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4)

상서정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第五
孔氏 傳 孔穎達 疏
武王 伐殷 往伐하고 歸獸하시다
[傳]往誅紂克定하고 偃武修文하여 歸馬牛於華山桃林之牧地
識其政事하여
[傳]記識殷家政敎善事하여 以爲法이라
作武成이라
[傳]武功成하고 文事修하니라
[疏]‘武王’至‘武成’
○正義曰:武王之伐殷也, 往則陳兵伐紂, 歸放牛馬爲獸, 記識殷家美政善事而行用之, 史敍其事, 作武成.
[疏]○傳‘往誅’至‘牧地’
○正義曰:此序於經‘于征伐商’, 是‘往伐’也. ‘歸馬’‧‘放牛’, 是‘歸獸’也. 故傳引經以解之.
爾雅有釋獸‧釋畜, 畜‧獸, 形相類也. 在野自生爲獸, 人家養之爲畜.
歸馬放牛, 不復乘用, 使之自生自死, 若野獸然, 故謂之獸. 獸以野澤爲家, 故言歸也.
[疏]○傳‘記識’至‘爲法’
○正義曰:紂以昏亂而滅, 前世政有善者, 故訪問殷家政敎, 記識善事以爲治國之法, 經云 “列爵惟五, 分士惟三.” 是也.
武成
[傳]文王受命하여 有此武功 成於克商이라
[疏]‘武成’
○正義曰:此篇敍事多而王言少, 惟辭又首尾不結, 體裁異於餘篇.
自‘惟一月’至‘受命于周’, 史敍伐殷往反及諸侯大集, 爲王言發端也. 自‘王若曰’至‘大統未集’, 述祖父以來開建王業之事也.
自‘予小子’至‘名山大川’, 言己承父祖之意, 告神陳紂之罪也. 自‘曰惟有道’至‘無作神羞’, 王自陳告神之辭也.
‘旣戊午’已下, 又是史敍往伐殺紂, 入殷都布政之事. ‘無作神羞’以下, 惟告神, 其辭不結, 文義不成, 非述作之體.
案左傳荀偃禱河云 “無作神羞. 其官臣偃, 無敢復濟, 惟爾有神裁之.”
蒯聵禱祖云 “無作三祖羞, 大命不敢請, 佩玉不敢愛.”
彼二者, 於‘神羞’之下, 皆更申己意, 此經‘無作神羞’下, 更無語, 直是與神之言, 猶尙未訖.
且冢君百工, 初受周命, 王當有以戒之, 如湯誥之類, 宜應說其除害, 與民更始, 創以爲惡之禍,
勸以行道之福, 不得大聚百官, 惟誦禱辭而已. 欲征則殷勤誓衆, 旣克則空話禱神, 聖人有作, 理必不爾.
竊謂‘神羞’之下, 更合有言, 簡編斷絶, 經失其本, 所以辭不次耳.
或初藏之日, 已失其本, 或壞壁得之, 始有脫漏, 故孔稱五十八篇以外, 錯亂磨滅, 不可復知.
明是見在諸篇, 亦容脫錯, 但孔此篇, 首尾具足, 旣取其文爲之作傳, 恥云有所失落, 不復言其事耳.
[疏]○傳‘文王’至‘克商’
○正義曰:‘文王受命 有此武功’, 詩之文也. 彼言‘武功’, 謂始伐崇耳.
殷紂尙在, 其功未成, 成功在於克商, 今武始成矣, 故以‘武成’名篇, 以泰誓繼文王之年, 故本之於文王. 鄭云 “著武道至此而成.”


