 잃지 않아서 信實함이 있는 자이니, 正位를 잃고 기뻐함은 신실하여 吉하여야 비로소 뉘우침이 없어질 수 있는 것이다.
正義曰:九二가 기뻐하면서 中을 잃지 않아서 信實함이 있는 자이니, 기뻐하면서 신실함이 있으면 吉함이 뒤따른다. 그러므로 “신실한 기쁨이니 吉하다.”라고 한 것이다.
그러나 밟은 것이 正位를 잃었으니, 신실함이 있어 吉하여야 비로소 뉘우침이 없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信實한 기쁨이니 吉하여야 뉘우침이 없어진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孚兌의 吉함은 뜻이 信實한 것이다.”
그 뜻이 信實한 것이다.
正義曰:[信志也] 正位를 잃었으나 吉함을 얻었으니, 이는 뜻이 信實한 것이다.
六三은 와서 기뻐함이니, 凶하다.
陰柔의 자질로 밟은 것이 正位가 아니면서 와서 기쁨을 구하는 자이니, 바르지 않으면서 기쁨을 구함은 간사하고 아첨하는 자이다.
正義曰:六三은 陽의 자리인데, 陰이 와서 여기에 거하였으니, 이는 나와서 기쁨을 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와서 기뻐한다.”라고 말한 것이다. 不正함으로써 와서 기뻐함은 아첨하고 간사한 道이다. 그러므로 “와서 기뻐함이니, 凶하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來兌의 凶함은 자리가 마땅하지 않기 때문이다.”
正義曰:[位不當] 자리가 마땅하지 않음에 연유하니, 이 때문에 흉함을 이룬 것이다.
九四는 기뻐함을 헤아려 편안하지 못하니, 병을 막으면 기쁨이 있으리라.
‘商’은 商量하여 裁制함을 이른다. ‘介’는 막음이다. 六三은 아첨하고 기뻐함이 되는데 장차 至尊(九五)에 가까워진다.
그러므로 九四가 剛한 德을 가지고 裁制하여 막아서 안을 바로잡고 밖을 裁制하니, 이 때문에 편안하지 못한 것이다. 가까운 곳에 처하여 간사함을 막고 병을 차단하니, 그 기쁨이 있음이 당연하다.
正義曰:[商兌未寧] ‘商’은 商量하여 裁制함을 이른다. 아첨하고 간사한 사람은 나라의 병이니, 六三은 아첨하고 기뻐함이 되는데 장차 至尊에 가까워진다.
그러므로 九四가 剛한 德을 가지고 裁制하여 막아서 六三으로 하여금 나오지 못하게 하여 안을 바로잡고 밖을 裁制해서 편안히 거처할 겨를이 없다. 그러므로 “헤아리고 기뻐하여 편안하지 못하다.”라고 한 것이다.
거처가 至尊에 가까워 간사함을 막고 병을 막으면 기쁨이 있음이 당연하다. 그러므로 “병을 막으면 기쁨이 있으리라.”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九四의 기쁨은 福慶이 있는 것이다.”
正義曰:[有慶] 九四가 능히 안을 바로잡고 밖을 裁制하여 병을 막아 간사함을 제거하니, 이것의 기쁨은 바로 至尊이 좋게 여기는 바가 되어서 天下가 그 혜택을 입는다. 그러므로 “福慶이 있다.”라고 한 것이다.
九五는 剝(소인)을 믿으니, 위태로움이 있다.
上六과 가까이 있어서 서로 뜻이 맞으니, 높고 바른 자리에 처하여 陽을 기뻐하고 믿지 않고서 陰을 기뻐하고 믿음은 剝을 믿는 뜻이다. 剝의 뜻은 小人의 道가 자람을 이른다.
正義曰:[剝] 小人의 道가 자라서 君子의 正道를 사라지게 한다. 그러므로 소인을 일러 ‘剝’이라 한 것이다.
九五가 높고 바른 자리에 처하여 아래에 應이 없고 上六에 가까이 있어 上六과 더불어 서로 뜻이 맞으니, 이는 소인을 기뻐하고 믿는 것이다. 그러므로 “剝을 믿는다.”라고 한 것이다. 믿어서 剝을 이룸은 위태로운 道이다. 그러므로 “위태로움이 있다.”라고 한 것이다.
