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正義(6)

상서정의(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乃惟以爾多方之義民으로 不克永于多享이요
[傳]天所以不與桀 以其乃惟用汝多方之義民爲臣하여 而不能長久多享國故
惟夏之多士 大不克明保享于民이요
[傳]惟桀之所謂恭人眾士 大不能明安享於民이라 言亂主所任 任同己者
乃胥惟虐于民하여 至于하니라
[傳]桀之眾士 乃相與惟暴虐於民하여 至於百端所爲 言虐非一이요 大不能開民以善 言與桀合志
[疏]‘天惟’至‘克開’
○正義曰:天惟桀惡之故, 更求民主以代, 天乃大下明美之命於成湯, 使之代桀王天下.
乃命湯施刑罰絕有夏, 惟天不與夏桀, 亦已大矣.
天所不與之者, 乃惟此桀用汝多方之義民爲臣, 而不能長久於多享國故也. 義民實賢人也, 夏桀不用.
惟夏桀之所謂恭人眾士者, 大不能用明道安存享於眾民, 乃相與惟行暴虐於民, 至於百端所爲, 言虐無所不作.
大不能開民以善, 其臣與桀同惡, 夏家所以滅亡也.
[疏]○傳‘惟桀’至‘己者’
○正義曰:惟桀之所謂恭人眾士, 實非恭人.
亂主所好, 用同己者, 以其同己, 謂之爲恭人, 實非善人, 故不能明享於民.
杜預訓‘享’爲受, “受國者謂受而有之.” 此言不能安享於民, 謂不能安存享受於民眾也.


바로 〈하걸夏桀이〉 너희 다방多方의민義民(현자賢者)들과 함께 능히 나라를 누림을 장구히 하지 못했고,
하늘이 을 도와주지 않은 이유는 너희 다방多方의민義民(현자賢者)들을 임용해 신하를 삼아서 능히 나라를 누림을 장구히 하지 못한 까닭이란 것이다.
하걸夏桀공인恭人이란 많은 인사들은 크게 능히 밝은 도리로 백성들을 편안히 복록을 누리게 하지 못했고,
의 이른바 공인恭人이란 많은 인사들은 크게 능히 밝은 도리로 백성들을 편안히 복록을 누리게 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혼란한 임금이 임용한 바가 자기와 같은 사람을 임용함을 말한 것이다.
서로 백성들을 학대하여 온갖 일에 이르기까지 크게 능히 〈선도善道로써〉 열어주지 않았다.
의 많은 인사들이 서로 더불어 백성들을 포학하게 대하여 온갖 일에 이르렀다는 것은 학대하는 것이 하나뿐이 아님을 말한 것이요, 크게 능히 백성들을 선도善道로써 열어주지 않았다는 것은 과 뜻을 합했음을 말한 것이다.
의 [天惟]에서 [극개克開]까지
정의왈正義曰:하늘은 했기 때문에 다시 백성의 임금을 구하여 그를 대신하되, 하늘이 나타난 아름다운 성탕成湯에게 크게 내리어 을 대신하여 천하에 왕 노릇을 하게 하였다.
이에 에게 명하여 나라를 형벌을 베풀어 멸절시키게 하였으니, 하늘이 하걸夏桀을 도와주지 않음이 또한 이미 컸다.
하늘이 을 도와주지 않은 이유는 바로 이 이 너희 다방多方의민義民(현자賢者)들을 임용해 신하를 삼아서 능히 나라를 누림을 장구히 하지 못한 까닭이다. 의민義民은 실제로 현인賢人인데, 하걸夏桀이 쓰지 않았다.
하걸夏桀의 이른바 ‘공인恭人’이란 많은 인사들은 크게 능히 밝은 도리를 써서 백성들에게 편안히 복록을 누리도록 하지 못하고, 서로 더불어 백성들에게 포학한 짓을 하여 온갖 일에 이르렀다는 것은 학대하여 못하는 짓이 없음을 말한 것이요,
크게 능히 백성들을 선도善道로써 열어주지 않았다는 것은 그 신하들이 과 더불어 을 함께했다는 것이니, 나라가 이 때문에 멸망한 것이다.
의 [惟桀]에서 [己者]까지
정의왈正義曰의 이른바 ‘공인恭人’이란 여러 인사들은 실제로 공인恭人이 아니었다.
혼란한 임금이 좋아하는 바는 자기와 같은 자를 쓰기 좋아하여 자기와 같은 자를 일러 ‘공인恭人’이라 하니, 실제로 선인善人이 아니다. 그러므로 밝은 도리로써 백성들에게 복록을 누릴 수 없도록 하였다.
두예杜預는 ‘’을 의 뜻으로 풀이하여 ‘受國’은 〈나라를〉 받아서 소유함을 이른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여기서 말한 “백성들에게 편안히 복록을 누릴 수 없도록 하였다.”라는 것은 민중에게 편안히 복록을 받을 수 없도록 하였음을 이른 것이다.


역주
역주1 : 蔡傳은 ‘존경하는 것’으로 보았다.
역주2 百爲 大不克開 : 呂祖謙은 “농사를 지으려고 하면 농사짓는 일을 방해하고 장사를 하려고 하면 장사하는 일을 방해해서 사방으로 모두 궁하여 하나도 잘되는 일이 없었다.[欲耕害其耕 欲賈害其賈 四向皆窮 無一能達]”라고 풀이하였다.
역주3 [之] : 저본에는 없으나, 宋刊 單疏本․宋兩浙東路茶鹽司本․武英殿本에 의거하여 ‘之’를 보충하였다.
역주4 [好] : 저본에는 없으나, 宋刊 單疏本․宋兩浙東路茶鹽司本․武英殿本에 의거하여 ‘好’를 보충하였다.

상서정의(6)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