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公曰 君奭 이라 保乂有殷하더시니 有殷嗣 天滅威니라
[傳]天壽有平至之君이라 安治有殷이어늘 有殷嗣子紂 不能平至일새 天滅亡하고 加之
今汝永念하면 則有固命하여 厥亂 明我新造邦하리라
[傳]今汝長念平至者安治 反是者滅亡하여 以爲法戒 則有堅固王命하여 其治理 足以明我新成國矣리라
[疏]‘公曰君奭天’至‘造邦’
○正義曰:周公呼召公曰 “君奭, 皇天賦命, 壽此有平至之君. -言有德者, 必壽考也.- 殷之先王, 有平至之德, 故能安治有殷. -言故得安治也.-
有殷嗣子紂不能平至, 故天滅亡而加之以威. 今汝奭當長念天道平至者安治, 不平至者滅亡.
以此爲法戒, 則有堅固王命, 其治理足以明我新成國矣.”
[疏]○傳‘言天’至‘以威’
○正義曰:‘格’, 訓至也. ‘平’, 謂政敎均平, ‘至’, 謂道有所至也. 言‘不弔’, 謂道有不至者. 此言‘格’, 謂道至者.
“天壽有平至之君”, 有平至之德, 則天與之長壽, 則知中宗高宗之屬身是也.
由其君有平至之德, 故能安治有殷, 言有殷國安而民治也.
有殷嗣子紂, 其德不能平至, 國不安, 民不治, 故天滅亡之而加之以威也. 孔傳之意, 此經專說君之善惡, 其言不及臣也.
王肅以爲兼言君臣, 注云 “殷君臣之有德, 故安治有殷. 言是者, 不可不法殷家有良臣也.”
鄭注以爲言臣事, ‘格’, 謂至於天也, 與孔不同.
[疏]○傳‘今汝’至‘國矣’
○正義曰:上句言善者興而惡者亡, 此句令其長安治及念明道.
念上二者, 故言“今汝長念平至者而安治, 反是者滅亡.” 念此以爲法戒, 則有堅固王命, 王族必不傾壞.
若能如此, 其治理足以光明我新成國矣. 周自武王伐紂, 至此年歲未多, 對殷而言, 故爲新國.
傳意言不及臣, 周公說此事者, 蓋言興滅由人, 我欲輔王, 使爲平至之君.


은 말씀하였다. “君奭아! 하늘은 平至을 가진 임금을 장수하게 하기 때문에 나라를 안보해 다스렸었는데, 나라 嗣子인 〈平至하지 못하였으므로〉 하늘이 멸망시키고 위엄을 가하였다.
하늘이 平至을 가진 임금을 장수하게 하기 때문에 나라를 안보해 다스렸었는데, 나라 嗣子가 능히 平至하지 못하므로 하늘이 멸망시키고 게다가 위엄을 가하였다고 말한 것이다.
그러니 지금 당신이 길이 생각한다면 王命을 견고히 해서 그 다스림의 성과가 우리가 새로 조성한 나라를 밝게 할 것이다.”
지금 당신이 平至한 이는 편안히 다스리고 이와 반대로 하는 이는 멸망한다는 사실을 길이 생각하여 法戒로 삼는다면 王命을 견고히 해서 그 治理가 족히 우리가 새로 조성한 나라를 밝게 하리라고 한 것이다.
의 [公曰君奭天]에서 [造邦]까지
正義曰周公召公을 불러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君奭아! 皇天을 부여하되 平至을 가진 임금을 장수하게 하였다. -을 가진 이는 반드시 壽考함을 말한 것이다.- 나라의 先王平至을 가졌기 때문에 나라를 편안히 다스릴 수 있었다. -그러므로 편안히 다스리게 되었음을 말한 것이다.-
나라 嗣子가 능히 平至하지 못하므로 하늘이 멸망시키고 게다가 위엄을 더하였다. 지금 당신 은 응당 天道平至한 이는 편안히 다스리고 平至하지 않은 이는 멸망한다는 사실을 길이 생각하여야 한다.
이를 法戒로 삼는다면 王命을 견고히 해서 그 治理가 족히 우리가 새로 조성한 나라를 밝게 하리라.”
의 [言天]에서 [以威]까지
正義曰:‘’은 (이르다)의 뜻으로 풀이한다. ‘’은 政敎均平함을 이르고, ‘’는 가 이른 바가 있음을 이른다. ‘不弔’이라 말함은 가 이르지 않음을 이른 것이다. 여기서 말한 ‘’은 가 이름을 이른 것이다.
