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이라 降喪于殷하사 殷旣墜厥命이어늘 我有周旣受하소니
[傳]言殷道不至 天下喪亡於殷하여 殷已墜失其王命이어늘 我有周道至已受之
我不敢知曰厥基 永孚于休하고 若天棐忱이니라
[傳]廢興之跡 亦君所知 言殷家其始 長信於美道하고 順天輔誠하여 所以國也
[傳]言殷紂其終墜厥命 以出於不善之故 亦君所知
[疏]‘周公’至‘不祥’
○正義曰:周公留在王朝, 召公不說. 周公爲師, 順古道而呼曰 “君奭, 殷道以不至之故, 故天下喪亡於殷.
殷旣墜失其王命, 我有周已受之矣. 今雖受命, 貴在能終, 若不能終, 與殷無異, 故視殷以爲監戒.
我不敢獨知殷家其初始之時, 能長信於美道, 能安順於上天之道, 輔其誠信, 所以有國, 此亦君之所知. 我亦不敢獨知曰,
殷紂其終墜失其王命, 由出於不善之故, 亦君所知也.”
[疏]○傳‘廢興’至‘以國’
○正義曰:孔以召誥云 “我不敢知”者, 其意召公言我不敢獨知, 亦王所知, 則此言 “我不敢知”, 亦是周公言我不敢獨知, 是君奭所知.
故以此及下句爲說殷之興亡, 言與君奭同知, 擧其殷興亡爲戒. 鄭玄亦然也.


나라의 治道가〉 이르지 않은지라, 하늘이 나라에 喪亡을 내려서 나라가 이미 王命을 실추하였거늘, 우리 나라가 벌써 〈王命을〉 받았으니,
나라의 가 이르지 않았기 때문에 하늘이 나라에 喪亡을 내려서 나라가 이미 그 王命을 실추하였거늘 우리 나라의 가 이르러서 벌써 〈왕명을〉 받게 된 것임을 말한 것이다.
‘〈나라의〉 基業이 〈시초에는〉 아름다운 도리를 길이 믿고 하늘의 를 순종하여 그 誠信을 보필하였음’을 나만 감히 아는 일이 아니다.
하고 한 자취 또한 그대도 아는 바다. 나라가 그 시초에는 아름다운 도리를 길이 믿고 하늘의 를 순종하여 그 誠信을 보필하여 나라를 세우게 된 것임을 말한 것이다.
종말에 〈王命을 잃음이〉 不善에서 나온 것을 나만이 또한 감히 아는 것이 아니다.
殷紂가 종말에 그 王命을 실추한 것이 不善에서 나온 까닭은 또한 그대도 아는 바라고 말한 것이다.
의 [周公]에서 [不祥]까지
正義曰周公王朝에 머물러있자, 召公이 좋아하지 않았다. 周公太師가 되어 옛 를 따라 〈召公을〉 불러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君奭아! 나라의 가 이르지 않았기 때문에 하늘이 나라에 喪亡을 내렸다.
나라가 이미 그 王命을 실추시켰거늘 우리 나라가 벌써 〈왕명을〉 받았다. 지금 비록 왕명을 받았지만 귀한 가치는 마무리를 잘 하는 데에 있는 것이니, 만일 마무리를 잘 하지 못한다면 나라와 다를 것이 없기 때문에 나라를 보아 監戒로 삼는 것이다.
나라가 그 시초에는 능히 아름다운 도리를 길이 믿고 능히 하늘의 를 순종하여 그 誠信을 보필하여 나라를 가지게 된 것을 나만 감히 아는 것이 아니라 이는 또한 그대도 아는 바이다.
나라 가 종말에 그 王命을 실추한 것이 不善에서 나온 까닭은 나만 또한 감히 아는 것이 아니라 또한 그대도 아는 바이다.”
의 [廢興]에서 [以國]까지
正義曰孔安國이 〈召誥〉에서 “나만 감히 알 것이 아니라”라고 한 것은 그 뜻이 召公이 “나만 감히 알 것이 아니라 또한 도 알아야 할 바이다.”라고 말한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 말한 “나만 감히 아는 것이 아니라”라고 한 것 역시 周公이 “나만 감히 아는 것이 아니라 이것은 君奭도 아는 바이다.”라고 한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아랫까지 나라의 興亡을 말한 것은 君奭과 함께 안다는 점을 말한 것이니, 그 나라의 興亡을 들어서 경계한 것이다. 鄭玄도 역시 그렇게 여겼다.


역주
역주1 弗弔(적) : 孔傳은 ‘弗弔’을 ‘道不至’로 보아 〈大誥〉의 ‘弗弔’은 “周道不至”로, 〈多士〉의 ‘弗弔’은 “殷道不至”로, 〈君奭〉의 ‘弗弔’도 “殷道不至”로 일관성 있게 풀이한 반면, 蔡傳은 〈大誥〉에서는 “‘弔’는 恤(가엾음)의 뜻이니, 우리가 하늘에게 가엾게 여김을 받지 못함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고, 〈多士〉에서는 “‘弗弔’는 未詳하나 아마 歎憫의 말인가 본데 당시 방언이었으리라.”고 하였을 뿐, 그 밖에는 설명이 없으니, 아마 歎辭로 본 듯하다. 元代 吳澄은 不幸의 뜻으로 보았다.
역주2 我不敢知……出于不祥 : 蔡傳은 “하늘이 殷나라에 喪亡을 내려서 殷나라가 이미 天命을 떨어뜨렸거늘, 우리 周나라가 벌써 天命을 이어받았노라. 그러나 내 감히 알 수 없노니, 그 基業은 아름다움에 길이 보장된 것으로 믿어도 될 것인지. 과연 하늘이 우리의 정성을 도와줄 것인지. 내 또한 감히 알 수 없노니, 〈뒷날 또 떨어뜨려서〉 종말에 상서롭지 못한 쪽으로 나갈 것인지.[我不敢知 曰其基業 長信於休美乎 如天果輔我之誠耶 我亦不敢知 曰其終 果出於不祥乎]”라고 풀이하였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