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正義(6)

상서정의(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嗚呼 孺子王矣시니
[傳]歎稚子今以爲王矣 不可不勤法祖考之德이라
繼自今으로 準人 牧夫 我其克灼하여 知厥하면 丕乃俾亂하여
[傳]繼用今已往으로 我其立政大臣 立事小臣 及準人 牧夫 我其能灼然知其順者 則大乃使治之
言知臣下之勤勞然後 莫不盡이라
我受民하고 和我庶獄庶愼이면 하소서
[傳]能治我所受天民하고 和平我眾獄眾慎之事하면 如是則勿有以代之 言不可復變이라


아. 유자孺子께서는 이 되셨으니,
탄식하고 나서 “치자稚子는 지금 이 되었으니, 조고祖考을 부지런히 본받지 않을 수 없다.”라고 한 것이다.
계속하여 지금으로부터는 우리 왕께서 입정立政입사立事준인準人목부牧夫를 〈선택하되,〉 우리 왕께서 그들을 환하게 살펴서 일에 순종하는지를 파악하면 크게 다스리게 하여,
계속하여 지금부터 이후는 우리 왕께서 입정대신立政大臣입사소신立事小臣준인準人목부牧夫를 〈선택하되,〉 우리 왕께서 그들이 일에 순종하는가를 환하게 알면 크게 다스리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곧 신하들의 근로정신을 살펴 안 연후에 〈임용해서 그들이〉 마음과 힘을 다하도록 해야 할 것임을 말한 것이다.
우리 왕께서 〈하늘로부터〉 받으신 백성들을 잘 다스리고, 우리 왕의 여러 형옥刑獄과 여러 신중히 해야 할 일들을 화평하게 하였으면, 이와 같을 경우 〈그 법을〉 대체하지 마소서.
우리 왕이 하늘로부터 받은 백성들을 잘 다스리고, 우리 왕의 여러 형옥刑獄과 여러 신중히 해야 할 일들을 화평하게 하였으면, 이와 같을 경우 대체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곧 다시 〈그 법을〉 변경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 孔疏는 우리 왕[我王]으로 풀이하고, 蔡傳도 “‘我’는 王을 가리켜 말한 것이다.[我者 指王而言]”라고 하였다. 곧 王의 입장에서 말한다는 것이다.
역주2 立政立事 : 孔傳이 ‘立政’은 大臣, ‘立事’는 小臣으로 본 반면에, 林之奇는 ‘立事’를 ‘立政’으로, 夏僎은 ‘立政하고 立事할 즈음’으로, 呂祖謙은 ‘立政’은 政事의 大綱, ‘立事’는 政事의 細目으로 보았는데, 蔡傳은 呂祖謙을 따랐다.
역주3 : 孔疏와 蔡傳은 다같이 ‘順’의 뜻으로 보았으나 孔疏는 일에 순종하는 것[順於事]으로 풀이하고, 蔡傳은 마음의 편안한 것[心之安]으로 풀이하였으며, 蘇軾은 “그 마음이 그 말과 같은 것을 ‘若’이라 이른다.[其心如其言 是謂若]”라고 하여 ‘如’의 뜻으로 풀이하였다.
역주4 (其)[心] : 저본에는 ‘其’로 되어 있으나, 宋兩浙東路茶鹽司本에 의거하여 ‘心’으로 바로잡았다.
역주5 : 蔡傳은 助의 뜻으로 보았다.
역주6 時則勿有間之 : 孔傳은 ‘間’을 代의 뜻으로 보아 “이와 같을 경우 代替하지 말라.[如是則勿有以代之]”로, 蘇軾은 “이미 썼거든 유언비어로 讒間하지 말게 하라.[既用則勿以流言讒間之]”로, 夏僎은 “이렇게 되었으면 소인으로 하여금 그 사이에 이간질을 할 수 없게 하라.[于是則不可使小人 離間于其間]”로, 呂祖謙은 “어찌 다시 다른 뜻을 가진 자로 하여금 개입하게 할 수 있겠는가.[豈容復使異意者間之哉]”로 풀이하였는데, 蔡傳은 呂祖謙을 따랐다. 다만 “異意者”를 “小人”으로 바꾸었을 뿐이다. 또한 元末明初의 陳雅言(≪書義卓躍≫)은 成湯의 “嚴惟丕式”, 文王의 “罔攸兼”과 “罔敢知”를 모두 “時則勿有間之”의 뜻으로 보았다.

상서정의(6)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