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3)

정관정요집론(3)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夫君能盡禮하고 臣得竭忠 必在於內外無私하고 上下相信이니 上不信이면 則無以使下하고 下不信이면 則無以事上이니 信之爲道 大矣니이다
管仲 曰 此極非其善者 然亦無害於霸也니이다
桓公 曰 如何而害霸乎
管仲 曰 不能知人 害霸也 知而不能任 害霸也 任而不能信 害霸也 旣信而又使小人參之 害霸也라하니이다
中行穆伯注+⑫ 晉中行(항)穆伯:中行氏 穆伯, 晉卿也. 攻鼓注+⑬ 攻鼓: 城名.하여 經年而弗能下러니 餽間倫注+⑭ 餽間倫:間, 去聲, 後同. 曰 鼓之嗇夫 間倫 知之하니 請無疲士大夫하고 而鼓 可得이라호대 穆伯 不應이어늘
左右曰 不折一戟注+⑮ 不折一戟:折, 音舌.하고 不傷一卒하여 而鼓 可得이어늘 君奚爲不取아하니
穆伯 曰 間倫之爲人也 佞而不仁하니 若使間倫下之하면 吾可以不賞之乎
若賞之하면 是賞佞人也 佞人 得志하면 是使晉國之士 捨仁而爲佞이니 雖得鼓 將何用之리오하니이다


임금이 예를 다할 수 있고 신하가 충성을 다할 수 있는 것은 반드시 안과 밖에 사심이 없고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서로 믿는 데에 달려 있으니, 윗사람이 믿음을 갖고 있지 않으면 아랫사람을 부릴 수 없고 아랫사람이 믿음을 갖고 있지 않으면 윗사람을 섬길 수가 없으니 믿음의 도리가 큰 것입니다.
과거에 제 환공齊 桓公관중管仲에게 묻기를, ‘내가 술이 술잔에서 썩고 고기가 도마 위에서 썩게 하고자 하는데 패업霸業을 이루는 데 방해가 되지 않겠소?’라고 하자,
관중管仲이 말하기를, ‘이것이 아주 고귀한 행실은 아닙니다만 역시 패업을 이루는 데에는 방해가 되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환공이 말하기를, ‘어때야 패업을 이루는 데 방해가 되오?’라고 하자,
관중이 말하기를, ‘사람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이 패업을 이루는 데 방해가 되고, 알아보고도 임용하지 않는 것이 패업을 이루는 데 방해가 되고, 임용하고도 신임하지 않는 것이 패업을 이루는 데 방해가 되고, 신임하고서도 다시 소인들을 정사政事에 참여시키는 것이 패업을 이루는 데 방해가 되는 것입니다.’라고 했습니다.
나라 중항목백中行穆伯注+중항씨 목백中行氏 穆伯나라 이다. 고성鼓城을 공격하여注+는〉 성의 이름이다. 한 해가 지나도록 함락시키지 못했는데, 궤간륜餽間倫注+(간격)은 거성去聲이다. 뒤에도 같다. 이르기를, ‘고성의 색부嗇夫를 제가 잘 아니 사대부士大夫들을 힘들게 하지 않고서도 고성을 차지할 수 있습니다.’라고 했으나, 중항목백이 응하지 않았다.
그러자 주변 사람들이 이르기를, ‘창 한 자루 부러뜨리지 않고注+(부러지다)은 이다. 병사 하나 상하게 하지 않고서도 고성을 얻을 수 있는데, 군께서는 왜 이 방법을 취하지 않으십니까?’라고 하니,
중항목백이 말하기를, ‘궤간륜이라는 사람은 아첨하고 어질지 못한데 궤간륜이 성을 함락시키면 내가 상을 주지 않을 수 있겠소.
그에게 상을 주게 되면 아첨하는 사람에게 상을 주는 것이고 아첨하는 사람이 뜻을 얻게 되면 나라 들로 하여금 을 버리고 아첨을 일삼게 하는 것이니, 고성을 얻는다고 하더라도 무엇에 쓰겠소.’라고 했습니다.


역주
역주1 齊桓公問於管仲曰……旣信而又使小人參之 害霸也 : 《說苑》 〈尊賢〉에 보인다.
역주2 中行穆伯攻鼓……將何用之 : 《淮南子》 〈人間訓〉에 보인다.

정관정요집론(3)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