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3)

정관정요집론(3)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貞觀九年 鹽澤道行軍總管岷州注+① 行軍總管岷州:岷州, 今爲西和州, 隷陝西.都督高甑生注+② 都督高甑生:史無傳. 坐違李靖節度하고 又誣告靖謀逆이나 減死徙邊이어늘 時有上言者曰 甑生功臣이니 請寬其過하소서
太宗曰 雖是舊勞 誠不可忘이나 然理國守法 事須畫一이니 今若赦之하면 使開僥倖之路
且國家할새 元從及征戰有功者甚衆注+③ 元從及征戰有功者甚衆:從, 去聲.하니 若甑生 獲免하면 誰不覬覦리오 有功之人 皆須犯法하리라 我所以必不赦者 正爲此也로다
【集論】愚按 諸葛武侯之治蜀也 開誠心하고 布公道하여 盡忠益時者 雖讐必賞하고 犯法怠慢者 雖親必罰하여
堂堂하니 此後世之所不能也
太宗 非所謂雖讐必賞歟 至若高甑生以秦府舊臣身從百戰으로도 一旦犯法 黜之不疑하니 非所謂雖親必罰歟
嗚呼 太宗之布公道 其庶幾武侯之治者乎인저


정관貞觀 9년(635)에 염택도행군총관鹽澤道行軍總管 민주岷州注+민주岷州는 지금의 서화주西和州이며 섬서성陝西省에 속한다.도독都督 고증생高甑生注+고증생高甑生은〉 사서史書이 없다. 이정李靖의 지휘를 위배한 죄에 걸렸고, 또 이정이 반역을 도모했다고 무고했으나, 사형을 감면받아서 변방으로 내보내졌다. 당시 어떤 사람이 상주하기를, “고증생은 옛 진부秦府의 공신이니 그 잘못을 관대하게 용서하소서.”라고 하자,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비록 번저藩邸 시절의 옛 공로를 참으로 잊을 수 없긴 하지만 국가를 다스리고 법을 수호함에 있어선 의당 한결같은 잣대를 유지해야 하니, 지금 만일 용서해준다면 그것은 요행을 바라는 길을 열어주게 될 것이오.
그리고 국가가 태원太原에서 의병을 일으킬 때 처음부터 따랐던 이들과 전쟁에서 공을 세운 이들이 매우 많은데注+(수행원)은 거성去聲이다. 만일 고증생이 면죄를 받는다면 누군들 요행을 기대하지 않겠소. 공을 세운 이들이 모두 법을 범하려 들 것이오. 내가 결코 사면하지 않는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요.”
내가 살펴보건대, 제갈무후諸葛武侯나라를 다스릴 때 진실한 마음을 열고 공평한 도리를 펼쳐 충성을 다해 당시에 보탬을 주는 자에게는 비록 원수라도 반드시 상을 내렸고 법을 범하거나 태만한 자에게는 비록 친하다고 해도 반드시 벌을 내려,
삼대시대三代時代현신賢臣들에게 당당하였으니, 이는 후세 사람들이 능히 할 수 없는 점이다.
태종太宗왕규王珪위징魏徵을 정승으로 삼고 설만철薛萬徹을 장수로 삼은 것은 이른바 비록 원수라도 반드시 상을 준 예가 아니겠는가. 고증생高甑生진부秦府의 옛 신하이고 수많은 전쟁에 참여했음에도 하루아침에 법을 범하자 의심 없이 내쳤으니 이른바 친하다고 해도 반드시 벌을 준 경우가 아니겠는가.
아, 태종이 공평한 도리를 펼친 것은 제갈무후의 다스림에 거의 가깝다 할 수 있을 것이다.


역주
역주1 秦府 : 太宗이 秦王이었을 때 그의 관청 이름이다.
역주2 藩邸 : 태자가 천자에 오르기 전에 거처하던 집이다.
역주3 建義太原 : 唐나라는 隋나라에 항거하여 太原에서 처음으로 의병을 일으켰다.
역주4 三代之佐 : 三代는 夏나라 禹王, 商나라 湯王, 周나라 文王‧武王으로, 三代之佐는 이들을 보좌한 賢臣을 가리킨다.
역주5 以王魏爲相 以薛萬徹爲將 : 王珪는 626년 玄武門 사건 때 태자 李建成의 屬吏였으므로 李世民에 의해 유배되었으나, 후에 太宗(이세민)의 신임을 받아 재상이 되고, 또 魏王 李泰의 스승이 되었다. 魏徵은 태자 이건성에게 洗馬로 발탁되어 이세민의 공적이 높아지는 것을 보고 조기에 제거할 것을 권고했으나 이건성이 듣지 않다가 후에 이세민에게 패하였다. 이세민이 황위에 오른 뒤에 위징을 諫議大夫로 삼았다. 薛萬徹은 이건성의 측근이었는데 玄武門의 변 때 이세민 군대에게 이건성이 주륙되었으나 병력을 인솔하여 秦府 군인들과 전투하였다. 진부 군인 쪽에서 이건성의 수급을 보여주자 설만철은 수십 기병과 함께 終南山으로 도망했는데 태종이 누차 타일러 부르자 설만철은 무장을 해제하고 왔고 태종은 섬긴 사람에게 충성했다고 하여 죄를 주지 않고 기용하였다. 《新唐書 권98 王珪列傳‧魏徵列傳》, 《舊唐書 권69 薛萬徹列傳》

정관정요집론(3)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