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今王 惟曰 先王 旣勤用明德하사 懷爲夾하시니
[傳]言文武已勤用明德하여 懷遠爲近하시니 汝治國當法之니라
○夾 近也
하여 亦旣用明德하니
[傳]하여 爲兄弟之國하니 方皆來賓服하여 亦已奉用先王之明德이라
[傳]君天下能用常法하면 則和集衆國하여 大來朝享이라


이제 을 〈칭하여 너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겠노라. “先王께서 이미 힘을 들여 밝은 을 써서 제후들을 회유해 와 친근하게 하시므로
文王武王이 이미 힘을 들여 明德을 써서 먼 곳에 있는 사람들을 회유해 와 친근하게 하셨으니, 너는 나라를 다스릴 때에 마땅히 그를 본받아야 한다고 말한 것이다.
○‘’은 의 뜻이다.
여러 나라 제후들이 朝見하러 오면 兄弟之國을 삼으니, 곳곳에서 와서 또한 모두 〈선왕의〉 밝은 을 활용하니,
여러 나라가 에게 朝享을 하면 또 어진이를 친애하고 이웃과 우호를 맺어 兄弟之國을 삼으니, 곳곳에서 모두 와서 賓服하여 또한 이미 先王의 밝은 을 받들어 활용한다는 것이다.
군림하여 常法을 활용하면 여러 나라를 화열하게 집합시켜 대대적으로 와서 朝享을 하게 할 것이다.
천하에 군림하여 능히 常法을 활용하면 여러 나라를 화열하게 집합시켜 대대적으로 와서 朝享을 하게 할 것이란 말이다.


역주
역주1 庶邦享……方來 : 蔡傳은 享과 來에 句를 끊어서 “여러 나라 제후로서 朝見하러 오는 자들이 형제처럼 서로 친하여 사방에서 와서”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衆國朝享於王……(萬)[方]方皆來賓服 : 兪樾은 “枚氏는 ‘作兄弟’를 1句로 하고, ‘方來’를 1句로 하였으므로 몹시 말이 되지 않으니, 응당 ‘作兄弟方來’ 5字를 1句로 해야 한다. ‘作’은 使의 뜻이고, ‘方’은 竝의 뜻임을 말한 것이다. ‘作兄弟方來’는 곧 ‘使兄弟竝來’이니, 兄弟之國으로 하여금 모두 와서 朝享하게 함을 말한 것이다.[枚以作兄弟爲句 方來爲句 甚爲不辭 當以作兄弟方來五字爲句 作者使也 方之言竝也 作兄弟方來者 使兄弟竝來也 言使兄弟之國 竝來朝享也]”라고 하였다.
역주3 親仁善鄰 : ≪春秋左氏傳≫ 隱公 6년 조에 “어진 이를 친애하고 이웃과 사이좋게 지내는 것은 나라의 보배이다.[親仁善隣 國之寶也]”라고 보인다.
역주4 (萬)[方] : 저본에는 ‘萬’으로 되어 있으나, 宋兩浙東路茶鹽司本‧宋慶元間建安魏縣慰宅本에 의거하여 ‘方’으로 바로잡았다.
역주5 今王惟曰……庶邦丕享 : 蔡傳은 曰, 德, 夾, 享, 來, 集, 享에 句를 끊어서 “이제 왕께서 유념하시기를 ‘先王께서 이미 힘을 들여 밝은 德을 써서 제후들을 회유해 와 친근하시니, 여러 나라 제후로서 朝享하러 오는 자들이 형제처럼 서로 친하여 여러 방면에서 와서 또한 모두 밝은 德을 써서 〈각각 忠君愛國의 마음을 가졌으니,〉 後王인 내가 선왕의 법을 써서 〈여러 방면의 제후들을 一心에〉 모아 품어 안겠노라.’고 하신다면, 여러 나라들이 크게 와서 朝享할 것입니다.”라고 풀이하고는 “이 章 이후는 신하가 進戒한 말인 것 같은데, 의심컨대 簡策이 탈락하여 여기에 오류가 있는 듯하다.[此章以後 若臣下進戒之辭 疑簡脫誤於此]”라고 하였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