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5)

대학연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七月流火注+① 七月流火:流, 下也. 火, , 六月之昏, 入於地之南方, 至七月之昏, 則下而西流.어든
九月授衣注+② 九月授衣:當流火之時, 爲授衣之備也.하나니라
一之日觱發注+③ 一之日觱發:一, 十一月也. 觱發者, 風寒.하고
二之日栗烈注+④ 二之日栗烈:, 十二月也. 栗烈者, 氣寒.하나니
注+⑤ 無衣無褐:褐, 毛布也.이면
何以卒歲注+⑥ 何以卒歲:卒, 終也.리오
三之日于耜注+⑦ 三之日于耜:, 正月也. 于, 往也. 耜, 田器.
四之日舉趾注+⑧ 四之日舉趾:, 二月也. 趾, 足也, 謂舉足而耕.어든
同我婦子하여
饁彼南畝注+⑨ 饁彼南畝:饁, 饋也.커든
田畯至喜注+⑩ 田畯至喜:하나니라
七月流火어든
九月授衣하나니라
春日載陽注+① 春日載陽:載, 也. 陽, 温也.하여
有鳴倉庚注+② 倉庚:黃鸝也.이어든
女執懿注+③ 懿筐:懿, 深也.하여
遵彼微行注+④ 遵彼微行:遵, 循也. 微行, 下小徑.하여
爰求柔桑注+⑤ 爰求柔桑:爰, 於也. 柔桑, 桑.하며
春日遲遲注+⑥ 春日遲遲:遲, 緩也.어든
采蘩祁祁注+⑦ 采蘩祁祁:蘩, 皤蒿也, 所以生蠶. 祁祁, 衆多也.하나니
女心傷悲
殆及公子同歸注+⑧ 殆及公子同歸:女常悲春, 欲如貴公子之早嫁也.로다
七月流火어든
八月萑葦注+① 八月萑葦:預蓄以爲니라
蠶月條桑注+② 蠶月條桑:條桑, 枝落之以取葉也.이라
取彼斧斨하여
以伐遠揚注+③ 取彼……遠揚:斧斨, 所以伐遠枝之揚起者, 於此亦預備之.이요
彼女桑注+④ 猗彼女桑:小而長條曰女桑.이니라
七月鳴鵙注+⑤ 七月鳴鵙:伯勞也.이어든
八月載績注+⑥ 八月載績:.하나니
載黃注+⑦ 載玄載黃:以爲祭服也, 衣黃裳.하여
我朱孔陽注+⑧ 我朱孔陽:朱色光明.이어든
爲公子裳注+⑨ 爲公子裳:以供公上.하나니라
四月秀葽注+① 四月秀葽:草也.어든
五月鳴蜩注+② 五月鳴蜩:蟬也.
八月其穫注+③ 八月其穫:禾之早穫者.이어든
十月隕蘀注+④ 十月隕蘀:謂木葉落.이니라
一之日于貉注+⑤ 一之日于貉:謂取狐狸皮也.하여
取彼狐狸하여
爲公子裘注+⑥ 取彼……子裘:同上.하고
二之日其同注+⑦ 二之日其同:同, 會聚也.하여
載纉武功注+⑧ 載纉武功:纉, 繼也. 功, 事也.하여
言私其豵이요
獻豜于公注+⑨ 言私……于公:田獵所取也. 小豕曰豵, 大豕曰豜. 大獸公之, 小獸私焉.하나니라
五月斯螽動股注+① 五月斯螽動股:斯螽, .
六月莎雞振羽注+② 六月莎雞振羽:莎雞, 如蝗.
七月在野
八月在宇注+③ 八月在宇:屋霤也.
