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4)

상서정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傳] 四國人賢者有十夫 來翼佐我周하여 用撫安武事하여 謀立其功이니 言人事先應이라
○應 應對之應이라
我有大事休 朕卜 幷吉이니라
[傳]大事 戎事也 人謀旣從하고 卜又竝吉하니 所以爲美
[疏]‘曰有’至‘竝吉’
○正義曰:上言爲害不少, 陳欲征之意, 未說武庚之罪. 更復發端言之曰,
今四國叛逆, 有大艱於西土, 注+言作亂於東, 與京師爲難也. 西土之人爲此, 亦不得安靜, 於此人情皆蠢蠢然動.
殷後小國腆腆然之祿父, 大敢紀其王業之次敍, 而欲興復之. 祿父所以敢然者, 上天下威於三叔, 以其流言, 欲下威誅之,
祿父知我周國有此疵病, 而欺惑東國人, 令人不安. 祿父謂人曰 “我殷復.” 望得更爲天子, 反鄙易我周國.
今天下蠢動, 今之明日, 四國民之賢者有十夫, 不從叛逆, 其來爲我翼佐我周,
於是用撫安武事, 謀立其功. 注+明祿父擧事不當, 得賢者叛來投我, 爲我謀用.
是人事先應如此, 則我有兵戎大事, 征伐必休美矣. 人謀旣從, 我卜又竝吉, 是其休也. 注+言往必克敵安民之意, 告衆使知也.
[疏]○傳‘曰語’至‘蠢動’
○正義曰:周公丁寧其事, 而復言, 別加一‘曰’, 語更端也. 下言‘王曰’, 此不言‘王’, 史詳略耳.
四國作逆於東, 京師以爲大艱, 故言“作大難於京師.” ‘西土人亦不安’, 亦如東方見其亂, 不安也.
釋詁云 “蠢, 動也.” 鄭云 “周民亦不定, 其心騷動, 言以兵應之.” 當時京師無與應者, 鄭言妄耳.
[疏]○傳‘言殷’至‘復之’
○正義曰:殷本天子之國, 武庚比之爲小, 故言‘小腆’, ‘腆’是小貌也.
鄭玄云 “腆謂小國也.” 王肅云 “‘腆’, 主也, 殷小主謂祿父也.” ‘大敢紀其王業’, 經紀王業, 望復之也.
[疏]○傳‘天下’至‘疵病’
○正義曰:王肅云 “天降威者, 謂三叔流言, 當誅伐之.” 言誅三叔是天下威也.
釋詁云 “疵, 病也.” 鄭‧王皆云 “知我國有疵病之瑕.”
[疏]○傳‘祿父’至‘無狀’
○正義曰:祿父以父罪滅殷, 身亦當死, 幸得繼其先祀, 宜荷天恩, 反鄙薄輕易周家, 言其不識恩養, 道其罪無狀也.
漢代止有‘無狀’之語, 蓋言其罪大無可形狀也. 近代已來, 遭重喪答人書云 “無狀招禍.” 是古人之遺語也.
[疏]○傳‘今天’至‘先應’
○正義曰:武庚旣叛, 聞者皆驚, 故“今天下蠢動.” 謂聞叛之日也. ‘今之明日’, 聞叛之明日.
以‘獻’爲賢, 四國民內賢者十夫, 來翼佐我周. 十人史無姓名,
直是在彼逆地, 有先見之明, 知彼必敗, 棄而歸周, 周公喜其來降, 擧以告衆, 謂之爲賢, 未必是大賢也.
‘用撫安武事 謀立其功’, 用此十夫爲之. 將欲伐叛, 而賢者卽來, 言人事先應也.
[疏]○傳‘大事’至‘爲美’
○正義曰:成十三年左傳云 “國之大事, 在祀與戎.” 今論伐叛, 知大事, 戎事也.
十夫來翼, 人謀旣從, 卜又竝吉, 所以爲美, 美卽經之‘休’也. 旣言其休, 乃說我卜, 竝言以成此休之意.
鄭玄云 “卜竝吉者, 謂三龜皆從也.” 王肅云 “何以言美, 以三龜一習吉, 是言竝吉, 證其休也.” 與孔異矣.
