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傳]我留 非能有改正이라 但欲蹈行先王光大之道하여 施正於我童子 童子 成王이라
[疏]‘嗚呼’至‘沖子’
○正義曰:周公又歎而呼召公曰 “嗚呼, 君已.” ‘已’, 辭也. 旣歎乃復言曰 “君當是我之留, 勿非我也.
我亦不敢安於上天之命, 故不敢不留. 君何不長遠念天之威罰. 禍福難量, 當勤敎於我下民, 使無尤過違法之闕.
惟今天下衆人, 共誠心存在我後嗣子孫, 觀其政之善惡, 若此嗣王大不能恭承上天下地, 絶失先王光大之道, 令使衆人失望,
我若退老在家, 則不能得知, 何得不留輔王也. 天命不易, 言甚難也. 天難信, 惡則去之, 不常在一家, 是難信也.
天子若不稱天意, 乃墜失其王命, 不能經久歷遠, 其事可不愼乎. 繼嗣前人先王之大業, 恭奉其明德也. 正在今我小子旦.”
周公自言己身當恭奉其先王之明德, 留輔佐王. “非能有所改正, 但欲蹈行先王光大之道, 施政於我童子.”
童子謂成王, 意欲奉行先王之事, 以敎成王也.
[疏]○傳‘歎而’至‘不留’
○正義曰:歎而言曰:“嗚呼, 君已.” ‘已’ 是引聲之辭, 旣呼君奭, 歎而引聲.
乃復言曰 “君當是我之留.” 以其意不說, 故令是我而勿非我.
‘我不敢安於上天之命’, 孔意當謂天旣命周, 我當成就周道, 故不敢不留.


능히 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前人의 광대한 도덕을 이행하여 우리 沖子에게 〈그 政法을〉 베풀려 할 뿐이다.
내가 머문 까닭은 능히 개정하는 일이 있으려는 것이 아니라, 다만 先王光大한 도덕을 이행하여 우리 童子에게 政法을 베풀려 할 뿐이란 것이다. ‘童子’는 成王이다.
의 [嗚呼]에서 [沖子]까지
正義曰周公이 또 탄식하며 召公을 불러서 “아, 아!”라고 하였다. ‘’는 語助辭다. 이미 탄식하고 나서 다시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은 마땅히 나의 머묾을 옳게 여겨야 하니, 나를 그르게 여기지 말라.
나 또한 감히 上天을 안정한 것으로 여기지 않기 때문에 감히 머물지 않을 수 없다. 은 어찌하여 하늘의 威罰長遠히 생각하지 않는가. 禍福은 헤아리기 어려우므로 마땅히 우리 백성들을 부지런히 가르쳐서 과오로 법을 어기는 잘못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지금 천하 여러 사람들은 誠心으로 모두 우리 後嗣의 자손에게 관심을 가지고 정치의 선악을 지켜보는데, 만일 嗣王이 크게 능히 天地를 공손히 받들지 않아 先王光大를 단절하여 여러 사람을 실망시켰을 경우,
우리가 만일 늙어서 집에 있게 되면 그것을 알 수 없을 것인데, 머물러서 을 보필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天命은 보전하기 쉽지 않음은 몹시 어려움을 말한 것이다. 하늘은 믿기 어려우니, 정치가 악하면 떠나가고 한 국가에 계속 머물러있지 않으므로 이것이 믿기 어려운 점이다.
천자가 만일 하늘의 뜻을 맞추지 않아 王命을 실추하게 되면 장구한 역년을 가질 수 없는데, 그 일을 삼가지 않을 수 있겠는가. 前人先王大業을 계승하여 그 밝은 을 공손히 받들어야 한다. 그 책임이 진정 지금 나 小子 에게 있노라.”
周公은 스스로 자신이 마땅히 先王의 밝은 을 공손히 받들고 머물러서 을 보좌해야 할 점을 말하면서 “〈내가 머문 까닭은〉 능히 개정하는 일이 있으려는 것이 아니라, 다만 先王光大한 도덕을 이행하여 우리 童子에게 政法을 베풀려 할 뿐이다.”라고 하였다.
童子’는 成王을 이르는데, 先王의 일을 받들어 행함으로써 成王을 가르치려는 생각을 가진 것이다.
의 [歎而]에서 [不留]까지
正義曰:탄식하고 말씀하기를 “아, 아!”라고 하였다. ‘’는 소리를 끄는 말이니, 이미 君奭을 불러놓고 탄식하면서 소리를 끄는 것이다.
이에 다시 말씀하기를 “은 마땅히 나의 머묾을 옳게 여겨야 한다.”라고 한 것은 그의 의중이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나를 옳게 여기고 나를 그르게 여기지 말게 한 것이다.
我不敢安於上天之命’은 孔安國의 생각은 응당 하늘이 일단 나라에 명한 것으로 여기고서 “나는 마땅히 나라의 治道를 성취시켜야 하기 때문에 감히 머물지 않을 수 없다.”라고 한 것이다.


역주
역주1 天難諶……施于我沖子 : 蔡傳은 “하늘은 믿기 어려운 것이니, 天命을 실추하는 것은 능히 前人(先王)이 〈하늘과 백성을〉 공경한 밝은 德을 經歷(遵行)하여 계승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非克有正’은 또한 스스로 겸손을 부리는 말이다. ‘지금 나 小子 旦에 있어서는 능히 바로잡을 자격을 가지지 않았다. 啓導하는 방법은 오직 前人의 光大한 德을 더욱 빛나게 해서 우리 沖子에게 부여할, 그 일뿐이다.’라는 것이니, 앞에서 말한 ‘後嗣의 자손이 前人의 光明한 德을 실추할 것이다.’라는 것을 가지고 말한 것이다.[天難諶信 乃其墜失天命者 以不能經歷繼嗣前人之恭明德也 非克有正 亦自謙之辭也 言在今我小子旦 非能有所正也 凡所開導 惟以前人光大之德 使益燿而付于沖子而已 以前言後嗣子孫佚前人光而言也]”라고 풀이하였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