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5)

대학연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28-6-나(按)
按 帝王 居天之位하시니 其所職 無非天之事者
君臣․父子․夫婦․長幼․朋友之典 其别 有五 天之所敘也 待我而厚하고 君臣․父子․夫婦․長幼․朋友之禮 其别 亦有五하니 天之所秩也 自我而不失其常하나니 其可不敬乎
寅與恭 皆敬也 君臣 一心하여 恪奉天職 是謂之和衷이라 有德者 天之所命也 五服之章則在我 有罪者 天之所討也 五刑之用則在我하니 其可不敬乎
大而命討之政 小而命討之事 勉之又勉 是亦敬也
天之聰明 在民하고 天之明威 在民하니 民心所在 即天心也 天人一理 通達無間하니 有民社者 其可不敬乎
皐陶之告舜者 如此하니 隆古君臣之間 講論政治 無一事不本於天하며 無一事不主於敬하니 真後王所當法與신저


原注
[신안臣按] 제왕은 하늘의 자리에 거하니 그 맡은 직분이 하늘의 일 아닌 것이 없습니다.
五服五章圖五服五章圖
군신君臣부자父子부부夫婦장유長幼붕우朋友의 규범[]은 그 구분이 다섯이니 하늘이 차례로 편 것이지만 나를 기다려 두터워지며, 군신과 부자와 부부와 장유와 붕우의 는 그 구분이 또한 다섯이니 하늘이 등급 지은 것이지만 나로부터 시작하여 그 떳떳함을 잃지 않으니, 공경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은 모두 공경한다는 뜻이니, 군주와 신하가 마음을 하나로 하여 하늘의 직분을 삼가 받드는 것을 일러 ‘마음을 합한다[화충和衷]’고 합니다. 덕이 있는 이는 하늘이 명하는 바이지만 다섯 가지 복식의 표창은 나에게 달려 있고, 죄가 있는 자는 하늘이 토벌하는 바이지만 다섯 가지 형벌의 사용은 나에게 달려 있으니, 공경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크게는 명하고 토벌하는 정사와 작게는 명하고 토벌하는 일을, 힘쓰고 또 힘쓰는 것이 이 또한 공경하는 것입니다.
하늘의 듣고 보는 것이 백성들에게 달려 있고, 하늘의 드러내주고 두렵게 하는 것이 백성들에게 달려 있으니, 백성들의 마음이 있는 곳이 바로 하늘의 마음입니다. 하늘과 사람이 한 가지 이치여서 서로 통하여 간격이 없으니, 백성과 사직社稷을 소유한 자는 공경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이것은 고요皐陶임금에게 고해준 것이 이와 같으니, 먼 옛날 군주와 신하 사이에 정치를 강론한 것이 어느 한 가지 일도 하늘에 근본을 두지 않은 것이 없고 어느 한 가지 일도 공경을 주장하지 않은 것이 없었던 것입니다. 참으로 후세의 왕들이 본받아야 할 것입니다.


역주
역주1 하고 : 509본에는 ‘하니’로 되어 있다.

대학연의(5)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