武王나라를 정벌함에 있어 가서 정벌하고 나서는 마소를 돌려보냈다.
가서 誅伐하여 승리를 거두어 안정시킨 다음, 무력을 거두고 文敎를 닦아 마소를 華山 桃林牧地로 돌려보냈다는 것이다.
그 〈은나라의〉 政敎와 좋은 일들을 기록하였는데
나라의 政敎와 좋은 일들을 기록하여 〈나라를 다스리는〉 법칙으로 삼았다는 것이다.
史官이 그 일을 기록하여〉 〈武成〉을 지었다.
武功이 이루어지고 文事가 닦아졌다.
書序의 [武王]에서 [武成]까지
正義曰武王나라를 칠 때에, 가서는 군사를 풀어서 를 쳤고, 〈승리를 거두고 돌아와서는〉 마소를 놓아보내 들에서 사는 짐승이 되도록 하고서 나라의 아름다운 정사와 좋은 일들을 기록해서 실행하였는데, 史官이 그 일들을 서술해서 〈武成〉을 지었다.
의 [往誅]에서 [牧地]까지
正義曰:이 書序에서 經文의 ‘于征伐商’에 대해서는 ‘往伐’로, ‘歸馬’와 ‘放牛’에 대해서는 ‘歸獸’로 대신했기 때문에 에서 經文을 인용해서 풀이한 것이다.
爾雅≫에 〈釋獸〉편과 〈釋畜〉편을 둔 것은 ‘’과 ‘’가 형태가 서로 유사하기 때문이다. 들에서 자생하는 것은 , 집에서 기르는 것은 이다.
말을 돌려보내고 소를 놓아 보내서, 다시 타거나 사용하지 않고 그들로 하여금 自生自死하기를 마치 들에서 사는 짐승처럼 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라 이른 것이다. 짐승은 山野水澤을 집으로 삼기 때문에 ‘’라고 말한 것이다.
의 [記識]에서 [爲法]까지
正義曰가 혼란해서 멸망하였지만, 앞 세대에는 정사에 잘한 분이 있었기 때문에 殷家政敎諮問하고, 좋은 일들을 기록해서 나라를 다스리는 법을 만들었으니, 經文의 “爵位는 다섯 가지로 정하고, 땅은 세 가지로 나누어주었다.”라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文王이 천명을 받아 이 武功을 소유한 것은 나라를 이긴 데서 이루었다는 것이다.
篇題의 [武成]
正義曰:이 敍事 부분은 많고 王言 부분은 적으며, 文辭는 또 首尾가 맺어지지 않았으니, 體裁가 여타의 과 다르다.
惟一月’로부터 ‘受命于周’까지는 史官나라를 치러 갔다 돌아온 일과 諸侯들이 성대하게 모인 일을 서술하고서 王言으로 발단을 삼은 것이다. ‘王若曰’로부터 ‘大統未集’까지는 祖父 이래 王業開建한 사실을 서술하였다.
予小子’로부터 ‘名山大川’까지는 자기가 父祖의 뜻을 이어받아 에게 고할 때 의 죄를 열거한 사실을 말한 것이다. ‘曰惟有道’로부터 ‘無作神羞’까지는 이 스스로 에게 고한 말을 진술하였다.
旣戊午’ 이하는 또 〈무왕이〉 가서 를 쳐서 죽이고 나라 도읍에 들어가 정사를 펼친 사실을 史官이 서술한 것이다. ‘無作神羞’ 이하는 에게 고한 말인데, 그 文辭가 맺어지지 않고 文義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니, 述作의 문체가 아니다.
살펴보면, ≪春秋左氏傳襄公 18년 조에 “荀偃黃河에게 빌기를 ‘〈만일 싸움에 이겨 공을 세워〉 에게 부끄럽지 않게 된다면 그 官臣 은 감히 다시는 황하를 건너지 않을 것이니, 오직 께서 재결해주소서.’ 했다.”라고 하였고,
春秋左氏傳哀公 2년 조에 “蒯聵가 조상에게 빌기를 ‘〈이 싸움에서 승전하게 하시어 위로〉 세 분 조상님께 수치가 되지 않게 하소서. 大命은 감히 청하지 못하거니와 佩玉은 감히 아끼지 않겠습니다.’ 했다.”라고 하였다.
저기 두 사람의 경우는 ‘神羞’의 아래에 모두 다시 자기들의 의사를 밝혔으나 여기 經文의 경우는 ‘無作神羞’의 아래에 다시 아무런 말이 없고, 곧 에게 고한 말도 오히려 끝내지 못하였다.
또한 冢君百工이 처음으로 나라의 政命을 받을 때에는 이 마땅히 경계하기를 마치 〈湯誥〉의 와 같이 하여 응당 그 해독을 제거하고 백성들과 함께 새로운 정치를 시작할 일을 말해서 악한 짓을 하면 재앙이 된다는 것을 가지고 경계하고,
도를 행하면 복을 받는다는 것을 가지고 권면했어야 마땅할 것인데, 百官을 크게 모으지 못하고 오직 기도하는 말만을 송독하였을 뿐이다. 그리고 정벌하려고 할 때에는 은근히 군중에게 서계하고, 이미 이기고 나서는 공연한 말로 에게 빌었으니, 聖人이 일어났으면 이치상 반드시 그렇게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가만히 생각해보면 ‘神羞’의 아래에 다시 무슨 말이 있어야 될 것인데, 簡編斷絶되어 經文이 그 본래의 모습을 잃어서 文辭가 차례대로 되지 않았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혹은 처음에 책을 벽속에 간직할 때에 이미 그 본래의 모습을 잃었거나 혹은 벽을 헐고 찾아냈을 때에 비로소 脫漏가 있었기 때문에 孔安國이 “58편 외에는 錯亂하고 磨滅해서 다시 알 수 없다.”라고 칭한 것이리라.
분명히 현존하는 諸篇에도 脫錯된 것이 더러 있고, 단지 孔安國의 이 만이 首尾가 모두 족한 편이어서, 이미 그 글을 취해서 을 지었고, 失落한 바가 있는 것을 수치스럽게 여기어 다시는 그 失落된 일을 말하지 않았을 뿐이다.
의 [文王]에서 [克商]까지
正義曰:[文王受命 有此武功] ≪詩經≫ 〈大雅 文王有聲〉의 글이다. 저기서 말한 ‘武功’은 처음에 나라를 친 것을 말했을 뿐이다.
나라의 가 아직 존재하니 그 공이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고, 공을 이룬 것은 나라를 정복함에 있으니, 지금 무공이 비로소 이루어졌기 때문에 ‘武成’을 가지고 편명을 한 것이고, 〈泰誓〉는 文王歷年에 연계했기 때문에 文王에 근본을 둔 것이다. 鄭玄은 “武道가 여기에 이르러서 이루어졌음을 드러낸 것이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武成 : 蔡傳은 〈武成〉편의 내용이 뒤바뀐 것으로 보고 순서를 考定하였다. 이에 대하여 袁仁은 “蔡氏가 〈武成〉을 考定한 것은 모두 劉氏‧王氏‧程子의 說에 근거한 것이나 허심탄회하게 읽는다면 개정하지 않아도 저절로 통할 수 있다.[蔡氏考定武成 皆本劉氏王氏程子之說 然虛心讀之 卽不改亦自可通]”라고 하였다.(≪尙書砭蔡編≫)

상서정의(4)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