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汝惟小子 未其有若汝封之心하니 朕心朕德 惟乃知니라
[傳]已乎 他人未其有若汝封之心이라 言汝心最善하니 我心我 惟汝所知 欲其明成王所以命己之款心이라
[疏]‘王曰汝’至‘乃知’
○正義曰:此又申上旣要囚思念, 定其大斷若爲, 而王言曰 “汝當陳是刑書之法以行事, 其刑法斷獄, 用殷家所行常法故事,
其陳法殷彜, 皆用其合宜者以刑殺, 勿用以就汝封意之所安而自行也, 以用心不如依法故耳.
言汝不但依法, 乃使汝所行盡順, 曰是有次敍, 猶當自惟曰未有順事, 其有餘若不足故耳.
必期汝於大幸, 已乎. 汝惟小子耳, 而他人未其有若汝封之心. 言汝心最善. 汝心旣善, 我心我德惟汝所委知也.”
[疏]○傳‘陳是’至‘故事’
○正義曰:‘陳是法事’, 卽上“汝陳時臬事”. ‘罰蔽殷彜’, 卽上“殷罰有倫”. 上據有初思念得失, 此據臨時行事也.
[疏]○傳‘已乎’至‘款心’
○正義曰:此言‘我’, 我王也. 以王命, 故言王爲‘我’, 以康叔爲‘己’.
若汝不善, 我王家心德, 汝所不知, 則我不順命汝款曲之心.
只由汝最善, 我王心德汝所徧知, 故我王命汝以款曲之心. 述康叔爲言, 故云‘’, 欲令康叔明識此意也.


그만둘 수 있겠느냐. 네 비록 小子이지만 너 의 마음과 같은 이가 없으니, 우리 의 마음과 우리 은 오직 너만이 알고 있을 뿐이다.
그만둘 수 있겠느냐. 다른 사람은 너 의 마음과 같은 이가 있지 못하다. 너의 마음이 가장 착하니, 우리 의 마음과 우리 은 오직 너만이 아는 바라고 말한 것이다. 이것은 成王이 자기(康叔)를 임명한 간곡한 마음을 밝히려고 한 것이다.
의 [王曰汝]에서 [乃知]까지
正義曰:여기서는 또 위에서 이미 要囚 문제를 장고 끝에 대단안을 내린 점을 거듭 천명하게 되는데, 이에 대하여, 은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너는 마땅히 이 刑書의 법을 포진하여 일을 행하되 그 刑法으로 옥사를 단정할 때에는 나라가 행하던 常法故事를 사용하고,
그 법을 포진하는 일과 나라의 常法은 모두 알맞은 것을 써서 刑殺을 하고, 너 의 마음에 편안하게 여기는 것을 써서 스스로 행하지 말도록 할 것이니, 마음을 쓰는 것이 법에 의거하는 것만 못하기 때문이다.
너는 단지 법에 의거할 뿐만이 아니라 너의 행하는 바가 모두 의리에 따라 질서 있게 행해졌다 하더라도 외려 응당 스스로는 의리를 따르는 일이 있지 못하다고 말해야 한다. 그것은 남아나는 것이 있어도 부족한 듯이 여겨야 하기 때문이다.
반드시 너를 큰 행운에 기약할 것을 그만둘 수 있겠느냐. 네 비록 小子이지만 다른 사람은 너 의 마음과 같은 이가 있지 못하다. 너의 마음이 가장 착하다. 너의 마음이 이미 착하니 우리 의 마음과 우리 은 오직 너만이 아는 바라고 말한 것이다.”
의 [陳是]에서 [故事]까지
正義曰:“이 법과 일을 포진하라.”는 것은 곧 위에서 말한 “너는 이 법과 일을 포진하라.”는 것이고, “형벌함에 있어서 나라 常法으로 단정하라.”는 것은 곧 위에서 말한 “나라의 형벌 중에 윤리가 있는 형벌도 겸해서 사용하도록 하라.”는 것인데, 위에는 당초 思念의 득실이 있음에 의거한 것이고, 여기는 때에 임하여 일을 행하는 것에 의거한 것이다.
의 ‘已乎’에서 ‘款心’까지
正義曰:여기서 말한 ‘’는 우리 이란 뜻이다. 王命이기 때문에 을 ‘’라고 말하고 康叔을 ‘’라고 한 것이다.
만일 네가 착하지 않다면 우리 王家의 마음과 덕을 네가 알지 못할 것이니, 우리 은 순조롭게 너를 간곡한 마음으로 임명하지 않았을 것이다.
다만 네가 가장 착함으로 말미암아 우리 의 마음과 덕을 네가 두루 알 바이기 때문에 우리 이 너를 간곡한 마음으로 임명한 것이다. 康叔을 찬술해서 말하기 때문에 ‘’라고 한 것이니, 康叔으로 하여금 이 뜻을 밝게 알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역주
역주1 (心)[德] : 저본에는 ‘心’으로 되어 있으나, 宋兩浙東路茶鹽司本‧汲古閣本에 의거하여 ‘德’으로 바로잡았다.
역주2 (亦)[己] : 저본에는 ‘亦’으로 되어 있으나, 宋刊 單疏本‧宋兩浙東路茶鹽司本에 의거하여 ‘己’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