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4)

상서정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矧今 卜幷吉이온여
[傳]循文王所有指意하여 以安疆土 則善矣어늘 況今卜竝吉乎 言不可不從이라
肆朕 誕以爾 東征하노라 天命不僭하나니 卜陳 惟若玆하니라
[傳]以卜吉之故 大以汝衆으로 東征四國이라 天命不僭差하나니 卜兆陳列惟若此吉하여 必克之리니 不可不勉이니라
[疏]‘予永’至‘若玆’
○正義曰:所以必當誅四國者, 我長思念之曰, “天惟喪亡殷國者, 若稼穡之夫, 務去草也.
天意旣然, 我何敢不終我壟畝也. 注+言穢草盡須除去, 殷餘皆當殄滅也. 天亦惟美於前寧人文王,
我何其極文王卜法, 敢不於是從乎. 注+言必從之也. 我循彼寧人所有旨意以安疆土, 不待卜筮, 便卽東征, 已自善矣,
況今卜東征而龜竝吉. 以吉之故, 我大以爾東征四國. 天命必不僭差, 卜兆陳列惟若此吉, 不可不從卜, 不可不勉力也.”
[疏]○傳‘天亦’至‘必從’
○正義曰:‘天亦惟美於文王受命’, 言文王德當天心, 天每事美之, 故得受天命, 是文王之德大美也.
文王用卜, 能受天命, 今於我何其窮極文王卜法, 敢不從乎. 言必從文王卜也.
[疏]○傳‘循文’至‘不從’
○正義曰:文王之旨意, 欲天下疆土, 皆得其宜, 有叛逆者, 自然須平定之.
我直循彼文王所有旨意伐叛, 則已善矣, 不必須卜筮也, 況今卜竝吉乎. 言不可不從也.
王肅云 “順文王安人之道, 有旨意盡天下疆土使皆得其所, 不必須卜筮也, 況今卜三龜皆吉, 明不可不從也.”
[疏]○傳‘以卜’至‘不勉’
○正義曰:‘天命不僭’, 天意去惡與善, 其事必不僭差, 言我善而彼惡也. ‘卜兆陳列惟若此吉’, 言往必克之, 不可不勉力也.


寧人이 가지신 뜻을 따라 강토를 안정시켜야 할 것이니, 〈점을 쳐볼 것도 없이 좋을 것이다.〉 그런데 하물며 지금 점괘까지 아울러 함에랴.
文王이 가지신 〈반역자는 반드시 정벌해야 한다는〉 뜻을 따라 강토를 안정시킨다면 〈점을 쳐볼 필요 없이 그것만으로도〉 좋을 것이다. 그런데 하물며 지금 점괘까지 아울러 함에야 더 말할 나위가 있겠는가. 불가불 따라야 함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 크게 너희들을 데리고 東征하려 한다. 하늘의 은 어긋나지 않는 법인데, 점괘 조짐의 진열이 이와 같으니라.”
점괘가 하기 때문에 크게 너희 군중을 데리고 동쪽으로 네 나라를 정벌하려 한다. 하늘의 은 어긋나지 않는 법인데, 점괘 조짐의 진열이 이처럼 하여 반드시 승리할 것이니 불가불 힘써야 한다.
의 [予永]에서 [若玆]까지
正義曰:반드시 네 나라를 주벌해야 할 것에 대하여 내 오랫동안 생각해보고 나서 말하노라. “하늘이 나라를 喪亡시킨 것은 마치 농사짓는 사람이 힘써 잡초를 제거하는 것과 같았느니라.
하늘의 뜻이 이미 그러한데, 내 어찌 감히 나의 밭일을 마무리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注+잡초를 모두 제거하듯이 나라의 餘孼을 모두 殄滅해야 함을 말한 것이다. 하늘 또한 寧人文王을 아름답게 여기시니,
내 어찌 〈文王의〉 거북점치는 법을 다 써서 감히 따르지 않을 수 있겠는가. 注+文王의 거북점치는 법을〉 반드시 따를 것임을 말한 것이다. 내가 저 寧人이 가지신 뜻을 따라 강토를 안정시켜야 할 것이니, 점을 쳐볼 필요 없이 곧 東征을 하더라도 이미 저절로 좋을 것이다.
그런데 하물며 지금 東征에 대해 점을 치니 거북점이 아울러 하게 나왔음에랴. 점괘가 하기 때문에 내가 크게 너희 군중을 데리고 동쪽으로 네 나라를 정벌하려 한다. 하늘의 은 반드시 어긋나지 않는 법인데 점괘 조짐의 진열이 이처럼 하니, 점괘를 따르지 않을 수 없고 부지런히 힘쓰지 않을 수 없다.”
의 [天亦]에서 [必從]까지
正義曰:‘天亦惟美於文王受命’은 文王이 하늘의 마음에 딱 맞아서 하늘이 매사를 아름답게 여기기 때문에 하늘의 을 얻게 됨을 말한 것이니, 이것이 문왕의 덕이 크게 아름다운 점이다.
文王이 거북점을 써서 능히 하늘의 을 받았으니, 지금 우리 입장에서 어찌 文王의 거북점 치는 을 다 써서 감히 따르지 않을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으니, 반드시 文王의 거북점 치는 법을 따를 것임을 말한 것이다.
의 [循文]에서 [不從]까지
正義曰文王의 뜻이 천하 강토를 모두 편안해지게 하려고 하자, 반역자가 자연히 평정되었다.
나는 다만 저 문왕이 가진 뜻을 따라 반역자를 정벌하기만 해도 이미 좋으니, 모름지기 점을 칠 필요가 없는데, 하물며 지금 점괘까지 아울러 하게 나왔음에랴라고 하였으니, 곧 따르지 않을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
王肅은 말하기를 “文王이 사람을 편안케 한 를 따라 〈文王이 가지신〉 뜻을 가지고 온 천하 강토가 모두 그 안정된 처소를 얻게 한다면 모름지기 점을 칠 필요가 없는데, 하물며 지금 점을 친 세 거북이 모두 길하였다고 하니, 곧 따르지 않을 수 없음을 밝힌 것이다.”라고 하였다.
의 [以卜]에서 [不勉]까지
正義曰:‘天命不僭’은 하늘의 뜻이 을 제거하고 을 보호하려는 것이므로 그 일이 반드시 어긋나지 않을 게라는 것이니, 우리는 하고 저들은 하다는 점을 말한 것이다. ‘卜兆陳列惟若此吉’은 가면 반드시 이길 것이니, 힘쓰지 않을 수 없다는 점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率寧人 有指疆土 : 蔡傳은 “寧人의 功을 따르려 할진대 마땅히 先王의 疆土를 지정할 도리가 있을 것이니[蓋率寧人之功 當有指定先王疆土之理]”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今)[令] : 저본에는 ‘今’으로 되어 있으나, 宋刊 單疏本에 의거하여 ‘令’으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4)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