“‘剝을 믿음’은 자리가 바르고 합당한 것이다.”
바르고 합당한 자리로서 小人을 믿고 君子를 소원히 한다. 그러므로 “자리가 바르고 합당하다.”라고 한 것이다.
正義曰:[位正當] 바르고 합당한 자리로서 마땅히 君子를 신임해야 하는데 小人을 믿는다. 그러므로 바르고 합당한 자리를 가지고 책망한 것이다.
上六은 이끌어주어야 기뻐한다.
陰의 자질로 기뻐함의 가장 뒤에 처하였으니, 고요히 물러가는 자이다. 그러므로 반드시 이끌어줌을 받은 뒤에야 비로소 기뻐하는 것이다.
正義曰:上六이 陰柔의 자질로 兌의 맨 뒤에 있으니, 이는 스스로 고요히 물러가는 자여서 스스로 나와 기쁨을 구하는 六三과는 같지 않으니, 반드시 타인이 이끌어준 뒤에야 비로소 기뻐한다. 그러므로 “이끌어주어야 기뻐한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上六이 이끌어주어야 기뻐함은 光明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正義曰:[未光也] 비록 조급히 구하는 凶함을 면하였으나 또한 때에 뒤늦은 실수가 있으니, 이 때문에 經文에 吉하다는 글이 없는 것인바, 그 道가 光明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역주
역주1 剛中而柔外……釋兌亨利貞之義也 : 程伊川은 ‘剛中而柔外 說以利貞’을 아래 句에 연결시켜 해석하였는바, ≪程傳≫은 다음과 같다. “陽剛이 中에 거하였으니 中心이 성실한 象이요, 柔爻가 밖에 있으니 남을 대하기를 和柔하게 하는 象이다. 그러므로 기뻐하고 능히 貞한 것이다. ‘利貞’은 기뻐하는 道는 마땅히 正道여야 하는 것이다. 卦에 剛中의 德이 있으니, 貞할 수 있는 자이다. 기뻐하고 貞하니, 이 때문에 위로 天理에 순하고 아래로 人心에 응하는 것이니, 기뻐하는 道에 지극히 바르고 지극히 善한 것이다.[陽剛居中 中心誠實之象 柔爻在外 接物和柔之象 故爲說而能貞也 利貞 說之道宜正也 卦有剛中之德 能貞者也 說而能貞 是以上順天理 下應人心 說道之至正至善者也]”
역주2 柔克 : 洪範九疇의 여섯 번째인 三德 중의 하나로, ≪書經≫ 〈周書 洪範〉에 “여섯 번째 三德은, 첫 번째는 정직함이요 두 번째는 剛으로 다스림이요 세 번째는 柔로 다스림이니, 平康은 正直이고 彊하여 순하지 않은 자는 剛으로 다스리고 和하여 순한 자는 柔로 다스리며, 沈潛한 자는 剛으로 다스리고 高明한 자는 柔로 다스린다.[六三德 一曰正直 二曰剛克 三曰柔克 平康正直 彊弗友剛克 燮友柔克 沈潛剛克 高明柔克]”라고 보이는바, 여기서는 ‘高明柔克’을 가리킨 것으로 보인다.
