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4)

상서정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公曰 王其罔害로소니
[傳]公視兆曰 如此兆體 王其無害라하니 言必愈
予小子新命于三王이란대 하리라
[傳]周公言 我小子新受三王之命이란대 武王惟長終是謀周之道리라
能念予一人이셨다
[傳]言武王愈 此所以待 能念我天子事하여 成周道니라


周公이 말씀하였다. “〈이와 같은〉 조짐의 상태는 왕이 해가 없는 법이니,
이 점의 조짐을 살펴보고 말하기를 “이와 같은 조짐의 상태는 가 없는 법이다.”라고 하였으니, 반드시 나을 것임을 말한 것이다.
小子가 세 분 에게 분부를 새로 받아 보건대, 〈武王은〉 이 〈나라를〉 도모하는 〈治道를〉 길이 잘 마무리할 수 있을 것이다.
周公은 말하기를 “나 小子가 세 분 의 분부를 새로 받아 보건대, 武王은 이 나라를 도모하는 治道를 길이 잘 마무리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것이 〈병이 낫기를〉 기다리던 것인데, 우리 한 사람(武王)을 잘 생각해주셨다.
武王의 병이 낫는 일이 바로 기다리던 것이니, 우리 천자의 일을 잘 생각해주어 나라의 治道를 이루게 하기 때문이라고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 兪樾(≪群經平議≫)은 “‘體’자는 一言으로 句를 삼으니, 바로 發語辭로서 慶幸의 뜻을 나타낸 것이다.[體字以一言爲句 乃發語之辭 慶幸之意也]”라고 하였다.
역주2 惟永終是圖 : 蔡傳은 “길이 마무리함을 도모할 것이다.[永終是圖]”로 풀이하였다.
역주3 玆攸俟 : 蔡傳은 윗글에 이른바 “돌아가서 당신의 분부를 기다리겠다.[歸侯爾命]”라고 풀이하였다.

상서정의(4)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