九月在戶
十月蟋蟀
入我牀下注+④ 七月……牀下:自七月以下, 皆言蟋蟀自野漸入以避寒.하나니라
穹窒熏鼠注+⑤ 穹窒熏鼠:穹, 也. 窒, 塞也. 熏去其鼠.하며
塞向墐戶注+⑥ 塞向墐戶:向, 北出牖. 墐, 塗也, 所以備寒.하고
嗟我婦子
曰爲改歲어니
入此室處注+⑦ 曰爲……室處:改歲大寒, 此以處.어다
六月食鬱及薁注+① 六月食鬱及薁:鬱, 棣属. 薁, 櫻薁.하며
七月亨葵及菽注+② 七月亨葵及菽:亨, 煑也. 葵, 今之葵. 菽, 豆也.하며
八月剝棗注+③ 八月剝棗:剝, 普卜反, 擊也.하며
十月穫稻注+④ 十月穫稻:稻, 謂晚収者.하여
爲此春酒하여
以介眉壽注+⑤ 六月……眉壽:自食鬱以下, 皆言養老也.하나니라
七月食瓜하며
八月斷壺注+⑥ 八月斷壺:瓠也.하며
九月叔苴注+⑦ 九月叔苴:叔, 拾也. 苴, 麻子.하며
采荼薪樗注+⑧ 采荼薪樗:荼, 苦菜. 樗, 惡木.하여
食我農夫注+⑨ 七月食……農夫:以上皆者之食.하나니라
九月築場圃注+① 九月築場圃:築圃爲場, 在今猶然.
十月納禾稼하나니
黍稷重穋注+② 黍稷重穋:後熟曰重, 先熟曰穋.
禾麻菽麥이니라
嗟我農夫
我稼既同注+③ 我稼既同:既同, 言已聚也.이어니
上入執宮功注+④ 上入執宮功:宮功, 公室之役.이니
晝爾于茅
宵爾索綯注+⑤ 晝爾……索綯:晝取茅, 夜作索.하여
亟其乘屋注+⑥ 亟其乘屋:亟, 急也. 乘, 升也.이오야
其始播百穀注+⑦ 其始播百穀:以穀在近, 早修室廬.이니라
二之日注+① 二之日:十二月.鑿氷沖沖注+② 鑿氷沖沖:沖沖, 鑿氷之意.하여
三之日注+③ 三之日:正月.納于凌陰注+④ 納于凌陰:氷室也.하나니
四之日其蚤
注+⑤ 獻羔祭韭:仲春獻羔開氷, 獻于寢廟也. 韭新出, 故薦之.하나니라
九月肅霜이어든
十月滌場注+⑥ 十月滌場:滌, 掃也.하고
注+⑦ 朋酒斯饗:兩樽曰朋.하여
曰殺羔羊하여
躋彼公堂注+⑧ 躋彼公堂:公堂, 人君之堂.하여
稱彼兕觥注+⑨ 稱彼兕觥:兕角之觥.하니
萬壽無疆注+⑩ 萬壽無疆:.이로다


27-10-가
칠월七月〉은 왕업王業을 말한 시이다. 주공周公이 변고를 만나서 후직后稷과 선대 조상들의 교화敎化가 무엇으로 말미암아 이룩되었는지와 왕업王業을 이루기까지의 어려움을 말한 것이다.
칠월이라 대화大火 심성心星 내려가면注+‘流’는 ‘내려가다’라는 뜻이다. ‘火’는 大火 心星이니, 6월 황혼에 땅의 남방에 들어가고 7월 황혼이 되면 내려가서 서쪽으로 진다.七月流火
구월엔 겨울옷을 주느니라注+대화 심성이 내려갈 때 겨울옷을 줄 차비를 하는 것이다.九月授衣
동짓달엔 바람이 차갑고注+‘一之日’은 11월이다. ‘觱發’은 ‘바람이 차갑다’라는 뜻이다.一之日觱發
섣달에는 기운이 차갑나니注+‘二之日’은 12월이다. ‘栗烈’은 ‘기운이 차갑다’라는 뜻이다.二之日栗烈
겨울옷 없고 모포 없으면注+‘褐’은 모포이다. 無衣無褐
어찌 한 해를 마치리오注+‘卒’은 ‘마치다’라는 뜻이다.何以卒歲
정월엔 가서 쟁기를 수선하고注+‘三之日’은 정월이다. ‘于’는 ‘가다’라는 뜻이다. ‘耜’는 농기구이다.三之日于耜
이월엔 발꿈치 들고 밭을 갈면注+‘四之日’은 2월이다. ‘趾’는 ‘발’이라는 뜻이니, ‘舉趾’는 발을 들고 밭 가는 것을 이른다.四之日舉趾
우리 처자식과 함께同我婦子
저 남쪽 이랑에 들밥 내가니注+‘饁’은 ‘음식을 주다’라는 뜻이다.饁彼南畝
전준田畯이 와서 보고 기뻐하느니라注+‘田畯’은 田大夫이다.田畯至喜
칠월이라 대화大火 심성心星 내려가면七月流火
구월엔 겨울옷을 만들어주느니라九月授衣
봄이 되어 햇살이 따뜻해져서注+
倉庚(黃鳥)倉庚(黃鳥)
‘載’는 ‘곧’이라는 뜻이다. ‘陽’은 ‘따뜻하다’라는 뜻이다.
