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正義(6)

상서정의(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太保受同降하여
[傳]受王所饗同하여 下堂反於篚
하고 以異同으로 秉璋以하여
[傳]太保以盥手異同하여 實酒秉璋以酢祭
半圭曰璋이니 臣所奉이라 王已祭하고 太保又祭 曰酢이라
授宗人同하고한대 答拜하시다
[傳]宗人 小宗伯이니이라 (大)[太]宗하고 宗人 供太保
已傳顧命이라 授宗人同拜한대 王答拜하여 尊所受命이라


태보太保가 〈으로부터〉 ‘’이란 술잔을 받아가지고 내려와서
이 마신 ‘’이란 술잔을 받아가지고 에서 내려와서 광주리에 되돌려놓는 것이다.
손을 씻고는 다른 ‘’이란 술잔을 이용해 장찬璋瓚을 가지고 초제酢祭를 하고 나서
태보太保는 손을 씻고는 다른 ‘’이란 술잔을 씻어 술을 담아서 장찬璋瓚을 가지고 초제酢祭를 한다.
반규半圭를 ‘’이라 하니 신하가 받드는 것이다. 이 이미 제사를 지낸 뒤에 태보太保가 또 제사를 지낸다. 보제報祭를 ‘’이라 한다.
종인宗人에게 그 ‘’이란 술잔을 준 다음 절을 하자, 왕께서 답배를 하셨다.
종인宗人’은 소종백小宗伯이니 태종太宗을 보좌하는 자이다. 태종太宗을 이바지하고 종인宗人태보太保를 이바지한다.
이미 고명顧命을 전한 일에 대해 절하여 사뢰기 때문에 종인宗人에게 ‘’이란 술잔을 건네주고 절을 하자, 이 답배하여 고명顧命을 받은 것을 존중하였다.


역주
역주1 宿 祭 咤 酢(작) : 王夫之(≪尙書稗疏≫)는 “살펴보건대, 여기에 대한 傳注들이 어지럽게 떠벌리기만 하고 결정된 것은 없으니, 자못 이해하기 어렵다. ‘咤’를 ‘嚌’로 여긴 것은 蘇氏(蘇軾)가 실수한 것이고, ‘祭’를 神座에 술을 붓는 것이라 이른 것은 鄭氏(鄭玄)가 살피지 못한 것이고, ‘酢’을 報祭로 삼고 왕이 답배한 것을 尸童을 대신해서 절한 것이라고 이른 것은 蔡氏(蔡沈)가 잘못한 것이다.……실상을 가지고 탐구해보면, 이른바 ‘三宿․三祭․三咤’란 것은 대략을 들어서 문장을 이룬 것이니, 실은 三獻인 것이다.[按此傳注紛紜不决 殊難分曉 以咤為嚌者 蘇氏之失也 謂祭為酹酒神座者 鄭氏之未諦也 謂酢為報祭王答拜為代尸拜者 蔡氏之謬也……以實求之 所云三宿三祭三咤者 約舉成文 實三獻也]”라고 하였다.
역주2 (先)[洗] : 저본에는 ‘先’으로 되어 있으나, 宋刊 單疏本에 의거하여 ‘洗’로 바로잡았다.
역주3 報祭 : 陳師凱(≪書蔡氏傳旁通≫)도 孔疏에서 亞獻으로 본 것처럼 “‘報祭’는 ‘亞祼(아관)’ 따위니, 지금의 亞獻이다.[報祭者 亞祼之類 卽今之亞獻也]”로 풀이하였다.
역주4 (大)[太] : 저본에는 ‘大’로 되어 있으나, 宋兩浙東路茶鹽司本에 의거하여 ‘太’로 바로잡았다. 아래도 같다.
역주5 (伯)[者] : 저본에는 ‘伯’으로 되어 있으나, 宋兩浙東路茶鹽司本에 의거하여 ‘者’로 바로잡았다.
역주6 (主)[王] : 저본에는 ‘主’로 되어 있으나, 宋兩浙東路茶鹽司本에 의거하여 ‘王’으로 바로잡았다.
역주7 (曰)[白] : 저본에는 ‘曰’로 되어 있으나, 宋兩浙東路茶鹽司本에 의거하여 ‘白’으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6)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