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正義(6)

상서정의(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爾無以釗 冒貢于하라
[傳]群臣 皆宜思夫人하니 夫人 自治正於威儀니라
有威可畏하고 有儀可象然後에야 足以率人이니 汝無以釗 冒進于非危之事하라
[疏]‘王曰’至‘非幾’
○正義曰:王召群臣既集, 乃言而歎曰 “嗚呼. 我疾大進益重, 惟危殆矣. 病日日益至, -言病困已甚.-
病既久留於我身, 恐一旦暴死, 不得結誓出言語以繼續我志, 以此故, 我今詳審教訓命誥汝等.
昔先君文王․武王, 布其重光累聖之德, 安定天命, 施陳教誨, 則勤勞矣.
文武定命陳教, 雖勞而不違於道, 用能通殷爲周, 成其大命, 代殷爲主.
至文武後之侗稚, -成王自謂己也.-
敬迎天之威命, 終當奉順天道, 繼守文武大教, 無敢昏逾越. -言戰慄畏懼, 恐墜文武之業.-
今天降疾於我身, 甚危殆矣. 不能更起, 不復覺悟. -言己必死.-
汝等庶幾明是我言, 勿忽略之. 用我之語, 敬安太子釗, 大渡於艱難. 當安和遠人, 又須能和近人, 當爲善政, 遠近俱安之.
又當安勸小大眾國, -於彼小大眾國, 皆安之勸之, 安之, 使國得安存, 勸之, 使相勸爲善.-
汝群臣等思夫人, 夫人眾國, 各自治正於威儀. 有威有儀, 然後可以率人, 無威無儀, 則民不從命. -戒使慎威儀也.-
汝無以釗冒進於非事危事. -欲令戒其不爲惡也.- ”
[疏]○傳‘病日’至‘命汝’
○正義曰:‘病日至’者, 言日日益至, 遍於身體, 困甚也. ‘已久留’者, 言病來多日, 無瘳愈也.
‘恐死不得結信出言嗣續我志’, 志欲有言, 若不能言, 則不得續志.
以此及今能言, 故我出言教命. -言已詳審, 欲其敬聽之.-
[疏]○傳‘今天’至‘忽略’
○正義曰:孔讀‘殆’上屬爲句, “今天下疾我身, 甚危殆”也.
‘不起’, 言身不能起, ‘不悟’, 言心不能覺悟, 病者形弱神亂, 不起不悟, 言必死也.


사람은 스스로 위의威儀를 다스린다는 점을 생각해야 할 것이니, 너희는 와 함께 그릇된 일과 위험한 일을 무릅쓰고 나아가지 말도록 하라.”
여러 신하들은 모두가 마땅히 사람다움을 생각해야 하니, 사람은 스스로 다스려 위의威儀를 바르게 해야 하는 것이다.
경외할 만한 위엄이 있고 본받을 만한 의표가 있은 연후에야 족히 인민을 통솔할 수 있으니, 너희는 와 함께 그릇된 일과 위험한 일을 무릅쓰고 나아가지 말도록 하라는 것이다.
의 [왕왈王曰]에서 [非幾]까지
정의왈正義曰이 신하들을 불러서 신하들이 이미 모이자, 이에 탄식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아. 나의 질환이 크게 진전되어 더욱 위독해 위태로워졌다. 병이 나날이 찾아와 더욱 심해지고, -병의 고통이 이미 심해졌음을 말한 것이다.-
병이 이미 나의 몸에 오래 머무르니, 하루아침에 갑자기 죽음으로 해서 맹세하는 말을 하여 〈내 뜻을〉 제대로 이어지게 하지 못할까 두렵다. 이 때문에 내가 지금 자세히 살펴서 교훈하여 너희에게 명고命誥하노라.
옛날 선군先君문왕文王무왕武王께서는 중광重光한 역대 임금의 덕을 펴 천명天命을 편안히 정하고 교훈을 베푸는 일을 근로勤勞하셨다.
문왕文王무왕武王께서 천명天命을 정하고 교훈을 베푸는 일을 비록 근로하셨으나 를 어기지 않았기 때문에 능히 나라를 통하여 나라를 만들어서 그 대명大命을 이루어 나라를 대신해 군주君主가 되셨다.
