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我聞하니한대 則惟帝降格하시니
[傳]言上天欲民長逸樂이언만 有夏桀爲政不之逸樂이라 天下至戒하여 以譴告之
[傳]天下至戒하니 是嚮於時夏하여 不背棄언만 桀不能用天戒하고 大爲過逸之行하여 有惡辭聞於世
○時夏絶句 馬以時字絶句 又作佾이니 注同이라 馬本作屑하니 云 過也
惟時天 罔念聞하시고 하니 降致罰하시니라
[傳]惟是桀惡有辭 天無所念聞이니 言不佑 其惟廢其天命하니 下致天罰이라


나는 듣건대 ‘上帝께서는 〈백성이 길이〉 안락을 누리게 하고자 한다.’고 하였는데, 나라 〈이〉 안락을 누리지 못하게 하자, 上帝께서 〈災異 같은〉 지극한 경계를 내리시었으니,
하늘은 백성들이 길이 안락을 누리게 하고자 하는데, 나라 은 정사를 함에 있어서 안락을 누리지 못하게 하였다. 그러므로 하늘이 〈災異 같은〉 지극한 경계를 내려서 譴告하였다고 말한 것이다.
나라에 두남을 둔 것이건만, 〈은〉 능히 하늘의 경계를 받아들이지 않고 크게 過逸한 행동을 하여 한 말이 세상에 알려졌다.
하늘이 지극한 경계를 내렸으니, 이 나라에 두남을 두어 背棄하지 않은 것이건만, 은 능히 하늘의 경계를 받아들이지 않고 크게 過逸한 행동을 하여 하다는 말이 세상에 알려졌다는 것이다.
○‘時夏’에 를 끊었다. 馬融은 ‘’자에 를 끊었다. ‘’은 또 ‘’로도 되어 있으니, 도 같다. 馬本에는 ‘’로 적었으니, “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이에 하늘은 유념하지도 듣지도 않고서 〈이〉 그 元命을 폐기하니 벌을 내리셨느니라.
에 대한 말이 있었기 때문에 하늘은 유념하지도 듣지도 않았다는 것이니, 도와주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그가 그 天命을 폐기하니 天罰을 내렸다는 것이다.


역주
역주1 上帝引逸有夏不適逸 : 蔡傳은 “上帝께서는 〈임금에 대하여 항상〉 안일한 쪽으로 인도하였건만, 夏나라 〈桀은〉 안일한 쪽으로 가지 않자”라고 하여 안일을 누릴 대상을 임금으로 보았고, 兪樾(≪群經平議≫)은 ‘引’은 收斂, ‘適’은 節制의 뜻으로 보아 “‘上帝引逸’은 上帝는 사람의 逸樂을 놓아두지 않으므로 逸樂이 있으면 수렴해서 너무 지나치지 못하게 함을 말한 것이고, ‘有夏不適逸’은 ‘適’은 節의 뜻이므로 夏桀이 그 逸樂을 스스로 절제하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上帝引逸者 言上帝不縱人逸樂 有逸樂 則收引之 勿使大過也 有夏不適逸者 適之言節也 言夏桀不自節其逸樂也]”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嚮于時夏……大淫泆有辭 : 蔡傳은 “夏나라 桀에게 의향을 보이셨는데도 능히 上帝의 命을 따르지 않고 크게 淫泆하여 조작한 말을 늘어놓았으나[以示意嚮於桀 不能敬用帝命 乃大肆淫逸 雖有矯誣之辭]”라고 풀이하였는데, 洪奭周(≪尙書補傳≫)는 “蔡傳은 ‘大淫泆有辭’를 조작한 말을 늘어놓은 것으로 여기고, 孔傳은 惡한 말이 세상에 들리는 것으로 여겼는데, 가만히 생각하건대, ‘矯誣之辭’는 ‘淫泆’과 너무도 서로 친속하지 않고, 또 아랫글에 이른바 ‘有辭于罰’이란 것이 정말 이와 서로 호응하니, 응당 孔傳을 따르는 것이 옳다.[蔡傳以大淫泆有辭 爲有矯誣之辭 孔傳以爲有惡辭聞於世 竊謂矯誣之辭 與淫泆不甚相屬 且下文所謂有辭于罰者 正與此相應 當從孔傳爲是]”라고 하였다.
역주3 有辭 : 宋代 呂祖謙(≪增修東萊書說≫)은 “惡이 사람들의 입에 전파되어 수군거리는 말이 있기까지 하였다.[惡播人口 至於有辭]”라고 풀이하였다.
역주4 厥惟廢元命 : 蔡傳은 元命을 나라의 운명으로 보아 “〈하늘이〉 그 大命을 폐기하여”라고 풀이하였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