春日載陽
꾀꼬리가注+‘倉庚’은 꾀꼬리이다. 꾀꼴꾀꼴 울거든有鳴倉庚
아가씨는 깊은 광주리注+‘懿筐’은 깊은 광주리이다. 들고 女執懿筐
저 오솔길을 따라가서注+‘遵’은 ‘따르다’라는 뜻이다. ‘微行’은 담 아래 작은 길이다.遵彼微行
이에 어린 뽕잎을 따며注+‘爰’은 ‘이에’라는 뜻이다. ‘柔桑’은 어린 뽕잎이다.爰求柔桑
봄이 되어 해가 더디 지거든注+‘遲’는 ‘더디다’라는 뜻이다. 춘일지지春日遲遲
흰 쑥 캐기를 많이 하나니注+‘蘩’은 흰 쑥이니 누에를 기르는 것이다. ‘祁祁’는 ‘많다’라는 뜻이다. 채번기기采蘩祁祁
아가씨 마음 서글퍼함이여女心傷悲
장차 공자公子와 함께 돌아가리라注+아가씨는 항상 봄을 슬퍼하니 귀공자에게 가서 일찍 시집가고자 하는 것이다.殆及公子同歸
칠월이라 대화大火 심성心星 내려가면七月流火
팔월에는 갈대를 비축하느니라注+미리 비축하여 이것으로 曲薄을 만들려는 것이다.八月萑葦
누에 치는 달엔 뽕나무 가지 자르기에注+‘條桑’은 뽕나무 가지를 떨어뜨려서 그 잎을 따는 것이다.蠶月條桑
저 도끼를 가져와서取彼斧斨
멀리 뻗은 가지는 자르고注+‘斧斨’은 위로 올라간 멀리 있는 가지를 잘라내는 것이니, 이때 이것 또한 미리 준비해두는 것이다.以伐遠揚
저 작고 긴 가지는 잎만 따느니라注+작고 긴 가지를 ‘女桑’이라고 한다.猗彼女桑
칠월이라 때까치가 울거든注+‘鵙’은 때까치이다.七月鳴鵙
팔월에는 삼을 방적紡績하나니注+‘績’은 ‘삼을 방적하는 것’의 명칭이다.八月載績
이에 검붉은색 누런색 물을 들여서注+이것으로 祭服을 만드는 것이니, 붉은 빛을 띤 검은색 上衣에 노란색 下裳이다. 載玄載黃
우리 붉은색 밝게 빛나거든注+붉은색이 밝게 빛나는 것이다. 我朱孔陽
이것으로 공자公子의 제복 만드느니라注+이것을 官에 바치는 것이다.爲公子裳
사월이라 강아지풀이 패거든注+‘葽’는 풀이름이다.四月秀葽
오월에는 말매미가 울며注+‘蜩’는 매미이다. 五月鳴蜩
팔월이라 조생 벼를 수확하거든注+‘穫’은 일찍 수확할 수 있는 벼를 수확하는 것이다.八月其穫
시월에는 나뭇잎이 지느니라注+‘隕蘀’은 나뭇잎이 떨어지는 것을 이른다.十月隕蘀
동짓달엔 여우 가죽 취하여注+‘于貉’은 여우 가죽을 취하는 것을 이른다. 一之日于貉
저 여우를 잡아서取彼狐狸
공자公子의 갖옷을 만들고注+위의 ‘于貉’과 같은 뜻이다.爲公子裘
섣달엔 모여서 〈사냥을 하여〉注+‘同’은 ‘모이다’라는 뜻이다.二之日其同
무예武藝 닦는 일 계속하여注+‘纉’은 ‘계속하다’라는 뜻이다. ‘功’은 ‘일’이라는 뜻이다.載纉武功
작은 돼지는 자기가 갖고언사기종言私其豵
큰 돼지는 에 바치느니라注+사냥하여 잡은 것이다. 작은 돼지를 ‘豵’, 큰 돼지를 ‘豜’이라고 한다. 큰 짐승은 官에 바치고 작은 짐승은 자신이 갖는 것이다.獻豜于公
오월엔 여치가 다리 부벼 울고注+
斯螽(螽斯)斯螽(螽斯)
‘斯螽’은 蝗蟲 종류이다.
