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4)

상서정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大誥爾多邦하고 爾御事하노라
[傳]周公稱成王命하여 順大道以天下衆國하고 及於御治事者 盡及之
○猷 道也 馬本 作大誥繇爾多邦이라하니라
弗弔이라 天降割于我家不少하고
[傳]言周道不至 天下凶害於我家不少라하니 謂三監淮夷竝作難이라
○割 馬本 作害하고 不少 馬讀弗少延爲句
我幼沖人이라
[傳]凶害延大하여 惟累我幼童人注+成王이라하니 言其不可不誅之意
하되 弗造哲迪民康이온
[傳]言子孫承繼祖考無窮大數하여 服行其政하되 而不能爲智道以安人이라 使叛이라하니 先自責이라
知天命


왕께서 이처럼 말씀하였다. “大道를 따라 너희 여러 나라에게 고하고 너희 일을 다스리는 이들에게까지 고유하노라.
周公成王이라고 칭하고서, 大道를 따라 천하의 여러 나라에게 고하고, 일을 다스리는 이들에까지 고하였으니, 모두 고유하였다는 것이다.
○‘’는 의 뜻이다. ‘大誥爾多邦’이 馬本에는 ‘大誥繇爾多邦(너희 여러 나라에게 크게 告由하다.)’로 되어 있다.
나라의 治道가〉 지극하지 못한지라, 하늘이 우리 王家凶害를 내리심이 적지 않고,
나라의 治道가 지극하지 못하기 때문에 하늘이 우리 王家凶害를 내림이 적지 않다고 말한 것이니, 三監淮夷가 아울러 난을 일으킨 것을 이른다.
○‘’이 馬本에는 ‘’로 되어 있고, ‘不少’는 馬融은 ‘弗少延’을 한 로 묶어서 읽었다.
凶害가〉 크게 번져서 나 어린 사람에게 가 미쳤는지라,
凶害가 크게 번져서 나 어린 사람 注+成王이다.에게 가 미쳤다고 하였으니, 그들을 주벌하지 않을 수 없다는 뜻을 말한 것이다.
무궁한 大數를 계승하여 〈그 정사를〉 服行하되, 지혜와 도리를 다하여 백성을 편안하게 하지도 못하거늘,
子孫祖考의 무궁한 大數를 계승하여 그 정사를 服行하되, 능히 지혜와 도리를 다하여 백성을 편안하게 하지도 못했기 때문에 반역을 일으키게 했다는 말이니, 먼저 스스로를 꾸짖는 것이다.
하물며 능히 하늘의 을 아는 데 이른 자라고 할 수 있겠는가.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것도 오히려 하지 못하였는데, 하물며 하늘의 을 아는 데 이른 자라고 할 수 있겠는가라는 것이다.