肆予告我友邦君 庶士御事하노라
[傳]以美故 告我友國諸侯하고 及於正官尹氏卿大夫‧衆士御治事者 言謀及之
曰 予得吉卜이라 予惟以爾庶邦으로 于伐殷 逋播臣하노라
[傳]用汝衆國하여 往伐殷逋亡之臣이라하니 謂祿父


지금 천하가 꿈틀거리는데, 〈꿈틀거리던〉 그 다음 날 〈네 나라의〉 백성 중에 어진 이 10명이 찾아 와서 우리 나라를 돕거늘, 그들을 이용하여 군사문제를 잘 다루어서 전공을 세울 것을 도모하였나니,
지금 천하가 꿈틀거리는데, 〈꿈틀거리던〉 그 다음 날 네 나라 사람 중에 어진 이 10명이 와서 우리 나라를 돕거늘, 그들을 이용하여 군사문제를 잘 다루어서 전공을 세울 것을 도모하였다는 것이니, 인간의 일이 먼저 응했음을 말한 것이다.
은 ‘應對’의 이다.
나에게 아름다운 戰功이 있을 줄 안 것은 의 점괘가 모두 하기 때문이다.
大事’는 군사에 관한 일이다. 사람의 계책이 이미 따르고, 거북점이 또한 아울러 하였으니 이래서 아름답게 되었다는 것이다.
의 [曰有]에서 [竝吉]까지
正義曰:위에서는 가 적지 않다고 말하여 정벌하려는 뜻만 개진하고 武庚의 죄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았다. 그래서 다시 말의 단서를 바꾸어 말하였다.
“지금 네 나라가 叛逆하여 西土에 대란이 있으니, 注+동쪽에서 을 일으켜 京師와 함께 혼란함을 말한 것이다. 西土의 사람들이 이 때문에 또한 안정할 수 없으므로 이에 인심이 모두 꿈틀거렸다.
나라 후예인 작은 나라의 하찮은 祿父가 대담하게 감히 그 王業의 차서를 경영하여 興復하려고 한다. 祿父가 감히 그렇게 하는 까닭은, 上天三叔에게 위엄을 내린 것은 그들이 유언비어를 퍼뜨렸기 때문에 위엄을 내려 주벌하려고 한 것인데,
祿父는 우리 나라에 이런 병통이 있음을 알고 東國 사람을 기만하여 사람들을 불안하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祿父가 사람들에게 이르기를 ‘우리 나라는 興復할 것이다.’라고 하여 다시 天子가 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고 도리어 우리 나라를 비하하였다.
지금 천하가 꿈틀거리는데, 〈꿈틀거리던〉 그 다음 날 네 나라 백성 중에 어진 이 10명이 반역을 따르지 않고 찾아 와서 우리를 위해 우리 나라를 돕거늘,
이에 그들을 이용하여 군사문제를 잘 다루어서 전공을 세울 것을 도모하였다. 注+祿父擧事가 부당하므로 賢者들이 그를 배반하고 우리에게 와서 우리를 위해 功用을 도모하였음을 밝힌 것이다.
이는 인간의 일이 먼저 호응함이 이와 같으니, 우리에게 군사를 일으키는 대사가 있다면 征伐함에 반드시 아름다움이 있을 것이다. 사람의 謀慮가 이미 따랐고 나의 거북점이 또 아울러 길하니 이것이 그 아름다운 것이다. 注+가면 반드시 적을 이기어 백성을 안정시킬 수 있다는 뜻을 대중에게 고하여 그들이 알도록 함을 말한 것이다.
의 [曰語]에서 [蠢動]까지
正義曰周公이 그 일을 재삼 반복하여 고하고서 중지하였다가 다시 말하였기 때문에 별도로 한 ‘’자를 더해서 말의 단서를 바꾸었다. 아래에서는 ‘王曰’이라 말하고 여기서는 ‘’을 말하지 않은 것은 史官의 기록이 상세하기도 하고 소략하기도 해서였을 뿐이다.
네 나라가 동쪽에서 반역을 일으키자 京師에서 대란이 일어났기 때문에 “京師에서 대란을 일으켰다.”라고 말한 것이다. ‘西土 사람도 불안해하였다.’는 것은 또한 동쪽 지방에서 그 을 겪은 것처럼 불안해한 것이다.
