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惟文王 尙克修和我有夏하시고 亦惟有若虢叔 有若閎夭
[傳]文王庶幾能修政化하여 以和我所有諸夏하고 亦惟賢臣之助爲治 有如此虢閎이라
이라 文王弟이라
有若散宜生하고 有若泰顚하고 有若南宮括이라
[傳]散泰南宮 皆氏 宜生顚括 皆名이라 凡五臣 佐文王하여 爲胥附〮奔走先後禦侮之任이라
[疏]‘公曰君奭’至‘厥躬’
○正義曰:公呼召公曰 “君奭, 在昔上天斷割其義, 重勸文王之德.
以文王有德, 勸勉使之成功, 故文王能成之命於其身.” 言文王能順天之意, 勤德以受命.
[疏]○傳‘在昔’至‘受命’
○正義曰:文王去此未久, 但欲遠本天意, 故云“在昔上天”, 作久遠言之. ‘割制’, 謂切割絶斷之意, 故云 “割制其義.”
‘重勸文王之德’者, 文王旣已有德, 上天佑助而重勸勉, 文王順天之意, 故其能成大命於其身, 謂勤行德義, 以受天命.
[疏]○傳‘文王’至‘夭名’
○正義曰:文王未定天下, 庶幾能修政化, 以和我所有諸夏, 謂三分有二屬己之諸國也.
僖五年左傳云 “虢仲‧虢叔, 王季之穆也.” 是虢叔爲文王之弟. 虢, 國名, 叔, 字.
凡言人之名氏, 皆上氏下名, 故閎‧散‧泰‧南宮皆, 夭‧宜生‧顚‧括皆名也.
[疏]○傳‘散泰’至‘之任’
○正義曰:詩綿之卒章稱文王有疏附‧先後‧奔奏‧禦侮之臣, 毛傳云 “率下親上曰疏附, 相前後曰先後,
喩德宣譽曰奔奏, 武臣折衝曰禦侮.” 鄭箋云 “疏附, 使疏者親也, 奔奏, 使人歸趨之.”
詩言文王有此, 經歷言五臣之名, 故知五臣佐文王爲此任也. 此者, 五臣共爲此任, 非一臣當一事也.
鄭云 “不及呂望者, 太師文王以大德, 周公謙不可以自比.”


文王이 거의 〈정치교화를〉 닦아서 우리가 소유한 (中國)를 잘 화합시켰고, 또한 虢叔과 같은 이가 있고 閎夭 같은 이가 있으며
文王이 거의 능히 정치교화를 닦아서 우리가 소유한 중국을 화합시켰고, 또한 어진 신하의 도움으로 정치를 함에 이와 같은 虢叔閎夭가 있었다.
’은 요, ‘’은 나라이다. ‘’은 文王의 아우이다. ‘’는 이름이다.
散宜生 같은 이가 있고, 泰顚 같은 이가 있고, 南宮括 같은 이가 있었다.
南宮은 모두 요, 宜生은 모두 이름이다. 이들 다섯 신하는 文王을 보좌하여 ‘胥附’‧‘奔走’‧‘先後’‧‘禦侮’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의 [公曰君奭]에서 [厥躬]까지
正義曰召公을 불러서 말씀하였다. “君奭아! 옛날 上天이 그 斷割하고 거듭 文王을 권면하였다.
文王이 덕을 가졌기 때문에 권면하여 공을 이루게 하였다. 그러므로 文王이 능히 천명을 그 몸에 이룰 수 있었다.” 文王이 능히 하늘의 뜻을 따라 덕을 부지런히 닦아서 천명을 받았음을 말한 것이다.
의 [在昔]에서 [受命]까지
正義曰文王은 그리 오래된 인물이 아닌데, 다만 하늘의 뜻을 멀리 추구하려고 하기 때문에 “옛날 上天”이라고 하여 아주 먼 느낌을 주어서 말했을 뿐이다. ‘割制’는 끊고 자르는 뜻을 이르기 때문에 “그 割制하였다.”라고 한 것이다.
重勸文王之德’이란 것은 文王에게 이미 덕이 있으므로 上天이 그를 도와 거듭 권면하자, 文王이 하늘의 뜻을 따랐기 때문에 능히 大命을 그 몸에 이룰 수 있었으니, 바로 德義를 부지런히 행하여 天命을 받은 점을 이른 것이다.
의 [文王]에서 [夭名]까지
正義曰文王이 아직 천하를 정하지 못했을 적에 거의 능히 정치교화를 닦아서 우리가 소유한 중국을 화합시켰다는 것이니, 곧 3분의 2의 자기에게 속한 여러 나라를 이른 것이다.
春秋左氏傳僖公 5년 조에 “虢仲虢叔王季의 아들이다.”라고 하였으니, 이 虢叔文王의 아우이다. 은 나라 이름이고, 이다.
무릇 사람의 名氏를 말할 때에는 모두 위는 , 아래는 이기 때문에 南宮은 모두 요, 宜生은 모두 이름이다.
의 [散泰]에서 [之任]까지
正義曰:≪詩經≫ 〈大雅 綿〉의 卒章에 “文王에게 疏附先後奔奏禦侮의 신하가 있다.”고 칭하였는데, 毛傳에는 “아랫사람을 거느리고 윗사람을 친근히 함을 ‘疏附’라 하고, 서로 앞뒤에서 인도한 것을 ‘先後’라 하고,
〈왕의〉 을 알리고 왕을 칭송하는 소리를 선양하는 것을 ‘奔奏’라 하고, 武臣이 적을 막는 것을 ‘禦侮’라 한다.”라고 하고, 鄭箋에는 “‘疏附’는 疏遠한 자를 친근하게 하는 것이고, ‘奔奏’는 사람을 歸趨하게 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에서 文王에게 이 4의 신하가 있다고 말하고 經文에서 다섯 신하의 이름을 내리 말하였기 때문에 다섯 신하가 文王을 도와 이 임무를 하였음을 〈孔安國이〉 알았던 것이다. 이 네 가지 일은 다섯 신하가 함께 임무를 한 것이지, 한 신하가 한 일씩 담당한 것이 아니었다.
鄭玄이 “呂望을 언급하지 않은 것은 〈呂望이〉 太師로서 大德으로써 文王敎諭하였으니, 周公이 겸손하여 스스로 비교할 수 없었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王)[正] : 저본에는 ‘王’으로 되어 있으나, 諸本에 의거하여 ‘正’으로 바로잡았다.
역주2 (是)[氏] : 저본에는 ‘是’로 되어 있으나, 諸本에 의거하여 ‘氏’로 바로잡았다.
역주3 (通)[道] : 저본에는 ‘通’으로 되어 있으나, 毛傳에 의거하여 ‘道’로 바로잡았다.
역주4 四種之臣 : 疏附‧先後‧奔奏‧禦侮의 신하를 가리킨다.
역주5 四事 : 疏附‧先後‧奔奏‧禦侮의 일이다.
역주6 (致)[敎] : 저본에는 ‘致’로 되어 있으나, 宋刊 單疏本‧宋兩浙東路茶鹽司本‧宋慶元間建安魏縣慰宅本에 의거하여 ‘敎’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