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嗚呼 皇天上帝 이니
[傳]歎皇天 改其大子 此大國殷之命이니 言紂雖 無道改之 言不可不愼이라
惟王受命 無疆惟休시나 亦無疆惟恤이시니
[傳]所以戒成王 天改殷命하여 惟王受之하시니 乃無窮惟美 亦無窮惟當憂之
嗚呼 奈何弗敬이리오
[傳]何其 奈何不憂敬之 欲其行敬이라
[疏]‘誥告’至‘弗敬’
○正義曰:召公所陳戒王宜順周公之事云 “我爲言誥, 以告汝庶殷之諸侯, 下自汝御事.” 欲令君臣皆聽之, 其實指以戒王.
諸侯皆在, 以爲言也. 乃曰 “嗚呼. 有皇天上帝, 改去其大子所受者, 卽此大國殷之王命也.
以其無道, 故改命. 有德惟王, 受得此命, 乃無窮惟美, 亦無窮惟當憂之. 旣憂之無窮, 嗚呼何其. 奈何不敬乎.” 欲其長行敬也.
‘告庶殷’者, 告諸侯也. ‘庶殷’, 通尊卑之辭, 故民與諸侯同云 ‘庶殷’, 皆謂所受於殷之衆也.
[疏]○傳‘歎皇’至‘不愼’
○正義曰:釋詁云 “皇, 君也.” 天地尊之大, 故皇天后土, 皆以君言之也.
‘改其大子’, 謂改天子之位與他姓, 卽此大國殷之命, 謂紂也. 言紂雖爲天所大子, 無道, 改之, 不可不愼也.
以託戒諸侯, 故言天子雖大(尢)[猶]改之, 況已下乎. 釋詁云 “元, 首也.”
‘首’是體之大, 故傳言‘大子’. 鄭云 “言首子者, 凡人皆云天之子, 天子爲之首耳.”


아! 皇天上帝가 그 〈하늘의〉 元子()를 갈아치운 것은 곧 이 大國나라의 天命〈을 갈아치운 것〉이니,
“아! 皇天이 그 큰아들을 갈아치운 것은 곧 이 大國나라의 〈을 갈아치운 것〉이다.”라고 한 것은 가 비록 하늘의 큰아들이었지만 무도하면 외려 갈아치웠다고 말한 것이니, 삼가지 않을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
께서 〈대신〉 天命을 받으신 것이 무궁히 아름다운 복이시나, 〈오늘 받은 것이 다른 날 갈아치움이 될지 모르므로〉 이것이 또한 무궁히 걱정을 하셔야 할 일이니
成王을 경계한 까닭은 하늘이 나라의 을 갈아치워서 이 그 天命을 받으시니 무궁한 아름다움이지만, 또한 무궁히 걱정을 해야 할 일이라는 것이다.
아! 어찌하리오. 어찌 우려하고 공경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어찌하리오. 어찌 우려하고 공경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라고 한 것은 공경을 행하게 하고자 해서였다.
의 [誥告]에서 [弗敬]까지
正義曰召公에게 마땅히 周公을 따라야 하는 일을 경계하기 위하여 진언하기를, “내가 言誥하여 당신의 여러 나라 諸侯들에게 고할진댄 아래로 당신 일을 다스리는 이들로부터 해야 한다.”라고 하여 임금과 신하로 하여금 모두 듣게 하려고 하였지만 기실은 을 지적해서 경계한 것이다.
諸侯들이 모두 그 자리에 있기 때문에 이를 빗대서 말을 한 것이다. 이에 말하기를 “아! 皇天上帝가 그 큰아들이 받은 바를 갈아치운 것은 곧 이 大國나라의 王命〈을 갈아치운 것〉이다.
그가 無道하기 때문에 천명을 갈아치운 것이다. 을 가지면 을 하는지라 이 天命을 받게 되었으니, 무궁한 아름다움이지만, 또한 무궁히 걱정을 해야 하는 것이다. 이미 걱정이 무궁해진 것이거늘, “아! 어찌하리오. 어찌 공경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으니, 길이 공경을 행하게 하려고 한 것이다.
告庶殷’은 諸侯에게 고하는 것이다. ‘庶殷’은 尊卑를 통틀어 하는 말이기 때문에 백성과 諸侯를 다 같이 ‘庶殷’이라 한 것이니, 모두 나라에서 받은 衆庶를 이른 것이다.
의 [歎皇]에서 [不愼]까지
正義曰:≪爾雅≫ 〈釋詁〉에 “(임금)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天地尊大한 것이기 때문에 ‘皇天后土’는 모두 임금을 가지고 말한 것이다.
改其大子’는 天子의 자리를 갈아치워 다른 성씨에게 주는 것을 이른다. ‘卽此大國殷之命’은 를 이른다. 는 비록 하늘의 큰아들이었지만 무도하면 외려 갈아치웠으니, 삼가지 않을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
諸侯를 빗대서 경계했기 때문에 天子가 비록 막대한 존재이나 외려 갈아치웠거늘 하물며 그 이하야 말할 것 있겠는가라고 말한 것이다. ≪爾雅≫ 〈釋詁〉에 “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는 바로 신체의 큰 부위이기 때문에 에서 ‘大子’라 말한 것이다. 鄭玄은 “首子라고 말한 것은 사람들이 모두 ‘하늘의 아들’이라 하는데, 天子가 〈신체의〉 머리 부위가 되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改厥元子 玆大國殷之命 : 蔡傳은 “元子는 바꿀 수가 없는 것인데도 하늘이 갈아치웠고, 大國은 망하기가 쉽지 않은 것인데도 하늘이 망가뜨렸으니, 皇天上帝는 그 命의 믿을 수 없는 것이 이와 같다.[元子不可改 而天改之 大國未易亡 而天亡之 皇天上帝 其命之不可恃如此]”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爲天所大子 : 阮校에서 “살펴보건대, 아랫글의 ‘元子哉’에 대한 孔傳에는 ‘大爲天所子’라고 하여 여기와 같지 않게 풀이하였으니, 아마 모두 오류가 있는 듯한데, 孔疏에서도 발명한 바가 없다.[案下文元子哉 傳云 大爲天所子 與此不同 疑皆有誤 疏亦無所發明]”라고 하였다.
역주3 (尢)[猶] : 저본에는 ‘尢’으로 되어 있으나, 宋兩浙東路茶鹽司本‧宋慶元間建安魏縣慰宅本‧汲古閣本‧武英殿本에 의거하여 ‘猶’로 바로잡았다.
역주4 曷其 : 宋代 夏僎(≪尙書詳解≫)은 “‘曷其’는 응당 ≪禮記≫에서 말한 ‘何居’나 ≪詩經≫에서 말한 ‘子曰何其’와 같이 보아야 할 것이니, 곧 ‘何哉’란 말과 같다.[曷其 當如禮記言何居 詩言子曰何其 猶言何哉]”라고 하였다.
역주5 (故)[託] : 저본에는 ‘故’로 되어 있으나, 宋刊 單疏本‧宋兩浙東路茶鹽司本‧宋慶元間建安魏縣慰宅本에 의거하여 ‘託’으로 바로잡았다.
역주6 (尢)[猶] : 저본에는 ‘尢’으로 되어 있으나, 宋兩浙東路茶鹽司本‧宋慶元間建安魏縣慰宅本‧汲古閣本‧武英殿本에 의거하여 ‘猶’로 바로잡았다. 아래도 같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