五月斯螽動股
유월엔 귀뚜라미 깃을 떨어 우네注+‘莎雞’는 蝗蟲과 같은 것이다. 六月莎雞振羽
칠월엔 들에 있고七月在野
팔월엔 처마 밑에 있고注+‘宇’는 집의 처마이다.八月在宇
구월엔 방문 앞에 있고 九月在戶
시월엔 쓰르라미注+‘七月’ 이하는 모두 쓰르라미가 들에서부터 점점 들어와 추위를 피함을 말한 것이다.十月蟋蟀
우리 침대 아래로 들어오느니라注+‘穹’은 ‘빈틈’이라는 뜻이다. ‘窒’은 ‘막다’라는 뜻이다. ‘熏鼠’는 연기를 피워 쥐를 제거하는 것이다.入我牀下
구멍 막고 연기 피워 쥐를 쫓으며穹窒熏鼠
북창 막고 방문 틈 발라 〈추위에 대비하네〉注+‘向’은 북쪽으로 낸 창문이다. ‘墐’은 ‘바르다’라는 뜻이니 추위에 대비하는 것이다. 塞向墐戶
아, 우리 처자들아嗟我婦子
해가 바뀌게 되었으니曰爲改歲
이 집에 들어와 거처할지어다注+
莎雞莎雞
해가 바뀌고 크게 추워지는 때에 앞으로 이곳에 거처하라는 뜻이다.
入此室處
蟋蟀蟋蟀
유월엔 아가위와 머루를 먹고注+‘鬱’은 아가위 종류이다. ‘薁’은 머루이다.六月食鬱及薁
칠월엔 아욱과 콩을 삶으며注+‘亨’은 ‘삶다’라는 뜻이다. ‘葵’는 지금의 아욱이다. ‘菽’은 콩이다. 七月亨葵及菽
팔월엔 대추를 털며注+‘剝’은 음이 普와 卜의 반절이니, ‘치다’라는 뜻이다.八月剝棗
시월엔 벼를 수확하여注+‘稻’는 늦게 수확하는 벼를 이른다.十月穫稻
이것으로 봄 술을 만들어서 爲此春酒
이것으로 장수長壽를 돕느니라注+‘食鬱’ 이하 여기까지의 내용은 모두 노인을 봉양함을 말한 것이다.以介眉壽
칠월엔 오이를 먹으며七月食瓜
팔월엔 박을 자르며注+‘壺’는 박이다.八月斷壺
구월엔 삼씨를 주우며注+‘叔’은 ‘줍다’라는 뜻이다. ‘苴’는 삼씨이다.九月叔苴
씀바귀를 캐고 가죽나무를 땔나무로 베어서注+
왼쪽 상단부터 鬱, 薁, 葵, 菽, 棗, 稻, 瓜, 壺, 苴, 荼, 樗왼쪽 상단부터 鬱, 薁, 葵, 菽, 棗, 稻, 瓜, 壺, 苴, 荼, 樗
‘荼’는 씀바귀이다. ‘樗’는 재목으로 쓰기 어려운 나무이다.
