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5)

대학연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孔子 觀周하실새 入后稷之廟하시니 右階之前 有金人焉하니 三緘其口而銘其背曰
古之愼言人也 戒之哉어다 無多言하며 無多事하라 多言이면 多敗 多事 多害
安樂必誡하여 無行所悔하라 勿謂何傷하라 其禍 將長이리라 勿謂何害하라 其禍 將大리라 勿謂不聞하라 神將伺人이리라
焰焰弗滅이면 炎炎若何 涓涓不壅이면 終爲江河 綿綿不絶이면 或成網羅 毫末不扎이면 將尋斧柯리라
誠能愼之 福之根也 是何傷 禍之門也 强梁者 不得其死하고 好勝者 必遇其敵이라
主人이요 民怨其上이니 君子 知天下之不可上也故 下之하고 知衆人之不可先也故 後之하니
長於百川 以其卑也 天道 無親하여 常與善人하나니 之哉․戒之哉어다
孔子 旣讀斯文也하시고 顧謂弟子曰 小子 志之하라 此言 實而中이요 情而信이로다
詩云 이라하니 行身 如此 豈口過 患哉注+① 豈口過患哉:言無口過之可憂也.리오


30-7-가
공자孔子나라를 구경할 때 후직后稷에 들어갔는데 오른쪽 계단 앞에 금인金人이 있었다. 그 입은 3중으로 꿰매져 있었으며 그 등에는 다음과 같은 명문銘文이 있었다.
“옛날에 말을 신중히 했던 사람이니, 경계로 삼아야 할 것이다. 말을 많이 하지 말며 일을 많이 벌이지 말라. 말을 많이 하면 실패가 많고 일을 많이 벌이면 해로움이 많다.
안락해도 반드시 경계하여 후회할 일을 행하지 말라. 무엇이 문제가 되느냐고 말하지 말라. 그 재앙이 장차 자라날 것이다. 무엇이 해가 되느냐고 말하지 말라. 그 재앙이 장차 커질 것이다. 듣지 못한다고 말하지 말라. 이 장차 사람을 지켜보리라.
처음 타올랐을 때 끄지 않으면 거세게 타오를 때 어찌할 것인가. 졸졸 흐를 때 막지 않으면 마침내 장강長江황하黃河 같은 거대한 물이 될 것이다. 면면히 이어져 있을 때 끊지 않으면 그물이 될 수도 있으며, 작을 때 뽑아내지 않으면 장차 도끼자루를 찾게 될 것이다.
진실로 삼갈 수 있으면 복의 근원이요, 이것이 무슨 문제가 되느냐고 말하는 것은 재앙을 부르는 문이다. 용력이 뛰어난 자가 제명에 죽지 못하고 이기기를 좋아하는 자가 반드시 적수를 만난다.
도적은 주인을 미워하고 백성은 제 윗사람을 원망하는 것이니, 군자는 천하의 위에 올라서면 안 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아래에 있는 것이며, 뭇사람들을 앞지르면 안 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뒤에 있는 것이다.
강과 바다가 비록 왼쪽에 있으나 모든 하천의 우두머리가 되는 것은 그것이 낮은 데에 있기 때문이다. 천도天道는 친한 이가 없어 늘 선한 사람을 편드는 법이니, 경계하고 경계해야 할 것이다.”
金人示愼圖金人示愼圖
공자孔子가 이 명문銘文을 읽고 나서 제자를 돌아보고 말하였다. “얘야. 기억해두어라. 이 말이 진실하고 사리에 맞으며 정리情理에 가깝고 믿을 만하다.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전전긍긍戰戰兢兢하여 깊은 연못에 임한 듯이 하며 살얼음을 밟듯이 한다.’라고 하였으니, 처신이 이러하다면 어찌 잘못된 말을 하는 허물을 근심하겠는가.”注+우려스러울 정도로 잘못된 말을 하는 허물이 없음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30-7-가 : 《孔子家語》 〈觀周〉에 보인다. 같은 이야기가 《說苑》 〈敬愼〉에도 보인다. 胡仔의 《孔子編年》에 따르면, 魯 昭公 24년(기원전 518, 周 敬王 2)의 일로 이때 공자의 나이 34세였다. 《孔子編年 卷1》
역주2 : 509본에는 ‘口’로 되어 있다.
역주3 : 대전본에는 ‘增’으로 되어 있으나, 오자이다.
역주4 江海雖左 : 元나라 때 王廣謀는 《句解孔子家語》에서 “물은 오른쪽을 높을 것으로 치는데, 강과 바다가 비록 왼쪽에 있으나 또한 모든 하천의 우두머리가 되는 것은 그것이 낮은 데에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水以右爲尊 江海雖在於左 亦能爲百川長 以其能下也]”라고 설명하였다. 《句解孔子家語 卷上 觀周》
역주5 : 대전본에는 ‘誡’로 되어 있다.
역주6 戰戰……薄冰 : 《詩經》 〈小雅 小旻〉에 보인다.

대학연의(5)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