爾雅≫ 〈釋詁〉에 “‘’은 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鄭玄은 “나라 백성 또한 안정하지 못하여 그 마음이 동요되었기 때문에 병력을 가지고 응하였음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당시 京師에 응한 자가 없었으니, 鄭玄의 말은 망언일 뿐이다.
의 [言殷]에서 [復之]까지
正義曰나라는 본래 天子의 나라였으니, 武庚은 그에 비하면 작기 때문에 ‘小腆’이라 말한 것인데, ‘’은 바로 작은 모양이다.
鄭玄은 “‘’은 작은 나라를 이른다.”라고 하고, 王肅은 “‘’은 (군주)의 뜻으로 곧 나라 작은 군주는 祿父를 이른다.”라고 하였다. ‘大敢紀其王業’은 王業을 경영하여 흥복하기를 바란 것이다.
의 [天下]에서 [疵病]까지
正義曰王肅은 “하늘이 위엄을 내린 것은 三叔이 유언비어를 퍼뜨렸기 때문에 마땅히 誅伐해야 함을 이른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三叔을 주벌하는 것이 바로 하늘이 위엄을 내린 것임을 말한 것이다.
爾雅≫ 〈釋詁〉에 “‘’는 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鄭玄王肅은 모두 “우리나라에 병통의 하자가 있음을 알았다.”라고 하였다.
의 [祿父]에서 [無狀]까지
正義曰祿父는 아버지의 죄로 나라를 멸하였으니, 자신도 응당 죽었어야 하는데 다행히도 그 선대의 제사를 계승하게 되었으니, 마땅히 天恩에 감사해야 한다. 그런데 도리어 우리 周家를 얕보았으니, 그의 恩養을 모르는 배은망덕으로 말하면 그 죄가 ‘無狀’하다 하겠다.
漢代에만 있었던 ‘無狀’이란 말은 대개 그 죄가 워낙 커서 形狀할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 近代 이래로 重喪을 당한 상주가 남의 서신에 답할 때 흔히 “그 죄가 형상할 수 없이 커서 를 불렀나이다.”라고 하는데, 이는 옛사람이 남긴 말이다.
의 [今天]에서 [先應]까지
正義曰武庚이 이미 반역을 하자, 듣는 이들이 모두 놀랐다. 그러므로 “지금 천하가 꿈틀거린다.”라고 한 것은 반역을 들은 날을 이른다. ‘今之明日’은 반역을 들은 그 다음 날이다.
’을 으로 여기는데 네 나라 백성 중에 어진 이 10명이 와서 우리 나라를 도왔다. 10명은 역사책에 그 성명이 없고,
단지 저 반역자의 지역에서 선견지명이 있어 반역자는 반드시 패할 것을 알고서 반역자를 버리고 나라로 귀화하였는데, 周公이 그들이 와서 항복한 것을 기뻐하며 그들을 들어 여러 사람들에게 소개하기를 그저 ‘賢人’이라고만 말했을 뿐이니, 필시 大賢은 아니었을 것이다.
用撫安武事 謀立其功’은 이 10명을 이용해서 일을 한 것이다. 장차 반역자를 치려고 할 때에 賢者들이 즉시 왔으니, 인간의 일이 먼저 호응했다고 말한 것이다.
의 [大事]에서 [爲美]
正義曰:≪春秋左氏傳成公 13년 조에 “나라의 큰일은 祭祀軍事이다.”라고 하였고, 지금 반역자의 정벌을 논하고 있으니, 큰일은 바로 군사에 관한 일이라는 점을 〈공안국은〉 알았던 것이다.
10명의 현인이 와서 도왔으니 사람의 謀慮가 이미 따랐고, 거북점도 아울러 길하였으니 그래서 아름다운 것인데, ‘’는 經文의 ‘’를 말한 것이다. 이미 그 아름다움에 대해 말하였고, 이에 나의 거북점에 대해 설명하였으니, 이 ‘’를 이룬 뜻을 가지고 아울러 말한 것이다.
