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在時二人이면 天休滋至리니 惟時二人 弗戡이로소니
[傳]言汝行事 動當有所合哉 發言常在是文武 則天美周家 日益至矣리니 惟是文武不勝受 言多福이라
[傳]其汝能敬行德하고 明我賢人在禮讓이면 則後代將於此道大且是
[疏]‘公曰君告’至‘丕時’
○正義曰:周公呼召公曰 “君, 我今告汝以我之誠信.” 又呼其官而名之 “太保奭, 其汝必須能敬以我之言, 視於殷之喪亡.
殷之喪亡, 其事甚大, 不可不戒愼. 以殷喪大之故, 當念我天德可畏.” 言天命無常, 無德則去之, 甚可畏.
“我不信, 惟若此誥而已. 我惟言曰 ‘當因我文武二人之道而行之.’ 汝所行事, 擧動必當有所合哉. 當與文王武王合也.
汝所發言, 常在是文王武王二人, 則天美我周家, 日日滋益至矣. 其善旣多, 惟在是文武二人, 不能勝受之矣.
其汝能敬行德, 明我賢俊之人在於禮讓, 則後人於此道大且是也.”
[疏]○傳‘言汝’至‘多福’
○正義曰:‘動當有所合哉’, 擧動皆合文武也. ‘發言常在是文武’, 言非文武道則不言.


그대는 〈일을 행함에 문왕과 무왕의 와〉 합함이 있는가. 발언함이 이 두 사람(문왕‧무왕)에게 있다면(문왕과 무왕의 도만 말하고, 아니면 말하지 않는다면) 하늘의 아름다움이 더욱 이를 것이니, 이 두 사람이 다 받아낼 수 없을 것이다.
그대는 일을 행함에 거동함이 응당 〈문왕과 무왕의 도와〉 합함이 있는가. 발언함이 항상 이 문왕과 무왕의 도에 있다면 하늘이 나라를 아름답게 하는 것이 날로 더욱 이를 것이니, 문왕과 무왕이 다 받아낼 수 없을 게란 말이다. 많은 복을 말한 것이다.
너는 능히 을 공경히 행하고, 준걸한 백성들을 禮讓에 있어서 밝게 드러내면, 後人에게 〈이 가〉 크고 옳은 길이 될 것이다.
너는 능히 공경히 덕을 행하고 우리 어진 사람들을 禮讓에 있어서 밝게 드러낸다면, 후대에 장차 이 에서 크고 옳은 길을 행할 것이란 말이다.
의 [公曰君告]에서 [丕時]까지
正義曰周公召公을 불러서 말씀하기를 “아! 내가 지금 너에게 나의 誠信을 고하노라.”라고 하고, 또 그 벼슬과 이름을 불러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太保아! 너는 반드시 모름지기 능히 나의 말을 경청하여 나라의 喪亡을 살펴보도록 하라.
나라의 喪亡은 그 일이 몹시 크므로 경계하지 않을 수 없다. 나라 喪亡의 큰일을 가지고 응당 우리의 天德은 두려운 것임을 유념해야 한다.” 천명은 무상한 것이라 덕이 없으면 떠나가니 몹시 두려운 것이다.
“내가 성신하지 못하고서 이와 같이 고유할 뿐이겠는가. 내가 오직 말하자고 한 것은 ‘응당 우리 文王武王 두 사람의 를 인하여 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너는 일을 행함에 거동함이 응당 〈문왕과 무왕의 도와〉 합함이 있는가. 마땅히 文王武王과 더불어 합해야 한다.
너의 발언함이 항상 이 문왕과 무왕 두 사람의 도에 있다면 하늘이 나라를 아름답게 하는 것이 나날이 더욱더 이를 것이다. 그 선함이 이미 많으므로 文王武王 두 사람에 있어서 능히 〈그 을〉 다 받아낼 수 없을 것이다.