采荼薪樗
우리 농부들 먹이느니라注+‘食瓜’ 이하 여기까지의 내용은 모두 젊은이의 음식이다.食我農夫
구월엔 채마밭 다져 타작마당 만들고注+채마밭을 다져서 타작마당을 만드는데 지금도 여전히 이렇게 한다.九月築場圃
시월엔 작물을 타작마당으로 들이나니 十月納禾稼
빨리 익고 늦게 익는 찰기장과 메기장注+뒤에 익는 기장을 ‘重’이라 하고, 먼저 익는 기장을 ‘穋’이라 한다.黍稷重穋
벼와 삼, 콩과 보리니라禾麻菽麥
아, 우리 농부들아 嗟我農夫
우리 농작물 이미 다 모아놓았으니注+‘既同’은 이미 다 모인 것을 말한다.我稼既同
위로 관청 들어가 왕실의 일 해야 할 것이라注+‘宮功’은 왕실의 일이다. 上入執宮功
낮에는 네 가서 띠풀을 베어 오고晝爾于茅
밤에는 네 새끼를 꼬아서注+낮에 띠풀을 베어 와서 밤에 이것으로 새끼를 꼬는 것이다.소이삭도宵爾索綯
서둘러 그 지붕을 해 이어야注+‘亟’은 ‘서두르다’라는 뜻이다. ‘乘’은 ‘올리다’라는 뜻이다.亟其乘屋
비로소 백곡百穀을 파종하느니라注+곡식을 파종하는 것이 가까운 시일 내에 있기 때문에 일찌감치 집을 수리하는 것이다.其始播百穀
십이월엔注+‘二之日’은 12월이다. 쿵쿵 얼음을 캐어注+‘沖沖’은 얼음을 캔다는 뜻이다. 二之日鑿氷沖沖
정월엔注+‘三之日’은 정월이다. 얼음 창고에 들이나니注+‘凌陰’은 얼음 창고이다.三之日納于凌陰
이월의 이른 아침에사지일기조四之日其蚤
새끼 양 바치고 부추로 제사하느니라注+仲春에는 새끼 양을 바쳐 제사 지내면서 얼음을 꺼내 寢廟에 바친다. 이때 부추가 새로 나오기 때문에 함께 올리는 것이다.헌고제구獻羔祭韭
구월이라 추워져서 서리가 내리거든九月肅霜
시월엔 타작마당 깨끗이 쓸고注+
兕觥兕觥
‘滌’은 ‘청소하다’라는 뜻이다.
十月滌場
두 단지 술로 이에 연향宴享을 베푸네注+술 두 단지를 ‘朋’이라고 하다.朋酒斯饗
새끼 양과 큰 양을 잡아서曰殺羔羊
저 임금의 에 올라가注+‘公堂’은 임금의 堂이다.躋彼公堂
저 외뿔소 뿔잔을 높이 드니注+‘兕觥’은 외뿔소의 뿔로 만든 뿔잔이다.稱彼兕觥
만수무강하리로다注+‘萬壽無疆’은 자기 임금에게 축원하는 것이다.만수무강萬壽無疆


역주
역주1 27-10-가 : 《詩經》 〈豳風 七月〉에 보인다. 朱熹의 《詩集傳》에 따르면 모두 8장이며 한 장에 11구로 이루어져 있다.
역주2 七月……難也 : 《詩經》 〈豳風 七月〉의 〈毛序〉에 보인다.
역주3 <그림 name="2021_대학연의5_1688141601" no="1" sizex="300" sizey="" type="jpg" unit="pixel"><키워드/><그림설명>心宿大火心星 : 별자리 이름으로, 28宿(수) 恒星 중 하나이자 동방 7宿에 속한다. 心宿는 세 개의 별로 이루어졌는데 가운데 大火星이 가장 밝기 때문에 심수를 대화심수로 부르기도 한다. 심수는 매년 음력 5월 황혼에 동북방 하늘에 나타난 뒤 매달 남쪽으로 30도씩 이동하여 6월 말이면 정남방에 도달한다. 7월 초에는 또 계속 서쪽으로 가서[流] 7월 중순이 되면 대략 10도 좌우쯤으로 이동하는데, 가을이 왔다는 것을 표시한다. 본문에서 심수가 서쪽으로 내려간다고 한 것은 더위가 물러가고 추위가 곧 이를 것이라는 말이다. 《揚之水, 詩經名物新證, 北京:北京古籍出版社, 2000, 91~93쪽》
역주4 一之日 : 하나의 陽이 생기는 달로, 《周易》의 괘로 말하면 復卦(䷗)이다.
역주5 二之日 : 두 개의 陽이 생기는 달로, 《周易》의 괘로 말하면 臨卦(䷒)이다.
역주6 無衣無褐 : 鄭玄의 箋에 따르면 ‘衣’는 신분이 높은 자가 입는 옷을, ‘褐’은 신분이 낮은 자가 입는 옷을 이른다. 《毛詩注疏 豳風 七月 鄭玄箋》
역주7 三之日 : 세 개의 陽이 생기는 달로, 《周易》의 괘로 말하면 泰卦(䷊)이다.
