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1)

근사록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90. 將修己인댄 必先厚重以自持 厚重知學이라야 德乃進而不固矣리라
忠信進德 惟尙友而急賢이요 欲勝己者親인댄 無如改過之不吝注+論語學而篇曰 君子不重則不威 學則不固니라 主忠信하며 無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라하니라이니라
〈文集下同〉
說見論語
君子修己之道 必以厚重爲本이니 苟輕浮則無受道之基
然徒重厚而不知學이면 則德亦固滯而不進矣리라
然進德之道 必以忠信爲主 而求忠信之輔者 莫急於交勝己之賢이라
但或吝於改過 則無所施其責善之道하야 賢者亦不我親矣리라
하니 此自是一義
有益學者故 取焉하니 此錄經說 有與本文異者放此하니라


90. 〈횡거선생橫渠先生이 말씀하였다.〉
“장차 자기 몸을 닦으려고 한다면 반드시 먼저 후중厚重하여 스스로 지켜야 하니, 후중厚重하면서 배울 줄을 알아야 이 마침내 진전되어 고체固滯하지 않을 것이다.
충신忠信하여 을 진전시킴은 오직 벗을 높이고 어진이와 사귐을 급히 여기는 것이요, 자기보다 나은 자가 친해주기를 바란다면 허물을 고치는 데에 인색하지 않는 것보다 더한 것이 없다.” 注+논어論語》〈학이편學而篇〉에 “군자가 후중厚重하지 않으면 위엄이 없으니 학문도 견고하지 못하다. 충신忠信을 주장하며 자신만 못한 자를 벗하려 하지 말고, 허물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 하였다.
〈《橫渠先生文集》에 보인다. 이하도 같다.〉
내용이 《논어論語》에 보인다.
군자君子수기修己하는 는 반드시 후중厚重함으로 근본根本을 삼으니, 만일 경박하고 들뜨면 를 받아들일 기반(터전)이 없는 것이다.
그러나 한갓 후중厚重하기만 하고 배울 줄을 알지 못하면 이 또한 고체固滯하여 진전하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진덕進德하는 는 반드시 충신忠信을 주장으로 삼으며, 충신忠信의 도움을 구하는 것은 자기보다 나은 현자賢者를 사귀는 것보다 더 급한 것이 없다.
다만 혹시라도 허물을 고치는데 인색하면 책선責善도리道理를 베풀 곳이 없어서 현자賢者가 또한 나와 친해주지 않을 것이다.
○ ‘학즉불고學則不固’의 해설은 본문本文과 다르니, 이는 별도로 한 가지 뜻이다.
배우는 자들에게 유익하므로 취하였으니, 여기에 기록한 경설經說 중에 본문本文과 다른 것은 이와 같다.


역주
역주1 學則不固之說 與本文異 : ‘學則不固’에 대하여 朱子는 윗글을 이어받아 ‘학문이 견고하지 못하다’로 해석하였으나 張橫渠는 “배우면(학문을 하면) 固滯하지 않는다”로 풀이하여, 固를 朱子는 좋게 본 반면, 橫渠는 나쁘게 보았으므로 本文과 다르다고 말씀한 것이다.

근사록집해(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