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4)

상서정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予仁하고 能多材多藝하며 能事鬼神이어니와
[傳]我周公 仁能順父하고 又多材多藝하며 能事鬼神이라하니 言可以代武王之意
乃元孫 不若旦 多材多藝하고 不能事鬼神이나 乃命于帝庭하여 敷佑四方하고
[傳]汝元孫 受命于天庭爲天子하여 이니 言不可以死


나는 이 아버지를 따르고, 材力이 많고 技藝가 많으며 귀신을 잘 섬기거니와
周公이 능히 아버지를 따르고, 또 材力이 많고 技藝가 많으며 鬼神을 잘 섬길 수 있다고 하였으니, 武王을 대신할 만하다는 뜻을 말한 것이다.
당신 元孫이 재력이 많고 기예가 많은 만 못하고 귀신을 잘 섬기지 못하지만, 上帝의 뜰에서 天命을 받아, 〈德敎를〉 펴서 사방을 돕고 있고,
당신의 元孫은 하늘의 뜰에서 天命을 받아 天子가 되어, 그 德敎를 펴서 사방을 돕고 있다고 하였으니 죽어서는 안 됨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 宋代 薛肇明은 ‘如’의 뜻으로 보았다.
역주2 : 蔡傳에는 ‘祖考’로 보았다.
역주3 布其德敎 以佑助四方 : 兪樾(≪群經平議≫)은 “枚氏가 ‘敷’를 布의 뜻으로 풀이하고 ‘德敎’자를 더 보태서 그 뜻을 이루었으니, 經의 본뜻이 아니다. ≪史記集解≫에서 馬注의 ‘布其道 以佑助四方’을 인용하였으니, 그 잘못이 또한 枚氏와 같다. ‘敷’란 徧의 뜻을 말한 것이다. ‘佑’는 俗字로 적은 것이므로 마땅히 ‘右’로 적어서 ‘有’로 읽어야 하니, ‘敷佑四方’은 사방을 널리 가졌다는 것이다. 곧 武王이 帝庭에서 명을 받아 사방의 땅을 널리 가져 천하의 주인이 되었음을 말한 것이다.[枚訓敷爲布而增出德敎字 以成其義 非經旨也 史記集解 引馬注曰 布其道 以佑助四方 其失亦與枚同 敷之言徧也 佑乃俗字 當作右而讀爲有 敷佑四方者 普有四方也 言武王受命于帝庭 普有四方 爲天下主也]”라고 하였다.

상서정의(4)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