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正義(6)

상서정의(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曷不忱裕之于爾多方
[傳]汝何不以誠信으로 行寬裕之道於汝眾方 欲其戒四國 崇和協이라
[傳]하여 以享天之命하고 而爲不安乎
今爾尙宅爾宅하며 畋爾田이언만 曷不惠王하여 熙天之命
[傳]今汝殷之諸侯 皆尙得居汝常居하고 臣民 皆尙得畋汝故田이언만 汝何不順從王政하여 廣天之命하고 而自懷疑乎


너희는 어째서 성신誠信으로 관유寬裕를 너희 다방多方에 행하지 않는가.
“너희는 어째서 성신誠信으로 관유寬裕를 너희 다방多方에 행하지 않는가.”라고 하였으니, 네 나라가 화협和協을 숭상하도록 경계하고자 해서였던 것이다.
너희는 어째서 가까이서 크게 우리 나라 에게서 다스림을 받아 하늘의 을 누리지 않는고.
’은 의 뜻이다. 너희는 어째서 가까이서 크게 우리 나라 에게서 다스림을 받아 하늘의 을 누리지 않고 불안해하는가라는 것이다.
지금 너희는 아직도 너희 집에 거주하고 너희 토지를 경작하고 있건만, 너희는 어째서 의 정사를 순종하여 천명을 넓히지 아니하는고.
지금 너희 나라의 제후諸侯들은 모두 아직도 너희의 집에 거처하고 있고, 신민臣民들은 모두 아직도 너희의 예전 전토를 경작하고 있건만, 너희는 어째서 의 정사에 순종하여 천명을 넓히지 아니하고서 스스로 의심을 품는가라고 한 것이다.


역주
역주1 爾 曷不夾介乂我周王享天之命 : 蔡傳은 夾을 ‘夾(挾)輔’의 夾으로, 介를 ‘賓(擯)介’의 介로 보아, “너희는 어째서 우리 周나라 王이 천명을 누리는 일을 협조하지 않는가.”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夾……汝何不近大見治於我周王 : 兪樾(≪群經平議≫)은 “≪爾雅≫ 〈釋詁〉에 ‘「介」는 助의 뜻이다.’라고 하였으니, 그렇다면 ‘夾介’는 輔助란 말과 같다. ≪春秋左氏傳≫ 哀公 16년 조의 ‘是得艾也’(편안함을 얻으리니)에 대한 杜注에 ‘「艾」는 安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乂’와 ‘艾’는 예전에 통용하였으니, 그렇다면 ‘乂我周王’은 ‘安我周王’이란 말과 같다. 枚氏는 ‘夾介’를 近大로 여겼으니, 너무도 말이 안 된다. ‘乂’를 治의 뜻으로 풀이하고 ‘見’자를 보태서 그 뜻을 이루었으니, 또한 經의 말이 아니다.[爾雅釋詁曰 介助也 然則夾介猶言輔助也 哀十六年左傳是得艾也 杜注曰 艾安也 乂艾古通用 然則乂我周王 猶言安我周王也 枚以夾介爲近大 不辭殊甚 又訓乂爲治 而加見字以成其義 亦非經言]”라고 하였다.

상서정의(6)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