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正義(6)

상서정의(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昔君文武丕하여 하시며
하사 用昭明于天下어시늘
[傳]致行至中信之道하여 用顯明於天下라하니 言聖德
則亦有熊羆之士 不二心之臣하여 保乂王家하여
[傳]言文武既聖하니 則亦有勇猛如熊羆之士 忠一不二心之臣하여 共安治王家
于上帝하시니 皇天 用訓厥道하사 付畀四方하시니라
[傳]君聖臣良하여 하니 大天用順其道하여 付與四方之國하여 王天下


옛날 선군先君이신 문왕文王무왕武王께서는 가 지극히 커서 정치교화를 평미平美하게 하고 구악咎惡을 힘쓰지 않으셨으며,
선군先君문왕文王무왕武王가 지극히 커서 정치교화를 평미平美하게 하고 구악咎惡을 힘쓰지 않았다고 말한 것이다.
지극히 아름다운 중정中正하고 성신誠信를 행하여 천하에 밝게 드러내시거늘,
지극히 중정中正하고 성신誠信를 극도로 행하여 천하에 밝게 드러내었다는 것이니, 곧 성스러운 이 〈천하에〉 무젖음을 말한 것이다.
또한 웅비熊羆와 같은 용사勇士와 두 마음을 품지 않은 신하들이 있어 왕가王家(왕실王室)를 보호해 다스려서,
문왕文王무왕武王이 이미 성스러우니, 또한 용맹이 웅비熊羆와 같은 인사와 충일忠一하여 두 마음을 품지 않은 신하들이 있어 함께 왕가王家(왕실王室)를 편안히 다스렸다고 말한 것이다.
〈문왕과 무왕께서〉 직단直端상제上帝에게 받으시니, 황천皇天이 〈문왕과 무왕의〉 도덕에 순응하여 사방의 나라를 부여하셨다.
임금은 성스럽고 신하는 어질어 단직端直을 하늘에서 받으니, 위대한 하늘이 그 를 순응하여 사방의 나라를 부여해서 천하에 왕 노릇을 하게 하였다는 것이다.


역주
역주1 丕平富 不務咎 : 蔡傳은 ‘丕’자를 아래로 붙여서 “‘丕平富’는 널리 균평하게 하고 조세를 박하게 거두어 백성을 부유하게 한 것으로 文王과 武王의 德의 광대함을 말한 것이고, ‘不務咎’는 惡의 처벌을 힘쓰지 아니하여 형벌을 가볍게 줄인 것으로 文王과 武王의 형벌을 삼감을 말한 것이다.[丕平富者 溥博均平 薄斂富民 言文武德之廣也 不務咎者 不務咎惡 輕省刑罰 言文武罰之謹也]”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言先君文武道大……不務咎惡 : 兪樾은 “≪爾雅≫ 〈釋詁〉에 ‘「平」은 成의 뜻이다.’라고 하고, ≪禮記≫ 〈郊特牲〉편에 ‘「富」라는 것은 福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丕平富’와 ‘不務咎’는 그 福善의 일을 크게 이루고, 咎惡의 일을 힘쓰지 않는 것을 말한다. ‘福’과 ‘咎’는 정확한 상대이다. 〈洪範〉편에 ‘당신이 비록 祿을 준다 하더라도 그는 당신의 신하가 되어 반드시 惡道를 써서 당신의 善을 망가뜨릴 것이다.’란 것이 이것이다. ≪周易≫ 謙卦 〈彖傳〉에 ‘鬼神은 盈滿한 것은 해치고 謙遜한 것은 복을 준다.’고 하였다. ≪經典釋文≫에 ‘「福」을 京房은 「富」로 적었다.’고 하였으니, 이로 보면 ‘福’과 ‘富’를 옛날엔 통용했던 것이다. 枚傳에서는 ‘富’가 ‘福’의 假借임을 알지 못했기 때문에 그 해석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이다.[爾雅釋詁 平成也 禮記郊特牲篇 富也者 福也 丕平富 不務咎 言大成其福善之事 不務爲咎惡之事也 福與咎 正相對 洪範篇 汝雖錫之福 其作汝用咎是也 周易謙彖傳 鬼神害盈而福謙 釋文曰 福京作富 是福與富 古通用 枚傳不知富爲福之假字 故不得其解耳]”라고 하였다.(≪群經平議≫)
역주3 厎(지)至齊 : 馬融은 〈‘齊’에서〉 句를 끊은 것[馬讀絶句]으로 되어 있다.
역주4 厎(지)至齊信 : 蔡傳은 ‘厎至’는 “미루어 행하여 그 지극함에 이르는 것[推行而厎其至]”으로, ‘齊信’은 “겸해 다하여 그 誠을 극도로 하는 것[兼盡而極其誠]”으로 풀이하였다.
역주5 (治)[洽] : 저본에는 ‘治’로 되어 있으나, 宋兩浙東路茶鹽司本․宋刊 單疏本 標題語에 의거하여 ‘洽’으로 바로잡았다.
역주6 端命 : 蔡傳은 正命으로 보았다.
역주7 用受端直之命於上天 : 兪樾은 “經文에는 본래 ‘受’자가 없을 뿐더러, 또 上帝의 命을 하필 直端이라 말했을까. 傳의 뜻은 잘못된 것이다. ≪孔子家語≫ 〈禮運〉편의 ‘五行之端’에 대한 王肅의 注에 ‘「端」은 始의 뜻이다.’라고 하였고, ≪孟子≫ 〈公孫丑〉편의 ‘仁之端’에 대한 趙岐의 注에 ‘「端」은 首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首’는 곧 始의 뜻이다. ‘用端命于上帝’는 ‘用始命于上帝’이니, 上帝에게 비로소 命을 받아 천하의 군주가 되었음을 말한 것이다.[經文本無受字 且上帝之命 又何必言直端乎 傳義非也 家語禮運篇 五行之端 王肅注曰 端始也 孟子公孫丑篇 仁之端也 趙岐注曰 端首也 首卽始也 用端命于上帝者 用始命于上帝也 言始命于上帝而爲天下主也]”라고 하였다.(≪群經平議≫)

상서정의(6)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