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5)

대학연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注+① 踐阼篇:大戴禮篇名. 하사 惕若懼而爲하사 於席之四端 爲銘注+② 武王……銘焉:하시다


30-2-가1
대대례기大戴禮記》 〈무왕천조武王踐阼〉편에注+〈踐阼〉편은 《大戴禮記》의 편명이다.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 무왕武王이 즉위한 지 사흘이 되었을 때 태공太公에게 단서丹書의 내용을 전수받아 조심하는 마음으로 경계하고 두려워하면서 경계하는 글을 지어 자리의 네 귀퉁이에 을 새겨 넣었다.”注+이상과 같이 운운한 말의 全文은 제2권에 보인다.


역주
역주1 : 30-2-가1부터 30-2-가9까지 《大戴禮記》 〈武王踐阼〉에 보인다.
역주2 踐阼篇 : 《大戴禮記》 〈武王踐阼〉편이다. 청나라 때 汪照가 지은 《大戴禮記注補》에 인용된 諸家의 설들을 종합하면, ‘阼’는 본래 ‘동쪽 계단’이라는 뜻으로 임금이 다니는 계단이다. ‘踐阼’는 임금이 즉위하는 것을 가리키는데, 여기에서는 武王이 商나라를 이기고 천자의 자리에 오른 것을 말한다. 宋나라 때 劉恕의 《資治通鑑外紀》에 따르면, 이때가 무왕 1년(기원전 1122)이다. 《大戴禮記注補 卷6 武王踐阼》 《資治通鑑外紀 卷3 周紀1》
역주3 武王……太公 : 무왕은 이때 端冕, 즉 袞冕(곤면) 차림으로 姜太公으로부터 丹書에 담긴 내용을 전해 들었다. 《大戴禮記注補 卷6 武王踐阼》 자세한 내용은 2-7-가 참조. 張守節의 《史記正義》 〈周本紀〉에 인용된 《尙書帝命驗》이라는 緯書에 따르면, 붉은 참새[赤爵]가 ‘단서’를 물고 酆(풍) 땅에 있던 周 文王의 집 창문으로 날아들었다고 한다. 이 설과는 달리 청나라 때 孔廣森이 지은 《大戴禮記補注》에 따르면, ‘단서’는 옛날 제왕들이 책을 보관하던 곳인 策府에 전해 내려져 오던 典籍을 가리킨다. 《大戴禮記補注 卷6 武王踐阼》
역주4 : 사고본에는 ‘恐’으로 되어 있다.
역주5 : 대전본에는 ‘成’으로 되어 있다.
역주6 : 대전본에는 ‘曰’로 되어 있다.
역주7 云云……二卷 : 2-7-가에 보인다.

대학연의(5)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