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正義(6)

상서정의(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王曰 하면 有訓하여 蚩尤惟始作亂하니 延及于平民하여
[傳]順古하면 有遺訓하여 言蚩尤造始作亂하니 惡化相易하여 延及於平善之人이라 九黎之君 號曰蚩尤
○蚩尤 馬云 少昊之末 九黎君名이라하니라
罔不하며 鴟義姦宄하며 하니라
[傳]平民化之하여 無不相寇賊하며 爲鴟梟之義하여 以相奪攘하고 矯稱上命하여 若固有之하니 亂之甚이라


여후呂侯목왕穆王의 말씀이라 칭하며 천하天下에 고하되〉 이 말씀하였다. “옛날의 〈도의를〉 따르면 남긴 전훈典訓이 있어, 〈다음과 같이 전해온다.〉 치우蚩尤가 처음으로 난을 일으키자 선량한 평민들에게까지 영향이 미쳐서
옛날의 〈도의를〉 따르면 남긴 전훈典訓이 있어, 치우蚩尤가 처음으로 난을 일으키자, 악으로 변화하여 서로 바뀌어서 평선平善한 사람들에게까지 영향이 미쳤다는 것을 말하였다. 구려九黎의 임금이 를 ‘치우蚩尤’라고 하였다.
○‘치우蚩尤’는 마융馬融이 “소호少昊의 말기 구려九黎 임금의 이름이었다.”라고 하였다.
구적寇賊을 하지 않는 자가 없었으며, 치효鴟梟처럼 〈악하여 사람을 해치는 것으로〉 를 삼아 소란을 피우고 반란을 일으키며, 겁탈을 하고 훔치는 짓을 하며, 상명上命을 거짓으로 꾸며서 칭하였느니라.
평민平民이 변화하여 서로 구적寇賊이 되지 않는 자가 없었으며, 치효鴟梟처럼 〈악하여 사람을 해치는 것으로〉 를 삼으며, 서로 겁탈을 하고 훔치는 짓을 하고, 상명上命을 거짓으로 꾸며서 칭하여 〈남의 물건을 취하기를〉 마치 자기의 고유한 물건처럼 한다는 것이니, 혼란이 심한 것이다.


역주
역주1 : 林之奇는 “‘若古’는 ‘若昔’이라 말한 것과 같으니, 대개 말을 일으키는 助辭이지, ‘順’의 뜻으로 풀이한 것이 아니다.[若古者 猶言若昔也 蓋起語之辭 非訓順也]”라고 하였다.
역주2 若古 : 蔡傳에서는 ‘태고시대[鴻荒之世]’로 보았다.
역주3 寇賊 : 무리지어 다니며 공격하고 겁탈하는 것을 ‘寇’라 하고, 殺人하는 것을 ‘賊’이라 하니, 사람을 공격하고 살해하여 재물을 탐하는 것을 말한다.(≪尙書正義≫ 孔疏)
역주4 鴟義矯虔 : 蔡傳에는 ‘鴟義’는 흉악하게 굴고 세차게 날뜀[鴟張跋扈]을 義로 여기는 것으로 보고, ‘矯虔’은 矯詐(속임)하고 虔劉(살륙)하는 것으로 풀이하였는데, 洪奭周(≪尙書補傳≫)는 “孔傳에는 ‘鴟義’를 鴟梟처럼 악하여 사람을 해침으로써 義를 삼는 것으로 해석하였고, 蔡傳에는 흉악하게 굴고 세차게 날뜀을 義로 여기는 것으로 생각하였으니, 모두 文義에 순하지 못하다. 馬融은 ‘鴟’를 輕의 뜻으로 풀이하였으니, 아마 禮義를 경멸하는 뜻으로 본 것이리라. 그러나 ‘鴟’가 輕의 뜻인 것은 ≪字書≫에 상고할 길이 없으니, 漢儒가 近古에 혹 근거한 바가 있었던가. 蔡傳에는 또 ‘虔’을 虔劉로 여기기만 하고 글자의 뜻은 분명하게 해석하지 않았다. 杜預는 ‘「虔」과 「劉」는 다 「殺」의 뜻이다.’라고 하고, 韋昭는 ‘강제로 취하는 것을 「虔」이라 한다.’고 하였으며, ≪詩經≫의 ‘方斲是虔’에 대한 毛傳에는 「虔」은 截의 뜻이다.’라고 했다.[孔傳釋鴟義爲鴟梟之義 蔡傳謂鴟張跋扈爲義 俱於文義未順 馬融訓鴟爲輕 蓋輕蔑禮義之意也 鴟之爲輕 於字書無攷 漢儒近古 豈或有所據歟 蔡傳又以虔爲虔劉而不明釋字義 杜預曰虔劉皆殺也 韋昭曰强取爲虔 詩云方斲是虔 毛傳曰虔截也]”라고 하였다.

상서정의(6)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