“하늘이 平至한 덕을 가진 임금을 장수하게 한다.”라는 것은 平至을 가지면 하늘이 長壽를 부여하기 마련이므로 中宗高宗 등이 이에 해당함을 〈孔安國은〉 알았던 것이다.
그 임금이 平至을 가졌기 때문에 능히 나라를 편안히 다스렸다는 것은 나라가 편안하고 백성이 다스려짐을 말한 것이다.
나라의 嗣子는 그 이 능히 平至하지 않아서 나라가 편안하지 않고 백성이 다스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하늘이 멸망시키고 위엄을 더하였다는 것이다. 孔傳의 뜻은 이 經文이 임금의 善惡만을 오로지 말하므로 그 말이 신하에게 미쳐가지 않은 것으로 여겼다.
王肅君臣을 겸해서 말한 것으로 여기고 를 달기를 “나라 君臣을 가졌기 때문에 나라를 편안히 다스렸다. 이것은 나라가 어진 신하를 가졌던 점을 본받지 않을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고,
鄭注는 신하의 일만을 오로지 말한 것으로 여기고, ‘’은 하늘에 이른 것이라 일렀으니, 공안국과 같지 않았다.
의 [今汝]에서 [國矣]까지
正義曰:윗에서는 한 자는 흥하고 한 자는 망한다는 점을 말하였고, 이 에서는 길이 편안히 다스리고 도리를 밝힐 것을 생각하도록 하였다.
위의 두 가지를 생각하기 때문에 “지금 당신이 平至한 이는 편안히 다스리고 이와 반대로 하는 이는 멸망한다는 사실을 길이 생각하여.”라고 말한 것이다. 이를 생각하여 法戒로 삼는다면 王命이 견고해져서 王族이 반드시 傾壞하지 않을 것이다.
만일 능히 이와 같이 한다면 그 治理가 족히 우리가 새로 조성한 나라를 光明하게 할 것이다. 나라는 武王를 친 때로부터 이에 이르러 햇수가 많지 않으니, 나라를 상대로 해서 말하기 때문에 새 나라라고 말한 것이다.
의 뜻은 말이 신하에게 미쳐가지 않은 것으로 여겼으나 周公이 이 일을 말한 것은 아마 흥기와 멸망은 사람에 말미암은 것이므로 내가 을 보필하여 平至한 임금이 되게 하고자 한다는 점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天壽平格……嗣天滅威 : 蔡傳은 “하늘은 〈반드시 大臣이〉 공평무사하여 하늘의 마음과 일치하여야 그 국가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여섯 신하들은 모두 공평무사하여 하늘의 마음과 일치하였기 때문에〉 殷나라를 보존해 다스려 오랜 동안 治安의 수명을 누리게 하였는데, 殷紂가 天位를 이어 〈공평무사하여 하늘의 마음과 일치하는 노성한 신하들을 버렸기 때문에〉 하늘이 벌을 내려서 멸망시킨 〈하늘의〉 威命에 걸렸다.”로 풀이하였다.
역주2 平格 : 孔傳은 “平至”로, 鄭玄은 “格者 格於天”으로, 孔疏는 “‘平’은 政敎가 均平함을 이르고, ‘至(格)’는 道가 이르는 바가 있음을 이른다.[平謂政敎均平 至謂道有所至]”로 풀이하였는데, 宋代 黃倫(≪尙書精義≫)은 孔疏를 따랐으며, 蘇軾(≪書傳≫)은 “和平至道”로, 錢時(≪融堂書解≫)는 ‘格’을 “感格”의 ‘格’으로 풀이하였다. 또한 吳澄은 “‘平格’은 한 가지 일도 하늘과 통하지 않음이 없음을 이른다.[平格 謂無一事不與天通者]”로, 元代 朱祖義(≪尙書句解≫)는 “능히 그 백성들을 화평하게 해서 善에 이르도록 한다.[能和平其民 使至於善]”로 풀이하였다.
역주3 (信)[言] : 저본에는 ‘信’으로 되어 있으나, 宋刊 單疏本에 의거하여 ‘言’으로 바로잡았다.
역주4 (有)[以] : 저본에는 ‘有’로 되어 있으나, 宋刊 單疏本에 의거하여 ‘以’로 바로잡았다.
역주5 (傳)[專] : 저본에는 ‘傳’으로 되어 있으나, 宋刊 單疏本에 의거하여 ‘專’으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