너는 능히 공경히 덕을 행하고 우리 어진 사람들을 禮讓에 있어서 밝게 드러낸다면 後人들이 장차 이 에서 크고 옳은 길을 행할 것이다.”
의 [言汝]에서 [多福]까지
正義曰:‘動當有所合哉’는 擧動이 모두 文王武王에 합하는 것이다. ‘發言常在是文武’는 文王武王가 아니면 말하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汝有合哉……弗戡 : 蔡傳은 “그대는 내말을 듣고 수긍하는가. 또한 〈왕업을 이룰 책임이 참으로〉 이 두 사람에게 있기는 하나, 다만 하늘의 아름다운 징후가 불어나 이르거든(功業이 날로 성하고 福祿이 날로 증가하거든) 우리 두 사람이 장차 감당하지 못할 것이니[汝聞我言而有合哉 亦曰在是二人 但天休滋至 惟是我二人 將不堪勝]”로 풀이하였다.
역주2 汝有合哉 : 蘇軾은 “너는 내 말을 들으면 마음에 합함이 있을 것이다.[汝聞我言而心有合也]”로, 林之奇는 “너는 나와 합함이 있어서 머물러 成王을 보필하도록 하라.[汝其有以合於我 以留輔成王也]”로, 夏僎은 “너는 응당 나의 뜻과 합함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니, 아마 협력해서 함께 돕게 하고자 해서였으리라.[汝當與我意有合 蓋欲協力而共賛也]”로, 呂祖謙은 “너에게 묻건대, 너의 의견은 이에 합하는가, 이에 합하지 않는가.[蓋甞問汝 汝之見有合於此哉 其不合於此哉]”로 풀이하였는데, 蔡傳은 蘇軾을 따랐다.
역주3 言曰 : 孔疏에서는 “네 발언하는 바[汝所發言]”로, 呂祖謙은 “너는 말하기를[汝則言曰]”로 ‘言曰’을 분명하게 召公의 말로 밝혔는데, 蔡傳은 단지 “亦曰”로만 풀이해서 周公의 말인지 召公의 말인지 헛갈리게 하였다. 그러나 이는 周公이 召公이 그렇게 말할 것이라고 짐작해서 한 말이다.
역주4 予不允……在讓後人于丕時 : 蔡傳은 “周公은 말씀하기를 “내가 남을 믿지 않고서 이와 같이 고유하겠는가. 내 이르건대 ‘왕업의 이루어짐이 나와 그대에게 달려 있을 뿐이다.’라고 하노니, 그대는 내 말을 듣고 수긍하는가. 또한 ‘이 우리 두 사람에게 달려 있는 것은 사실이나, 다만 하늘의 아름다움이 더욱 이르거든 우리 두 사람이 장차 감당할 수 없을 것이다.’라고 말할 터인데, 그대가 만일 盈滿을 두려워하거든 마땅히 스스로 德을 공경하여 더욱 근신하고, 준걸한 백성을 밝게 드러내어 여러 관직에 포진시켜 大臣의 직책을 다함으로써 불어나 이르는 하늘의 아름다움에 보답할 것이요, 한갓 두려워서 떠나가고자 하지 말라. 후일 그대의 입장에 있어 크게 융성할 때에 후인들에게 양보하고 초연히 떠나간다면 그 누가 다시 그대를 붙잡겠는가. 지금이 어찌 그대가 직위를 사양할 때인가.[周公言 我不信於人而若此告語乎 予惟曰 王業之成 在我與汝而已 汝聞我言而有合哉 亦曰在是二人 但天休滋至 惟是我二人 將不堪勝 汝若以盈滿爲懼 則當能自敬德 益加寅畏 明揚俊民 布列庶位 以盡大臣之職業 以答滋至之天休 毋徒惴惴而欲去爲也 他日在汝 推遜後人于大盛之時 超然肥遯 誰復汝禁 今豈汝辭位之時乎]”라고 하였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