역주3 麗 猶連也 : 王弼과 孔穎達은 ‘麗’를 ‘連’으로 해석하였으나, 程伊川과 朱子는 麗를 ‘붙어있음[附麗]’의 뜻으로 해석하였는바, ‘麗’의 古字는 ‘丽’로 되어 있으며, 八卦의 離☲에 있는 가운데의 두 획은 사람의 눈이 얼굴에 붙어 있는 것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連’에도 물건 두 개가 연결되어 있는 象이 있어 大意에는 큰 차이가 없으나 附麗의 뜻이 더욱 분명한바, ≪程傳≫은 다음과 같다. “麗澤은 두 못이 서로 붙어 있는 것이다. 두 못이 서로 붙어 있어 서로 적셔주니, 서로 滋益함이 있는 象이다.[麗澤 二澤相附麗也 兩澤相麗 交相浸潤 互有滋益之象]”
역주4 ([疏]) : 저본에는 [疏]가 있으나, 이 내용은 王弼의 注이므로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5 行未疑者……所以得吉也 : 程伊川은 〈象傳〉에서 ‘行未疑也’라고 한 이유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구하는 것이 있어서 和하면 간사함과 아첨함에 해당되는데, 初爻는 때에 따라 순히 처하여 마음에 매인 바가 없으니 위하는(목적하는) 바가 없고 和함으로써 할 뿐이다. 이 때문에 吉한 것이다. 〈象傳〉에서는 또 初九가 기뻐함에 처하고 아랫자리에 있으며 中正이 아니기 때문에 ‘행함에 의심스러울 것이 없다.’고 말하였으니, 행함에 의심스러울 것이 없음은 잘못이 있음을 발견하지 못함을 말한 것이니, 만일 中正을 얻었다면 이러한 말이 없을 것이다. 기뻐함은 中正을 근본으로 삼으니, 爻辭에서는 다만 그 뜻만을 말하였고, 〈象傳〉은 이것을 미루어 극진히 한 것이다.[有求而和 則涉於邪諂 初隨時順處 心无所係 无所爲也 以和而已 是以吉也 象又以其處說在下而非中正 故云行未疑也 其行未有可疑 謂未見其有失也 若得中正 則无是言也 說 以中正爲本 爻 直陳其義 象則推而盡之]”
역주6 三爲陽位……故言來兌 : ‘來兌’를 孔穎達은 ‘六三이 陽位인 三의 자리로 와서 기쁨을 구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는데, 程伊川과 朱子는 ‘來’를 ‘六三이 初九와 九二에게 나아가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程傳≫은 다음과 같다. “六三은 陰柔로 中正하지 못한 사람이니, 기뻐하기를 도리대로 하지 않는 자이다. ‘來兌’는 찾아와서 기뻐함을 구하는 것이다. 아래에 있는 陽과 가까우니, 자기 몸을 굽히고 도리가 아닌 짓을 하여 찾아와서 기뻐함을 구하니, 이 때문에 흉한 것이다. 안(아래)으로 옴을 來라 한다. 上下가 모두 陽인데 홀로 안으로 오는 것은 〈初九ㆍ九二와〉 體가 같고 陰의 성질은 아래로 내려오기 때문이니, 道를 잃고 아래로 내려오는 것이다.[六三 陰柔不中正之人 說不以道者也 來兌 就之以求說也 比於在下之陽 枉己非道 就以求說 所以凶也 之內爲來 上下俱陽 而獨之內者 以同體而陰性下也 失道下行也]”
역주7 商兌未寧者……故曰介疾有喜 : 王弼과 孔穎達은 ‘介’를 ‘막음’의 뜻으로 보아 經文을 ‘九四가 剛德으로 六三을 제재하느라 편안하지 못하지만, 나라의 병이 되는 간사한 六三을 막으므로 기쁨을 얻음’의 의미로 해석하였다.
반면 程伊川과 朱子는 ‘介’를 ‘절개와 지조가 있는 사람’으로 보아 經文을 ‘九四가 六三과 九五 사이에서 결단하지 못하고 헤아려 편안하지 못하지만, 志操를 지켜 邪惡을 미워하므로 기쁜 일이 있음’의 의미로 해석하였는바, ≪程傳≫은 다음과 같다. “九四는 위로 中正의 九五를 받들고 아래로 柔邪의 六三을 가까이하였으며, 비록 剛陽이나 처함이 바른 자리가 아니다. 六三은 陰柔이니, 陽이 좋아하는 바이므로 결단하지 못하고 헤아려 편안하지 못하니, 따를 바를 擬議하여 결단하지 못해서 定함이 있지 못한 것이다. 두 사이를 ‘介’라 이르니, 分限이다. 땅의 경계일 경우에는 ‘田’자를 가하였으니(界), 뜻이 바로 이와 같다. 그러므로 사람이 절개와 지킴이 있는 것을 介라 이르니, 만약 介然히 正道를 지켜 사악한 자를 미워하고 멀리하면 기쁜 일이 있을 것이다. 九五를 따름은 正이요, 六三을 좋아함은 邪이다. 九四는 君主와 가까운 자리이니, 만일 剛하고 절개 있게 正道를 지켜서 사악한 자를 미워하고 멀리하면 장차 君主의 신임을 얻어 道를 행해서 福慶이 사람(남)들에게 미칠 것이니, 기쁜 일이 있는 것이다. 九四와 같은 자는 得失이 정해짐이 없고 따르는 바에 매어 있다.[四上承中正之五 而下比柔邪之三 雖剛陽而處非正 三 陰柔 陽所說也 故不能決而商度未寧 謂擬議所從而未決 未能有定也 兩間 謂之介 分限也 地之界則加田 義乃同也 故人有節守 謂之介 若介然守正而疾遠邪惡 則有喜也 從五 正也 說三 邪也 四 近君之位 若剛介守正 疾遠邪惡 將得君以行道 福慶及物 爲有喜也 若四者 得失未有定 繫所從耳]”
역주8 剝者……故謂小人爲剝也 : ‘剝’은 깎임의 뜻으로, 剝卦(䷖)는 아래로부터 陰이 자라나 陽을 깎아 모두 없애는 象인데, 陰은 小人을 상징하고 陽은 君子를 상징하므로 剝에 ‘小人道長 消君子之正’의 의미가 있으며, 因하여 小人을 ‘剝’으로 칭한 것이다.