鄭玄은 “‘거북점이 아울러 길하다.’고 한 것은 〈세 거북에게 점을 쳐 보니〉 세 거북이 모두 따랐음을 이른 것이다.”라고 하고, 王肅은 “무엇 때문에 아름다움을 말했는가 하면, 세 거북이 하나같이 서로 거듭하여 길했기 때문이니, 이는 아울러 길함을 말하여 그 ‘’를 증명한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공안국과 다르게 본 것이다.
그러므로 나는 우리 우방의 임금 및 여러 벼슬의 正官과 여러 일을 다스리는 이들에게 고하노라.
아름답기 때문에 우리 우방인 諸侯들에게 고하고 正官尹氏卿大夫와 일을 다스리는 여러 관리들에게까지 고했다는 것이니, 빠짐없이 상의하였음을 말한 것이다.
나는 좋은 점괘를 얻었다. 그래서 내 너희 여러 나라를 데리고 가서 의 도망한 신하를 정벌하려 한다.
너희 여러 나라를 데리고 가서 의 도망한 신하를 정벌하겠다고 하였으니, 〈도망한 신하란〉 祿父를 이른 것이다.


역주
역주1 今蠢 今翼日 : 蔡傳은 “지금 武庚이 반란을 일으키려고 꿈틀거리거늘, 〈꿈틀거리던 바로〉 그 다음 날”이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民獻有十夫 予翼以于敉寧武圖功 : 蔡傳은 ‘于’는 往의 뜻으로, ‘敉’는 撫의 뜻으로, ‘武’는 繼의 뜻으로 ‘圖功’은 武王이 도모한 功으로 보고 夫, 于, 寧, 功에 句를 끊어 “어진 이 열 명이 찾아 와서 나를 보필하고 〈되려 殷나라를〉 가서 정벌하여 〈殷나라를〉 어루만져 안정시키고 武王께서 도모하신 功을 계승토록 하니”로 풀이하였다.
역주3 今天下蠢動 今之明日 : 兪樾(≪群經平議≫)은 “‘今之明日’은 뜻이 통할 수 없다. 아마 ‘今蠢’과 ‘今翼’은 두 단어의 뜻이 서로 對가 된 것으로 보아, ‘翼’자는 본래 ‘翌’자가 되어야 하는데 衛包가 ‘翼’자로 改作한 것이리라. 그에 대한 해설이 段氏(段玉裁)의 ≪古文尙書撰異≫에 자세히 보인다.……‘翌’자는 곧 ‘翊’자의 變體이다. ‘蠢’은 벌레를 가지고 비유하고 ‘翊’은 새를 가지고 비유한 것이다. 글자를 또 변경하여 翋으로도 적는다.……윗글의 ‘越玆蠢’은 전적으로 武庚을 가지고 말했고, 여기 글의 ‘今蠢’과 ‘今翌’은 武庚이 蠢動함에 淮夷의 추종이 衆多함을 보인 것이다. ‘日’자는 아래 句에 붙여서 뜻을 이루어야 하니, ‘日民獻有十夫子翼’은 ‘근일에 백성 중에 어진 이 10명이 와서 우리를 도왔다.’고 말한 것이다. 枚傳에서는 ‘翌日’을 連文으로 보아 단순히 〈金縢〉篇과 동일하게 다루어 결국 ‘今翌日’을 1句로 읽어 오류를 범한 것이다.[今之明日 義不可通 疑今蠢今翼 兩義相對 翼本作翌 衛包改作翼 說詳段氏撰異……翌卽翊之變體 蠢以蟲喩 翊以鳥喩 字又變作翋……上文越玆蠢 專以武庚言 此文今蠢今翌 則見武庚蠢動而淮夷從之衆多也 日字屬下爲義 日民獻有十夫子翼 言近日民之賢者十夫來翼佐我也 枚傳見翌日連文 適與金縢篇同 遂讀今翌日爲句誤矣]”라고 하였다.
역주4 (正)[止] : 저본에는 ‘正’으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는 ‘正’이 ‘止’로 되어 있으니, 옳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止’로 바로잡았다.
역주5 (武)[我] : 저본에는 ‘武’로 되어 있으나, 宋刊 單疏本에 의거하여 ‘我’로 바로잡았다.
역주6 尹氏 : 蔡傳은 “‘尹氏’는 여러 벼슬의 正官이다.[尹氏 庶官之正也]”라고 하였다.

상서정의(4)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