문왕文王무왕武王 뒤의 어리석은 나에 있어서는 -성왕成王이 스스로 자기를 이른 것이다.-
하늘의 위명威命을 경건히 맞아 끝까지 천도天道를 받들어 순종하고 문왕과 무왕의 큰 교훈을 이어 지키어 감히 혼매한 짓을 하거나 넘치는 행동을 한 적이 없었다. -항상 전율戰慄하고 외구畏懼하여 문왕과 무왕의 을 떨어뜨릴까 염려함을 말한 것이다.-
지금 하늘이 나의 몸에 질환을 내리시어 매우 위태롭다. 일어날 수도 없고 깨어날 수도 없다. -반드시 자기가 죽을 것임을 말한 것이다.-
너희들은 부디 나의 이 말을 밝게 준용하고 소홀히 하지 말도록 하라. 나의 말을 준용하여 태자太子를 경건히 보안하여 크게 간난艱難을 건너도록 하라. 마땅히 멀리 있는 사람들을 안화安和하게 살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모름지기 가까이 있는 사람들을 편안히 살 수 있도록 하며, 마땅히 선정善政을 베풀어서 먼 곳과 가까운 곳이 모두 편안하게 하도록 하라.
또한 마땅히 작고 큰 여러 나라들을 편안케 하고 권면해야 하며, -저 작고 큰 여러 나라들에 대해서는 모두 편안케 하여 권면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편안케 한다’는 것은 나라로 하여금 안존安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권면해야 한다.’는 것은 서로 권면하여 착하게 살도록 하는 것이다.-
너희 여러 신하들은 사람다움을 생각해야 사람의 여러 나라가 각각 스스로 다스려 위의威儀를 바르게 해야 하는 것이다. 위의가 있은 연후에야 인민을 통솔할 수 있고, 위의가 없으면 백성들이 명령을 따르지 않는다. -위의를 삼가도록 경계한 것이다.-
너희는 와 함께 그릇된 일과 위험한 일을 무릅쓰고 나아가지 말도록 하라 -그 악을 하지 않도록 경계하고자 한 것이다.- ”
의 [病日]에서 [命汝]까지
정의왈正義曰:‘病日至’란 나날이 더욱 찾아와 전신에 펼쳐져 고통이 심함을 말한 것이다. ‘已久留’란 병이 찾아오는 날이 많아서 나을 가망이 없음을 말한 것이다.
恐死不得結信出言 嗣續我志’는 의중에 말해두고 싶은 일이 있는데, 만일 능히 말을 하지 않는다면 뜻을 이을 수가 없다.
이러므로 지금 능히 말을 하게 되었기 때문에 나는 자세히 살펴 말을 꺼내서 교훈하여 너희를 명고命誥한다는 것이다. -말을 이미 자세히 살펴서 한 것은 경건히 듣도록 하고자 해서였다.-
의 [今天]에서 [홀략忽略]까지
정의왈正義曰공전孔傳은 ‘’를 위로 붙여 를 만들어 읽어서 “지금 하늘이 나의 몸에 질환을 내려서 몹시 위태하다.”라고 하였다.
불기不起’는 몸이 일어날 수 없음을 말한 것이고, ‘병자病者가 형체가 약해지고 정신이 어지러워져서 일어날 수도 없고 깨달을 수도 없게 되었다는 것은 반드시 죽는다는 점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思夫人 自亂于威儀 : 蔡傳에서는 “成王은 사람이 사람답게 되는 것은 스스로 위의를 다스릴 수 있기 때문이라 생각한 것이다.[成王 思夫人之所以爲人者 自治於威儀耳]”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非幾 : 蔡傳은 “不善의 기미[不善之幾]”로 풀이하였다.
역주3 (言己常) : 문의상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4 (當)[常] : 저본에는 ‘當’으로 되어 있으나, 宋兩浙東路茶鹽司本에 의거하여 ‘常’으로 바로잡았다.
역주5 (言) : 문의상 衍字로 처리하였다.
역주6 (詩蓄)[詳審] : 저본에는 ‘詩蓄’으로 되어 있으나, 宋刊 單疏本에 의거하여 ‘詳審’으로 바로잡았다.
역주7 (彼)[汝] : 저본에는 ‘彼’로 되어 있으나, 宋刊 單疏本에 의거하여 ‘汝’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6)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