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4)

상서정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二公曰 我其爲王하여 하리다하니 周公曰 이라하시고
[傳]이요 近也 召公太公 言王疾當敬卜吉凶이라하고 周公 言未可以死近我先王이라하니 相順之辭


(太公召公)이 말하기를 “우리가 왕을 위하여 경건하게 길흉을 점쳐보겠습니다.”라고 하니, 周公이 말씀하기를 “우리 先王을 가까이 하게(승하하시게) 해서는 안 되니, 〈한번 해봅시다.〉”라고 하시고,
’은 의 뜻이요, ‘’은 의 뜻이다. 召公太公은 “의 병이 나을지 여부를 마땅히 경건하게 吉凶을 점쳐보아야 한다.”라고 하였고, 周公은 “죽음을 가지고 우리 선왕을 가까이하게 해서는 안 된다.”라고 하였으니, 서로 따르는(통하는) 말이다.


역주
역주1 穆卜 : 蔡傳은 “옛날엔 나라에 큰일이 있어 점을 치게 되면 公卿과 百執事가 모두 그 점치는 자리에 모여서 전일한 마음과 화합한 모습으로 卜筮하는 말을 들었다. 그러므로 그 점치는 것을 ‘穆卜’이라 명명한 것이다.[古者 國有大事 卜則公卿百執事皆在 誠一而和同 以聽卜筮 故名其卜曰穆卜]”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未可以戚我先王 : 蔡傳은 ‘戚’을 ‘憂惱’의 뜻으로 보아 “武王의 병을 가지고 우리 先王을 걱정시켜드릴 수 없다.[未可以武王之疾 而憂惱我先王也]”라고 풀이하였다.
역주3 穆敬 : 蔡傳에서 “先儒(孔安國)는 오로지 ‘穆’을 敬의 뜻으로 보았으니, 이른바 ‘그 穆卜하지 말 것이다.’란 것에는 뜻이 통하지 않는다.[先儒專以穆爲敬 而於所謂其勿穆卜 則義不通矣]”라고 지적하였는데, 元代 陳師凱는 “蔡傳에서 孔注가 오로지 ‘穆’을 ‘敬’의 뜻으로만 본 점을 비난한 것이 옳다.[蔡傳非孔注專以穆爲敬是矣]”라고 하였다.(≪書蔡氏傳旁通≫)

상서정의(4)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