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惟太保先周公相宅이라
[傳]太保 三公官名이니 召公也 召公 於周公前相視洛居하고 周公 後往이라
惟丙午 越三日戊申 太保朝至于洛하여 卜宅하여
[傳]朏 明也 月三日明生之名이라 於順來三月丙午朏 於朏三日 三月五日이니 召公早朝至於洛邑하여 相卜所居
厥旣得卜하니 則經營하니라
[傳]其已得吉卜하니 則經營規度城郭郊廟朝市之位處


太保周公에 앞서 거주할 곳을 살펴보았다.
太保’는 三公의 벼슬이름이니, 곧 召公이다. 召公周公 앞에 가서 洛邑의 거주할 곳을 살펴보았고, 周公召公 뒤에 간 것이다.
순차적으로 오는 3월 丙午日인 〈달이 밝아지는〉 초사흘에서 3일이 지난 戊申日太保가 아침에 洛邑에 이르러 거주할 집터에 대한 거북점을 쳐보아서,
’는 의 뜻이니, 달이 초사흘에 밝음이 생기는 명칭이다. 〈2월 후에〉 순차적으로 다가오는 3월 丙午日 달이 밝아지는 때(초사흘)에, 달이 밝아지는 날에서부터 3일 지난 날은 3월 닷새이니 〈이 날〉 召公이 이른 아침에 洛邑에 이르러서 거주할 집터를 살펴보고 거북점을 쳤다는 것이다.
이미 한 점괘를 얻었으므로 곧 經營(측량하여 설계하기 시작함)하였다.
이미 좋은 점괘를 얻었으므로 곧 城郭宗廟朝廷과 저자(시장)의 위치를 經營하고 規度(계략을 씀)하였다는 것이다.


역주
역주1 越若來三月 : 孔傳은 “순차적으로 오는 3월”로 보았는데, 이에 대하여 丁若鏞(≪尙書知遠錄≫)은 “‘於順來’는 무슨 말인가. 너무도 괴이하다. ‘越若’이란 것은 語辭이다. ‘來三月’이란 것은 ‘來日’이니 ‘來年’이니 하는 말과 같다. 朱子는 劉氏(劉安世)의 說을 인용하여 ‘「來三月」은 「明日」이란 말과 같다.’고 하였다.[於順來 何說也 可怪之甚 越若者 語辭也 來三月者 猶言來日來年 朱子引劉氏說云 來三月 猶言明日]”라고 하였다.
蔡傳은 “‘越若來’는 옛날의 語助辭이니, 召公이 豊에서 멈추지 않고 계속 온 점을 말한 것이다.[越若來 古語辭 言召公於豊迤邐而來]”라고 풀이하였는데, 이에 대하여 元代 董鼎(≪書傳輯錄纂註≫)은 “林氏(林之奇)는 ‘≪後漢書≫ 〈律曆志〉에 「3월 甲辰朔 3일 丙午」라 했다.’고 하였고, 元城 劉氏(宋代 劉安世)는 ‘「越若」은 發語聲이고, 「來三月」은 「明三月」이란 말과 같다.’고 하였는데, 息齋 余氏(元代 余芑舒)는 ‘「越若」은 朱子가 이미 劉安世의 說을 채택해서 集解 가운데 나타냈으니, 마땅히 그를 따라야 하고, 굳이 「召公이 멈추지 않고 계속 왔다.」라고 말할 필요가 없다.’고 했다.[林氏曰 漢志曰 三月甲辰朔三日丙午 元城劉氏曰 越若發語聲 來三月 猶言明三月也 息齋余氏曰 越若 朱子旣采劉說 見集解中 宜從之 不必言召公迤邐而來也]”라고 하였으며, 明代 馬明衡(≪尙書疑義≫)은 “‘越若來’란 세 글자는 이해하기 어렵다. 蔡註(蔡傳)도 역시 옳지 못하다. 이미 이런 사례를 가지고 〈堯典〉의 ‘曰若’의 경우는 ‘發語辭’로 풀이하고 여기서는 또 ‘迤邐而來’로 풀이하였으니, 어찌 그리도 서로 모순이 되는가. 古注(孔傳)에서 ‘於順來三月’이라고 풀이하였으니, 이는 또한 글자에 따라 풀이한 것이다. 예전 사람은 ‘越’자와 ‘若’자를 늘 사용했다.[越若來三字 蓋有難曉 蔡註亦未是 旣以此例 堯典曰若 則是助語之辭 而又解云 迤邐而來 何其相矛盾耶 古註作於順來三月是亦隨字而解 古人越字若字常用]”라고 하였고, 李滉(≪三經釋義≫)은 “〈‘越若來’는〉 굳이 해석할 필요가 없다. 지금 살펴보면, 蔡傳에는 단지 ‘古語辭’라고만 말하고 어떠한 語辭라고는 분명하게 말하지 않았으니, 지금 사람의 말을 가지고 해석해서는 안 된다.……그러나 아랫글에서 또 ‘迤邐而來’라고 했으므로 ‘來’자를 해석하지 않을 수 없으니, 마땅히 ‘越若이 來한’이라 해야 한다.[不必釋 今按傳只云古語辭 而不明言何等語辭 則其不可以今人語釋之……然下文又迤邐而來 則來字不可不釋 當云越若히來한]”이라고 하였으며, 元代 朱祖義(≪尙書句解≫)는 “‘越若來’는 이에 成王의 命을 따라 온 것이다.[越若來 於是順成王之命而來]”라고 하였다. 그러나 宋代 夏僎(≪尙書詳解≫)만은 “召公이 이미 2월 21일에 豐을 떠나 이에 순서에 의해 왔음을 이른 것이고, ‘迤邐而來’라고 이른 것은 중간에 다시 留滯함이 없는 것이다.[謂召公旣以二月二十一日離豐 于是依順而來 謂迤邐而來 中間更無留滯]”라고 하였으니, 蔡傳은 이를 따른 것이다.
역주2 : 孟康은 “달이 나오는 것이니, 초사흘에 밝음이 생기는 명칭이다.[月出也 三日明生之名]”라고 하였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