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正義(6)

상서정의(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乃命三后하사 하시니
하고 禹平水土하여 하고 稷降播種하여 農殖嘉穀하니
[傳]伯夷 下典禮教民而斷以法하고 治洪水하여 山川無名者主名之하고
后稷 下教民播種하여 農畝生善穀이니 이라
○折 馬云 智也라하니라
三后成功하여 하니라
[傳]各成其功하여 惟所以殷盛於民이라 言禮教備하고 衣食足이라


이에 세 임금(제후諸侯)에게 명하여 백성에게 걱정하는 사공事功을 베풀려는 것을 걱정하게 하셨으니,
백이伯夷전례典禮를 내려서 〈백성을 가르치되〉 으로 규제하였고, 수토水土를 다스려 산천에 이름을 지어 주었고, 은 파종하는 법을 내려서 농사를 지어 아름다운 곡식이 번식하게 하였으니,
백이伯夷전례典禮를 내려서 백성들을 가르치되 으로써 규제하였고, 는 홍수를 다스려 이름 없는 산천山川은 이름을 지어 주었고,
후직后稷은 백성들에게 파종播種하는 법을 가르쳐서 농토에서 아름다운 곡식이 나게 하였으니, 이른바 ‘임금이 세 임금에게 명하여 백성들에게 사공事功을 베풀려는 것을 걱정하게 했다.’라는 것이다.
○‘’은 마융馬融이 “‘’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세 임금이 공을 이루어 백성들을 부유하게 하였느니라.
각각 그 공을 이루어 백성들을 부유하게 하였다는 것이다. 곧 예교禮教가 갖추어지고 의식衣食이 풍족함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恤功于民 : 蔡傳은 “백성을 걱정하는 공을 이루는 것[致憂民之功]”으로 풀이하였고, 元代 吳澄은 ‘恤功’을 “백성의 일을 걱정하는 것[以民事爲憂]”으로 풀이하였다.
역주2 伯夷降典 折民惟刑 : 吳澄은 “伯夷는 禮로써 백성을 가르쳐서 백성이 禮에 들어가고 刑에 들어가지 아니하여 이 백성이 刑에 들어가는 길을 끊어버렸다.[伯夷敎民以禮 民入於禮 而不入於刑 折絶斯民入刑之路]”라고 풀이하였다.
역주3 主名山川 : 蔡傳은 “백성의 거처를 정하였다.[定民居]”라고 풀이하였고, 林之奇(≪尙書全解≫)는 “‘主名’이란 것은 이를테면 ‘동북쪽으로는 바다에 걸쳐있고 서남쪽으로는 岱山에 이르는 땅이 青州가 된다.’라는 따위와 같이 九州의 疆界가 정연하게 조리가 있는 것이니, 이른바 ‘높은 산과 큰 하천을 정했다.’는 것이 主名을 이른다.[主名之者 如東北據海西南距岱則爲青州之類 九州之疆界 整整乎其有條理 所謂奠髙山大川者 主名之謂也]”라고 하였고, 夏僎(≪尙書詳解≫)은 “九州에 각각 名山大川이 있으니, 주된 이름을 만들기를 이를테면 揚州의 경우, 山은 會稽山, 川은 三江을 대표로 꼽던 따위와 같은 것이다.[九州各有名山大川 爲之主名 如揚州山有會稽 川曰三江之類]”라고 하였다.
역주4 所謂堯命三君 憂功於民 : 兪樾은 “‘憂功於民’은 뜻이 통할 수 없는 말이다. ≪說文解字≫ 心部에 ‘「恤」은 「憂」의 뜻과 「收」의 뜻도 가졌다.’고 하였으니, 이 ‘恤’에는 두 가지 뜻이 있는 것이다. 이 經文의 ‘恤’은 응당 ‘收’의 뜻으로 풀이해야 하니, ‘恤功于民’은 ‘收功于民’과 같은 것이다. ≪周易≫ 井卦 上六爻의 ‘井收勿幕’에 대한 王弼의 注에 ‘우물의 事功이 크게 이루어짐은 이 爻에 달려 있다. 그러므로 「井收」라 한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이 ‘收’에는 ‘成’의 뜻이 들어있는 것이다. ‘恤’을 ‘收’의 뜻으로 풀이함은 정확히 아래 문단의 ‘三后成功’과 상응한다.[憂功於民 義不可通 說文心部 恤憂也收也 是恤有二義 此經恤字 當訓爲收 恤功于民 猶云收功于民 周易井上六井收勿幕 王注曰 井功大成 在此爻矣 故曰 井收 是收有成義 訓恤爲收 正與下文三后成功相應]”라고 하였다.
역주5 惟殷于民 : 兪樾은 “이 經文의 ‘殷’자도 正의 뜻으로 풀이해야 하니, ‘殷于民’은 백성을 바로잡는 것이다.[此經殷字 亦當訓正 殷于民者 正于民也]”라고 하였다.(≪群經平議≫)

상서정의(6)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