역주9 位正當者……故以當位責之也 : ‘位正當者’에 대하여 王弼은 분명한 해석이 없으며, 孔穎達은 ‘位正當也’를 책망의 말로 보아 이를 ‘正當한 자리에 있으면서도 小人을 믿는 것에 대하여 책망하는 것’의 의미로 해석하였다.
반면 程伊川과 朱子는 ‘位正當也’를 ‘자리가 바로 그러한 자리(陰柔를 가까이하여 기뻐하는 자리)에 당하였기 때문’의 의미로 해석하였는바, ≪程傳≫은 다음과 같다. “剝을 믿음을 경계한 것은 九五의 처한 자리가 바로 경계해야 하기 때문이다. 陰柔를 매우 가까이하여 서로 기뻐하는 道가 있기 때문에 경계함이 소인을 믿음에 있는 것이다.[戒孚于剝者 以五所處之位 正當戒也 密比陰柔 有相說之道 故戒在信之也]”
역주10 上六以陰柔之質……故曰引兌也 : ‘引兌’를 王弼과 孔穎達은 ‘上六이 물러가는 자여서 남이 이끌어준 뒤에야 기뻐함’의 의미로 보았다.
반면 程伊川은 ‘引兌’를 ‘기쁨을 이끌어 연장함’의 의미로 보았는바, ≪程傳≫은 다음과 같다. “다른 卦는 極에 이르면 변하나 兌는 기뻐함이 되니, 極에 이르면 더욱 기뻐한다. 上六은 기쁨의 주체가 되고 기뻐함의 極에 처하여 기뻐함을 그칠 줄 모르는 자이다. 그러므로 기뻐함이 이미 지극한데 또 이끌어 伸長하는 것이다. 그러나 뉘우침과 허물에 이르지 않음은 어째서인가? 그 기뻐함을 그칠 줄 모름을 말했을 뿐이요, 기뻐하는 바가 善인지 惡인지를 아직 볼 수 없으며, 또 아래로 九五의 中正을 타고 있어 간사하게 기뻐함을 베풀 곳이 없기 때문이다. 六三은 承과 乘이 모두 正이 아니기 때문에 흉함이 있는 것이다.[他卦 至極則變 兌爲說 極則愈說 上六 成說之主 居說之極 說不知已者也 故說旣極矣 又引而長之 然而不至悔咎 何也 曰 方言其說不知已 未見其所說善惡也 又下乘九五之中正 无所施其邪說 六三則承乘皆非正 是以有凶]”
한편 朱子는 ‘引兌’를 ‘九四와 九五를 이끌어 와서 기뻐함’의 의미로 보았는바, ≪本義≫는 다음과 같다. “上六은 기쁨의 주체가 되고 陰으로서 기뻐함의 極에 거하여 아래의 두 陽을 이끌어서 서로 기뻐하나 그 따름을 기필할 수 없다. 그러므로 九五는 마땅히 경계하여야 하는 것이요, 이 爻에서는 吉凶을 말하지 않은 것이다.[上六 成說之主 以陰居說之極 引下二陽 相與爲說 而不能必其從也 故九五當戒 而此爻不言其吉凶]”

주역정의(3) 책은 2019.10.1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