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正義(6)

상서정의(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具備어든 師聽五辭하리니
[傳]兩謂囚證이요 至也 兩至具備 則眾獄官 共聽其入五刑之辭이라
五辭簡孚어든 于五刑하며
[傳]五辭簡核하여 信有罪驗이어든 則正之於五刑하라
五刑不簡이어든 正于五罰하며
[傳]不簡核 謂不應五刑이니 當正五罰하여 出金贖罪
○應 應對之應이니 下同이라
五罰 不服이어든 正于五過하라
[傳]不服 不應罰也 正於五過하여 從赦免이라


〈죄수와 증인〉 양쪽이 〈다 법정에〉 나와 모두 구비되었거든 여러 옥관獄官이 〈그들이 제출한〉 오형五刑공사供辭(죄인의 진술서)를 들을 것이니,
’은 죄수와 증인을 이르고, ‘’는 (이름)의 뜻이다. 〈죄수와 증인이〉 양쪽이 〈다 법정에 나와〉 모두 구비되었거든 여러 옥관獄官이 그들이 제출한 오형五刑공사供辭를 함께 듣는다는 것이다.
오형五刑공사供辭를 조사하여 참으로 〈죄험罪驗이 있거든〉 오형五刑에 적용할 것이며,
오형五刑공사供辭를 조사하여 속속까지 밝혀서 참으로 죄험罪驗이 있거든 오형五刑에 적용하라는 것이다.
오형五刑〈의 공사供辭가〉 조사하여 속속까지 밝힌 사실과 같지 않거든 오벌五罰에 적용할 것이며,
‘조사하여 속속까지 밝힌 사실과 같지 않다.’는 것은 오형五刑에 부합되지 않음을 이르니, 마땅히 오벌五罰에 적용해서 벌금을 내어 속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은 ‘응대應對’의 이니, 아래도 같다.
오벌五罰에 복종하지 않거든 오과五過에 적용하라.
‘복종하지 않는다.’는 것은 에 응하지 않는 것이니, 오과五過에 적용해서 사면을 따르라는 것이다.


역주
역주1 : 蔡傳은 ‘원고와 피고’로 보았다.
역주2 : 蔡傳은 質(質正)의 뜻으로 보았다.

상서정의(6)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