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正義(7)

상서정의(7)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7)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我心之憂 日月 逾邁 若弗니라
[傳]言我心之憂 欲改過自新이나 如日月竝行過 如不復云來니라 雖欲改悔 恐死及之 無所益이라
[疏]‘公曰’至‘云來’
○正義曰:穆公自悔伐鄭, 召集群臣而告之.
公曰 “咨嗟, 我之朝廷之士. 聽我告於汝, 無得喧嘩. 我誓告汝眾言之首, -誥汝以言中之最要者.-
古人有言曰 ‘民之行己, 盡用順道, 是多樂.’ -言順善事, 則身大樂也.-
見他有非理, 以義責之, 此無難也.
惟己有非理, 受人之責, 即能改之, 使如水之流下, 此事是惟難哉. -言己已往之前不受人言, 故自悔也.-
今我心憂, 欲自改過自新, 但日月益爲疾行, 如似不復云來. -恐己老死不得改悔也.-”
[疏]○傳‘誓其’至‘稱士’
○正義曰:‘士’者, 男子之大號, 故群臣通稱之. 鄭云 “誓其群臣, 下及萬民, 獨云士者, 舉中言之.”
[疏]○傳‘言民’至‘忠臣’
○正義曰:‘訖’, 盡也, ‘自’, 用. ‘若’, 順, ‘盤’, 樂也. 盡用順道則有福, 有福則身樂, 故云 “是多樂”也.
稱‘古人言’者, 悔前不用古人之言, 不順忠臣之謀故也.
昔漢明帝問東平王劉蒼云 “在家何者爲樂?” 對曰 “爲善最樂.” 是其用順道則多樂.
[疏]○傳‘言我’至‘所益’
○正義曰:‘逾’, 益, ‘邁’, 行也, ‘員’, 即‘云’也.
言日月益爲疾行, 竝皆過去, 如似不復云來.
-畏其去而不復來, 夜而不復明, 言己年老, 前途稍近, 雖欲改悔, 恐死及之, 不得修改, 身無所益也.-
王肅云 “年已衰老, 恐命將終, 日月遂往, 若不云來, 將不復見日月, 雖欲改過, 無所及, 益自改過遲晚, 深自咎責之辭.”


내 마음의 걱정은 세월이 흘러가 다시는 오지 않을 듯한 것이다.
내 마음의 걱정은 과오를 고쳐 스스로 새로워지고 싶으나 세월이 흘러간지라 다시는 오지 않을 듯한 것임을 말한다. 비록 뉘우쳐 고치려 하나 이미 늙어 죽게 되었으니, 〈새로워진들〉 아무 소용이 없을 듯하다는 것이다.
의 [공왈公曰]에서 [云來]까지
정의왈正義曰목공穆公나라를 친 것을 스스로 뉘우친 나머지 여러 신하들을 불러 모아놓고 고유하였다.
목공穆公이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아, 우리 조정의 인사들아. 내가 너희에게 고유하는 말을 〈조용히〉 듣고 떠들지 말라. 내 맹세하여 너희에게 여러 말 중에 가장 근본적인 요점을 고유할 것이다. -너희에게 말 중에 가장 중요한 말을 고유하겠다는 것이다.-
옛사람이 말하기를 ‘백성(일반인)이 처신함에 모두 도리를 따르기 때문에 바로 즐거움이 많다.’라고 하였은즉, -착한 일을 따르면 몸이 크게 즐거운 점을 말한 것이다.-
다른 사람에게 비리가 있음을 보면 의리로써 꾸짖어야 하는데 이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나에게 비리가 있을 때에 남의 꾸짖음을 받아들여 즉시 능히 고치기를 마치 물이 아래로 흐르듯이 해야 하는데 이 일이 바로 어려운 것이다. -자기가 이왕에 남의 말을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에 스스로 뉘우친다는 점을 말한 것이다.-
지금 내 마음의 걱정은 스스로 과오를 고쳐 스스로 새로워지고 싶으나 다만 세월이 더욱 빨리 흘러가서 다시는 오지 않을 것만 같은 것이다. -자기가 늙어 죽어서 뉘우쳐 고칠 수 없을까 두렵다는 것이다.-”
의 [誓其]에서 [稱士]까지
정의왈正義曰:‘’란 것은 남자男子의 큰 호칭이기 때문에 여러 신하들을 통틀어 칭한 것이다. 정현鄭玄이 “여러 신하들에게 맹세하여 아래로 만백성에게 미쳐가게 하는 것인데, 유독 ‘’라 한 것은 중간을 들어서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의 [言民]에서 [충신忠臣]까지
정의왈正義曰:‘의 뜻이고, ‘’는 의 뜻이고, ‘’은 의 뜻이고, ‘’은 의 뜻이다. 모두 도리를 따르면 이 있고 이 있으면 몸이 즐겁기 때문에 “바로 즐거움이 많다.”라고 한 것이다.
충신忠臣의 모책을 따르지 않은 일을 후회한 것이다.
옛날 명제明帝동평왕東平王 유창劉蒼에게 묻기를 “집에 있을 때에 무엇을 하는 것이 즐겁던고?”라고 하자, 대답하기를 “착한 일을 하는 것이 가장 즐거웠습니다.”라고 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도리를 따르면 즐거움이 많다는 것이다.
의 [言我]에서 [所益]까지
정의왈正義曰:‘’는 의 뜻이고, ‘’는 의 뜻이고, ‘’은 곧 ‘’이다.
세월이 더욱 빨리 흘러가서 아울러 모두 지나가버려 다시는 오지 않을 것만 같다.
-한번 가면 다시 오지 않고 밤이 되면 다시 밝아지지 않을까 두렵다는 것이니, 곧 자기가 연로하여 앞길(앞날)이 점점 가까이 다가오므로 비록 뉘우쳐 고치려 하나 죽음이 미쳐서 수개修改하지 못하여 몸에 이익이 될 바가 없을까 두려움을 말한 것이다.-
왕숙王肅은 “나이가 이미 노쇠했기 때문에 목숨이 장차 끝날까 두렵고, 세월이 결국 가서 다시는 오지 않을 것만 같아 장차 다시는 일월을 보지 못하여 비록 잘못을 고치려 해도 미치는 바가 없을 게란 것이니, 곧 잘못을 고치는 것이 늦어짐을 더욱 스스로 한스러워하며 깊이 책망하는 말이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 古本에는 ‘員’으로 되어 있다. 아래에 있는 ‘雖則云然’의 ‘云’도 같다.
역주2 若弗云來 : 夏僎은 “‘若弗云來’는 과오를 고칠 날이 없음을 걱정하는 것이니, ‘일월은 자꾸만 흘러가서 세월이 나를 기다려주지 않는다.’는 것과 같다.[若弗云來 憂改過之無日也 如日月之逝矣 歲不我與]”라고 풀이하였다.
역주3 (用)[恨] : 저본에는 ‘用’으로 되어 있으나, 宋刊 單疏本에 의거하여 ‘恨’으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7)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