역주
역주1 王若曰 : 孔安國은 “周公이 成王의 명을 칭한 것이다.[周公稱成王命]”로 풀이하였고, 鄭玄은 “‘王’은 바로 周公이다. 周公이 임금의 일을 攝行하였기 때문에 큰일을 명할 때에는 임시로 ‘王’이라 칭하였다.[王周公也 周公居攝 命大事 則權稱王]”라고 하였는데, 孔穎達은 “오직 ‘名’과 ‘器’만은 남에게 빌려줄 수 없는 것인데, 周公이 스스로 ‘王’이라 칭하였다면 이는 신하 노릇 하지 않은 것이다.[惟名與器不可假人 周公自稱爲王 則是不爲臣矣]”라고 하여 鄭玄을 반박하였다.
林之奇(≪尙書全解≫)는 “정무가 비록 周公에게 總攝되었으나 成王이 위에 天子로 있으니, 호령이 비록 〈周公〉 자신에게서 나간다 하더라도 반드시 王命을 칭해서 고했을 것이다. 그래서 이 經에서 ‘王若曰’이라 칭하게 된 것이다. 鄭康成은 ‘王’은 바로 周公이다.……’라고 했으니, 이 말은 敎令을 해침이 너무 크기 때문에 唐나라 孔氏가 이미 이 점을 변별했다.[政雖總於周公 而成王在上爲天子 號令雖由己出 而必稱王命以告之 此經所以稱王若曰 鄭康成曰 王周公……此言實害敎之大者 唐孔氏旣已辯之矣]”라고 지적하였다.
朱子는 “‘王若曰’의 ‘若’자는 혹 기록한 사람이 그 말을 잃어버리고 추후에 ‘그 뜻이 이와 같았다.’는 식으로 기록한 듯하다.[王若曰若字 或記錄者 失其語而追記其意如此也]”라고만 했을 뿐, ‘王’이 成王인지 周公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蔡沈 역시 ‘王’이 누구를 칭한 것인지는 언급하지 않고, 뒤에 있는 “王曰爾惟舊人(왕께서 말씀하기를 “너희들은 오래된 사람인지라)”에 대한 傳에서 느닷없이 “周公專呼舊臣而告之(周公이 오로지 옛 신하들만을 불러서 고하기를)”라 하여 독자를 당황하게 만들고 있다. ‘王’은 당시 상황을 감안하면 鄭玄을 따라 周公으로 보기 보다는 孔安國을 따라 成王으로 보는 것이 옳을 듯하다.
역주2 猷大 : 孔安國은 ‘猷’를 道의 뜻으로 보아 “大道를 따라 ……에게 고유하노라.”로 풀이하였는데, 孔疏에서 “‘道로써 여러 나라에 고했다.’고 말하면 문장이 편리할 텐데, 이 經에서는 달랑 ‘猷’라고만 말하였다. 옛날 사람의 말은 대부분 전도되게 하였으니, ≪詩經≫에서 ‘谷中’을 ‘中谷’이라 칭한 것과 같은 것이다.”라고 하여 孔傳의 풀이를 이해시키고 있다. 林之奇(≪尙書全解≫)는 ‘猷’는 ‘發語聲’으로, ‘大’는 ‘크게’로 보아 “아! 크게 ……에게 고유하노라.”로 풀이하였는데, 蔡傳은 林之奇를 따랐다.
역주3 : 林之奇(≪尙書全解≫)는 “‘猷’는 發語辭이니, 이를테면 〈堯典〉‧〈舜典〉의 이른바 ‘咨’나 〈甘誓〉‧〈胤征〉의 이른바 ‘嗟’와 같은 것이다. 짐작컨대, 周나라 때에 와서는 發語辭가 변하여 ‘猷’가 되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微子之命〉‧〈多士〉‧〈多方〉에서 모두 ‘王若曰猷’라 말했다.[猷發語之辭 若二典所謂咨 甘誓胤征所謂嗟 竊意至周時 發語之辭 變而爲猷 故微子之命多士多方 皆言王若曰猷]”라고 하였다.
역주4 : 注疏에는 ‘~에게까지’의 뜻으로 보았는데, 林之奇는 ‘及(및)’의 뜻으로 보았다.
역주5 : 岳本에는 ‘告’로 되어 있다.
역주6 [大誥爾多] : 저본에는 없으나, ≪經典釋文≫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7 弗弔……惟我幼沖人 : 蔡傳은 天, 家, 延, 人에 句를 끊고 ‘弔’를 ≪詩經≫ 〈小雅 節南山〉에서 말한 “하늘에게 불쌍히 여김을 받지 못한다.[不弔昊天]”의 弔와 같이 恤(불쌍히 여김)의 뜻으로 보아 “우리가 하늘에게 불쌍히 여김을 받지 못한지라, 하늘이 우리 周나라 王家에 재앙을 내려서 武王이 결국 서거하여 조금도 기다려주지 않으셨으므로 크게 생각하건대 나 어린 임금이[我不爲天所恤 降害於我周家 武王遂喪而不少待也 大思我幼沖之君]”라고 풀이하였다.
역주8 : 古本에는 惟자 밑에 ‘累’가 있다.
역주9 嗣無疆大歷服 : 蔡傳에서는 歷은 曆數, 服은 五服으로 보아 “한없이 큰 王業을 이어받았으나[嗣守無疆之大業]”로 풀이하였다.
역주10 弗造哲迪民康 矧曰其有能格 : 孔傳은 造를 爲로, 哲을 智로, 迪을 道로, 格을 至로 보아 “지혜와 도리를 다하여 백성을 편하게 하지도 못하거늘, 하물며 능히 하늘의 命을 아는 데 이른 자라고 할 수 있겠는가.[不能爲智道以安人 況其有能至知天命者乎]”라고 풀이하고, 孔疏는 孔傳의 ‘至’자 아래에 전치사인 ‘於’자를 넣어 “하물며 능히 하늘의 命을 아는 데에 이른 자라고 할 수 있겠는가.[況其有能至於知天命者乎]”라고 하여 공전의 풀이를 분명하게 알 수 있도록 도왔는데, 蘇軾(≪書傳≫)은 孔疏를 따랐으며, 蔡傳도 哲을 明哲로, 迪은 導로, 格은 ‘格物’의 格으로 보아 “明哲하여 백성을 편안한 곳으로 인도하지도 못하거늘 하물며 하늘의 命을 아는 데 이르렀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弗能造明哲以導民於安康 而況言其能格知天命乎]”라고 하였다.
역주11 安人且猶不能 況其有能至知天命者乎 : 兪樾(≪群經平議≫)은 “≪爾雅≫ 〈釋言〉에 ‘「格」은 「來」의 뜻이다.’고 하였다. ‘格’을 往의 뜻으로 풀이하는 것은 ‘亂’을 治의 뜻으로 풀이하는 예와 같기 때문에 오늘날의 例가 된 것이다. 대개 사물이 이미 온 것을 ‘格’이라 이르고, 사물이 아직 오지 않을 때 내가 가서 맞이하는 것도 ‘格’이라 이른다. ≪春秋左氏傳≫ 僖公 15년 조의 ‘輅秦伯(秦伯을 맞이하려 함)’과 宣公 2년 조의 ‘狂狡輅鄭人(狂狡가 鄭나라 사람을 맞아 싸움)’에 대한 杜注에서 모두 ‘「輅」은 「迎」의 뜻이다.’라고 하였는데, ‘輅’은 곧 ‘格’자이니, ‘格知天命’은 ‘逆知天命’이라 한 것과 같은 것이다. 枚傳에서 ‘至知天命’이라 한 것은 바로 ‘來’자의 뜻 그대로이니, 古訓에 얽매어 능히 변통하지 못한 것이다.[爾雅釋言 格來也 訓格爲往 如亂爲治 故爲今之例 蓋物之旣來 謂之格 物未來而我往逆之 亦謂之格 僖十五年 左傳輅秦伯 宣二年傳 狂狡輅鄭人 杜注竝曰 輅迎也 輅卽格字 格知天命 猶曰逆知天命 枚傳云 至知天命 則仍是來字之義 泥于古訓 不能變通]”라고 하였다.

상서정의(4)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