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正義(6)

상서정의(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昔在文武하사 聰明齊聖이어시늘 小大之臣 咸懷忠良하며
[傳]聰明하니 視聽遠하고 齊通하니 無滯礙 臣雖官有尊卑 無不忠良이라
其侍御僕從이라도 罔匪正人이라
[傳]雖給侍進御僕役從官이라도 官雖微 無不用中正之人이라
以旦夕으로 承弼厥辟일새 出入起居 罔有不欽하며
[傳]小臣皆良하고 僕役皆正하여 以旦夕으로 承輔其君이라 君出入起居 無有不敬이라
發號施令 罔有不臧한대 下民 祗若하며 萬邦 咸休하니라
[傳]言文武發號施令 無有不善하니 下民 敬順其命하고 萬國 皆美其化
[疏]‘王若’至‘咸休’
○正義曰:王順其事而呼之曰 “伯冏. 惟我不能於道德, 而繼嗣先人居大君之位.
人輕任重, 終常悚懼. 心內怵惕, 惟恐傾危, 中夜以起, 思望免其愆過.
昔在文王․武王, 聰無所不聞, 明無所不見. -‘齊’, 中也.-
每事得中, -‘聖’, 通也.- 通知諸事. 其身明聖如此, 又小大之臣 無不皆思忠良, 其左右侍御僕從, 無非中正之人.
以旦夕, 承輔其君, 故其君出入起居, 無有不敬.
文武發號施令, 無有不善. 以此之故, 下民敬順其命, 萬邦皆美其化. -由臣善故也.- ”
[疏]○傳‘言常’至‘過悔’
○正義曰:禮記祭義云 “春雨露既濡, 君子履之, 必有怵惕之心.”
‘怵惕’, 是心動之名, 多憂懼之意也. ‘厲’, 訓危也, 言常悚懼, 惟恐傾危. 易稱“夕惕若厲”, 即此義也.
[疏]○傳‘聰明’至‘忠良’
○正義曰:聰發於耳, 明發於目, 故爲“視聽遠”也.
‘齊’, 訓通也, 動必得中, 通而先識, 是‘無滯礙’也.


옛날 문왕文王무왕武王에 있어서는 귀가 밝고 눈이 밝고 중정中正하고 통달하거늘, 대소신료들은 모두 충량忠良할 것을 생각하며,
귀가 밝고 눈이 밝으니 보고 듣는 것이 원대하고, 중정中正하고 통달하니 막힘이 없는 것이다. 신하들이 비록 벼슬에는 높고 낮음이 있으나 충량忠良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는 것이다.
급시給侍진어進御복역종관僕役從官이라도 중정中正한 사람 아님이 없었다.
비록 급시給侍진어進御복역종관僕役從官이라 할지라도 벼슬은 비록 미미하였지만, 중정中正한 사람을 쓰지 않음이 없었다는 것이다.
아침저녁으로 그 임금을 받들어 보필하였기 때문에 출입出入하고 기거起居함에 공경하지 않음이 없었고,
소신小臣이 모두 충량하고 복역僕役이 모두 중정中正하여 아침저녁으로 그 임금을 받들어 보필하였기 때문에 임금이 출입出入하고 기거起居함에 공경하지 않음이 없었다는 것이다.
호령을 냄에 불선不善함이 있지 않았으니, 하민下民들이 공경하고 순종하며 만방萬邦이 모두 아름답게 여겼다.
문왕文王무왕武王이 호령을 냄에 불선不善함이 있지 않았으니, 하민下民들이 그 을 공경하고 순종하며 만방萬邦이 모두 그 교화를 아름답게 여겼다고 말한 것이다.
의 [王若]에서 [咸休]까지
정의왈正義曰이 그 일을 따라 불러서 말씀하였다. “백경伯冏아. 나는 도덕道德에 능하지 못하면서 선인先人을 이어 큰 임금의 자리에 앉았다.
사람은 가볍고 책임은 무거워서 끝내 항상 두렵고 불안하다. 마음이 떨려 까무러질 듯해서 한밤중에 일어나 허물을 면할 것을 생각하였다.
옛날 문왕文王무왕武王에 있어서는 귀가 밝아서 듣지 못한 바가 없고, 눈이 밝아서 보지 못한 바가 없었다. -‘’는 의 뜻이다.-
매사에 중정中正을 얻었고, -‘’은 의 뜻이다.- 모든 일을 통달하게 알았다. 그 몸이 이처럼 밝고 통달하셨으며, 또한 대소 신료들이 모두 충량忠良함을 생각하지 않는 이가 없었고, 그 좌우의 급시給侍, 진어進御, 복역종관僕役從官이라도 중정中正한 사람 아님이 없었다.
그들이 조석으로 그 임금을 받들어 보필하였기 때문에 그 임금이 출입出入하고 기거起居함에 공경하지 않음이 없었다.
문왕文王무왕武王이 호령을 냄에 불선不善함이 있지 않았으니, 이 때문에 하민下民이 그 을 공경하고 순종하며 만방萬邦이 모두 그 교화를 아름답게 여겼다. -신하들이 착했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다.- ”
의 [言常]에서 [과회過悔]까지
정의왈正義曰:≪예기禮記≫ 〈제의祭義〉에 “봄에 비와 이슬이 이미 적시어지면 군자君子는 이것을 밟고 반드시 슬픈 마음을 가진다.”라고 하였다.
출척怵惕’은 바로 마음이 움직이는 명칭이니, 걱정스럽고 두려운 뜻이 많은 것이다. ‘’는 의 뜻으로 풀이하니, 항상 송구하여 까무러질 듯싶은 마음의 상태를 말한 것이다. ≪주역周易≫에서 “저녁까지도 두려워하면 위태로우나”라고 칭한 것이 곧 이 뜻이다.
의 [총명聰明]에서 [충량忠良]까지
정의왈正義曰:‘’은 귀에서 발현하고, ‘’은 눈에서 발현하기 때문에 “보고 듣는 것이 원대하다.”라고 한 것이다.
’는 의 뜻으로 풀이하고, ‘’은 의 뜻으로 풀이하니, 움직이면 반드시 중정을 얻고 통달하여 먼저 알게 되니, 이것이 바로 “막힘이 없다.”라는 것이다.


역주
역주1 [中也 聖 訓] : 저본에는 없으나, 宋刊 單疏本에 의거하여 ‘中也聖訓’ 4자를 보충하였다.

상서정의(6)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