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4)

상서정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六三德 一曰正直이요
[傳]能正人之曲直이라
二曰剛이요
[傳]剛能立事
○克 馬云 勝也라하니라
三曰柔克이니
[傳]和柔能治 三者 皆德이라
平康 正直이요
[傳]世平安 用正直治之
彊弗友 剛克하고
[傳]友 順也 世強禦不順 以剛能治之
燮友 柔克하며
[傳]燮 和也 世和順 以柔能治之
沈潛 剛克하고
[傳]沈潛 謂地 雖柔 亦有剛하여 能出金石이라
高明 柔克이니다
[傳]高明謂天이니 言天爲剛德이나 亦有柔克하여 不干四時하니 喩臣當執剛以正君하고 君亦當執柔以納臣이라


여섯 번째 ‘三德’은, 첫째는 정직한 방법으로 다스리는 것이요,
능히 사람들의 굽은 점을 바로잡아서 곧게 해준다는 것이다.
둘째는 강경한 방법으로 능히 〈일을 성립하는〉 것이요,
강경함으로 능히 일을 성립하는 것이다.
○‘’은 馬融이 “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셋째는 유순한 방법으로 능히 다스리는 것이니,
和柔가 능히 다스릴 수 있다는 것이다. 세 가지는 모두 〈임금의〉 을 말한 것이다.
평강 무사한 시대에는 정직한 방법으로 다스리고,
세상이 平安할 때에는 正直한 정책을 써서 다스린다는 것이다.
강경하여 불순한 시대에는 강경한 방법으로 능히 다스리고,
’는 의 뜻이니, 세상이 強禦하여 순종하지 않을 때에는 강경한 정책을 써서 능히 다스린다는 것이다.
화순한 시대에는 유순한 방법으로 다스리며,
’은 의 뜻이니, 세상이 和順할 때에는 유순한 정책을 써서 능히 다스린다는 것이다.
沈潛한 땅은 강경한 방법으로 능히 일을 성립하고
沈潛’은 땅을 이르니, 비록 유순하나 또한 강함이 있어 능히 金石을 낼 수 있다는 것이다.
高明한 하늘은 유순한 방법으로 능히 다스립니다.
高明’은 하늘을 이르니, 하늘은 剛德하지만 또한 柔德이 있어서 四時의 순서를 간섭하지 않음을 말하니, 곧 신하는 마땅히 강직함을 가지고 임금을 바로잡아야 하고, 임금 또한 마땅히 유순함을 가지고 신하의 의견을 받아들여야 함을 비유한 것이다.


역주
역주1 : 蔡傳에서는 ‘治’의 뜻으로 보았다.

상서정의(4)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