역주8 四之日 : 네 개의 陽이 생기는 달로, 《周易》의 괘로 말하면 大壯卦(䷡)이다.
역주9 田畯 田大夫 : 勸農官이다. 司穡 또는 穡夫라고도 한다. 《周禮》 〈地官 載師〉 鄭玄의 주에 “6遂의 남은 땅을 천자가 대부로 하여금 다스리게 한다.[六遂餘地 天子使大夫治之]”라는 내용이 보이는데, 明나라 馮復京에 따르면 농사철에 특별히 대부에게 명하여 농사를 주관하게 하는데 《주례》에는 田畯이라는 正職이 없기 때문에 곧바로 전준을 大夫라고 부른 것이다. 《六家詩名物疏 卷29 國風豳1 七月篇上 田畯》
역주10 : 사고본에는 ‘始’로 되어 있다.
역주11 : 대전본에는 ‘’으로 되어 있으나, 宋 太祖 趙匡胤을 피휘한 것이다.
역주12 : 대전본에는 ‘’으로 되어 있으나, 宋 太祖 趙匡胤을 피휘한 것이다.
역주13 : 대전본에는 ‘’으로 되어 있으나, 宋 太祖 趙匡胤을 피휘한 것이다.
역주14 : 사고본에는 ‘牆’으로 되어 있다.
역주15 : 사고본에는 ‘群’으로 되어 있다.
역주16 曲薄 : 蠶箔, 蠶薄, 蠶曲이라고도 한다. 일종의 누에를 기르는 광주리로, 대나무나 갈대로 짠다.
역주17 : 대전본에는 ‘徛(기)’로 되어 있다.
역주18 緝麻之名 : 삼을 베고[刈麻], 삼을 빨고[漚麻], 삼을 방적하는 것[緝麻] 등의 일을 통틀어 麻事라고 하는데, 이 가운데 ‘績’은 孔穎達의 소에 따르면 ‘緝麻’를 가리킨다. 《毛詩注疏 豳風 七月 孔穎達疏》
역주19 : 사고본에는 ‘𤣥’으로 되어 있는데, 淸 聖祖 玄燁을 피휘한 것이다. ‘玄’은 붉은색 염료에 세 번 물을 들인 뒤 다시 검은색 염료에 세 번 물을 들인 것으로, 붉은색이 은은히 비치는 검은색이다. 보통 硃砂와 赤粟으로 염료를 만들어 붉은색을 물들이는데, 한 번 들이면 縓(전), 두 번 들이면 赬(정), 세 번 들이면 纁, 네 번 들이면 赤이라고 한다. 纁을 더 이상 붉은색 염료에 넣지 않고 개흙[湼]으로 만든 黑色 염료에 넣으면 紺(감), 紺을 다시 흑색 염료에 넣으면 緅(추), 緅를 흑색 염료에 넣으면 玄, 玄을 흑색 염료에 넣으면 緇(치)가 된다. 《名義考 卷11 物部 玄纁》
역주20 : 사고본에는 ‘𤣥’으로 되어 있는데, 淸 聖祖 玄燁을 피휘한 것이다.
역주21 : 사고본에는 ‘損’으로 되어 있다.
역주22 蝗類 : 사고본에는 ‘煌属’으로 되어 있다.
역주23 : 사고본에는 ‘隙’으로 되어 있다.
역주24 : 대전본에는 ‘’으로 되어 있다.
역주25 : 사고본에는 ‘農’으로 되어 있다.
역주26 : 사고본에는 ‘布’로 되어 있다.
역주27 獻羔祭韭 : ‘獻羔’는 제례의 하나로, 새끼 양을 바쳐 겨울을 주관하는 신인 司寒에게 제사 지내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禮記》 〈月令〉에 “중춘의 달에……천자가 이에 새끼 양을 바쳐서 얼음을 꺼내 먼저 침묘에 올린다.[仲春之月……天子乃鮮羔開氷 先薦寢廟]”라는 내용이 보인다.
역주28 朋酒斯饗 : 이와 관련하여 《儀禮》 〈鄕飮酒禮〉에 “두 개의 술 단지를 東房과 室戶 사이에 진설한다.[尊兩壺于房戶間]”라는 내용이 보인다.
역주29 祝其君也 : 사고본에는 없다.

대학연의(5)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