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5)

대학연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召誥注+① 召誥:成王命召公相宅, 因作誥. 嗚呼 皇天上帝 改厥元子․玆大殷之命注+② 改厥……之命:紂, 殷王長子, 元, 長也.하시니 惟王受命 無疆惟休注+③ 無疆惟休:休, 美也.시나 亦無疆惟恤注+④ 亦無疆惟恤:恤, 憂也.이시니 嗚呼曷其 奈何弗敬이리오
又曰 天亦哀于四方民이라 其眷命用懋하시니 王其疾敬德注+⑤ 王其疾敬德:疾, 速也.하소서
又曰 王敬作所시니 不可不敬德注+① 王敬……敬德:所, 居處也.이니이다 不可不監于有夏注+② 不可不監于有夏:監, 視也. 亦不可不監于有殷이니
我不敢知하노니 曰 有夏 服天命하여 惟有歷年 我不敢知하노니 曰 不其延 惟不敬厥德하여 乃早墜厥命하니이다
我不敢知하노니 曰 有殷 受天命하여 惟有歷年 我不敢知하노니 曰不其延 惟不敬厥德하여 乃早墜厥命하니이다
又曰 嗚呼 若生子 罔不在厥初生하여 自貽哲命注+① 自貽哲命:哲, 智也.하니
今天 其命哲 命吉凶 命歷年 知今初服이니이다 宅新邑하사 肆惟王 其疾敬德하소서 王其德之用 祈天永命注+② 祈天永命:祈, 求也. 永, 長也.이니이다
又曰 上下 勤恤하여 其曰호대 我受天命 丕若有夏歷年하며 式勿替有殷歷年注+③ 式勿替有殷歷年:替, 廢也.이라하나니 欲王 하노이다


28-10-가
서경書經》 〈소고召誥〉에注+成王이 召公에게 도읍 터를 살펴보게 하자, 이를 계기로 소공이 성왕에게 고하는 글을 지은 것이다.
召公召公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아! 황천상제皇天上帝가 그 원자元子와 이 대국 나라의 천명天命을 바꾸었으니,注+紂는 殷나라 왕의 장자이니, ‘元’은 ‘맏이’라는 뜻이다. 왕께서 천명을 받으신 것이 가없는 아름다움이나注+‘休’는 ‘아름답다’라는 뜻이다. 또한 끝없는 근심입니다.注+‘恤’은 ‘근심하다’라는 뜻이다. 아! 어찌하여야 하겠습니까. 어찌 공경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하늘이 또한 사방의 백성을 불쌍히 여기시기에 돌아보아 명하심이 덕을 힘쓰는 자에게 하시니, 왕께서는 속히 덕을 공경하소서!”注+‘疾’은 ‘빠르다’라는 뜻이다.
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왕께서는 공경으로 거처를 삼아야 할 것이니, 덕을 공경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注+‘所’는 ‘거처’라는 뜻이다. 저는 나라를 보지 않을 수 없으며,注+‘監’은 ‘보다’라는 뜻이다. 또한 나라를 보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하나라가 천명天命을 따라서 역년歷年을 두었는지 저는 감히 알지 못하며, 길게 두지 못하였는지 저는 감히 알지 못합니다. 〈제가 아는 것은〉 그 덕을 공경하지 아니하여 일찍 그 천명天命을 실추하였다는 것입니다.
은나라가 천명을 받아 역년을 두었는지 저는 감히 알지 못하며, 길게 두지 못하였는지 저는 감히 알지 못합니다. 〈제가 아는 것은〉 그 덕을 공경하지 아니하여 일찍 그 을 실추하였다는 것입니다.”
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아! 자식을 낳는 것은 그 처음 낳음에 달려 있어서 스스로 밝은 을 받지注+‘哲’은 ‘도리에 밝다’라는 뜻이다. 않음이 없음과 같습니다.
이제 하늘이 왕께 그 밝음을 명하실까? 길함과 흉함을 명하실까? 역년歷年을 명하실까? 이것을 아는 것은 이제 우리가 처음 정사함에 달려 있습니다. 새 도읍에 머무시어 이에 왕께서는 속히 덕을 공경하소서. 왕께서 덕을 쓰는 것이 하늘에게 영원한 명을 비는 것입니다.”注+‘祈’는 ‘구하다’라는 뜻이다. ‘永’은 ‘길다’라는 뜻이다.
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상하上下가 부지런히 근심하여 기약하며 말하기를 ‘우리가 천명을 받는 것은 크게 나라의 역년歷年과 같아야 할 것이며, 나라의 역년도 폐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라고注+‘替’는 ‘폐하다’라는 뜻이다. 합니다. 왕께서는 백성의 마음으로 하늘의 영원한 명을 받으시기를 바랍니다.”


역주
역주1 28-10-가 : 《書經》 〈周書 召誥〉에 보인다. ‘召誥’는 召公이 周 成王에게 올린 告誡하는 글이다.
역주2 : 사고본에는 ‘國’으로 되어 있다.
역주3 : 대전본에는 ‘乃’로 되어 있다.
역주4 以小民受天永命 : 蔡沈의 주석에 인용된 蘇軾의 말에 따르면 민심으로 天命을 삼아 하늘의 영원한 명을 받으라는 말이다. 《書集傳 周書 召誥 蔡沈注》

대학연의(5)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