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正義(6)

상서정의(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乃惟有夏 圖厥政하되 한대 天降時喪하사 으로 하시니라
[傳]更說桀也 言桀謀其政 不成于享이라 天下是喪亡以禍之하고 使天下有國聖人代之
言有國 明皇天無親이요 佑有德이라
○間 間厠之間이라
[疏]‘乃惟’至‘間之’
○正義曰:更說桀亡之由. 乃惟有夏桀謀其政, 不能成於享國, 所謀皆是惡事, 故天下是喪亡以禍之, 使有國聖人來代之.
言皇天無親, 惟佑有德, 故以聖君代闇主也.


나라가 정사를 도모하되 나라를 향유享有할 도리를 집적集積하지 않자, 하늘이 이 상망喪亡을 내리시어 나라를 가질 사람으로 대신하게 하신 것이다.
다시 이 〈망한 이유를〉 말하였다. ‘이 정사를 도모함에 있어 나라를 향유享有할 도리를 이루지 않았기 때문에 하늘이 이 상망喪亡을 내려 재화災禍를 입히고 천하에서 나라를 가질(향유할) 성인聖人으로 하여금 대신하게 하였다고 말한 것이다.
유국有國’이라 말함은 하늘이 일정하게 친히 여기는 대상이 없고 덕이 있는 이를 돕는다는 점을 밝힌 것이다.
은 ‘간측間厠’의 이다.
의 [현인乃惟]에서 [間之]까지
정의왈正義曰:다시 이 망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하걸夏桀이 그 정사를 도모함에 있어 능히 나라를 향유享有할 도리를 이루지 않아 도모한 바가 모두 악한 일이었기 때문에, 하늘이 이 상망喪亡을 내려 재화災禍를 입히고 나라를 가진 성인聖人으로 하여금 와서 대신하게 하였다.’
하늘은 일정하게 친히 여기는 대상이 없고 오직 덕이 있는 이를 돕기 때문에 성스러운 임금으로 혼암한 임금을 대신하게 한 것이다. 임금이 바로 나라의 제후諸侯였기 때문에 ‘유국有國’이라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不集于享 : 孔安國과 宋代 胡士行(≪尙書詳解≫)은 ‘集’을 成의 뜻으로 보았고, 呂祖謙은 “‘集’은 바로 “積集”의 集이고, ‘享’은 바로 “享國”의 享이니, 治世의 정치는 그 흥성할 바를 集積하므로, 이른바 “享有에 集積한다.”는 것이고, 亂世의 정치는 그 멸망할 바를 集積하므로, 이른바 “享有에 集積하지 않는다.”는 것이다.[集乃積集之集 享乃享國之享 治世之政 聚其所以興 所謂集于享也 亂世之政 積其所以滅 所謂不集于享也]”로, 元代 吳澄(≪書纂言≫)은 “‘不集于享’은 諸侯들이 마음이 離反했기 때문에 취합해 와서 朝享하게 할 수 없음을 이른다.[不集于享 謂諸侯離心 不能合聚之使來朝享也]”로, 朱祖義(≪尙書句解≫)는 “천명을 누릴 뜻을 이루지 못했다.[不成于享天命之意]”로 각각 풀이하였다.
역주2 有邦 : 孔穎達은 “湯이 바로 夏나라의 諸侯였기 때문에 ‘有邦’이라 했다.[湯是夏之諸侯 故曰有邦]”라고 孔傳을 부연해서 단순히 ‘諸侯’로 보았고, 蔡傳도 孔穎達의 말을 인용하여 ‘有殷’으로 보았으나, 孔傳의 “‘有國’이라 말함은 하늘이 일정하게 친히 여기는 대상이 없고 덕이 있는 이를 돕는다는 점을 밝힌 것이다.[言有國 明皇天無親 佑有德]”를 감안하면 ‘有邦’은 ‘나라를 가질(향유할) 사람’으로 보아야 할 것 같다. ‘有邦’을 ‘나라를 가진’으로 새기면 湯임금이 諸侯 때 이미 가진 殷나라가 되고, ‘나라를 가질’로 새기면 앞으로 나라를 가질 자격이 있는 湯임금과 같은 분이 된다.
역주3 : 孔疏는 ‘間厠’의 間으로 보았고, 吳澄과 朱祖義는 ‘伐’의 뜻으로서 湯이 夏나라를 친 것으로 보았다.
역주4 湯是夏之諸侯 故云有國 : 孔傳은 ‘有國’을 ‘나라를 가질’로 새겼는데, 孔疏는 ‘나라를 가진’으로 새겼기 때문에 이런 말을 하고 있는 것이다.

상서정의(6)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