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1)

근사록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06. 旣學而先有以功業爲意者 於學 便相害 旣有意 必穿鑿注+退溪曰 穿墻鑿壁이니 如太極賦 穴墻垣爲戶牖云爾創意하야 作起事端也
德未成而先以功業爲事 代大匠斲이니 希不傷手注+欄外書曰 功業 專指事功이요 非兼指文章이니 此條 似道荊公一輩人이라 ○ 老子經第七十四章 是謂代大匠斲者 希有不傷手矣라하니라注+按 韓退之祭柳子厚文 用此意曰 不善爲斲하야 血指汗顔이라 巧匠傍觀하고 縮手袖間이라하니라리라
功業 立言立事 皆是也
爲學而先志於功業이면 則穿鑿創造하야 必害于道矣리라


106. 〈횡거선생橫渠先生이 말씀하였다.〉
“이미 학문을 하면서 먼저 공업功業으로 뜻을 삼는 것은 학문學問에 있어 곧 서로 해로우니, 이미 공업功業에 뜻이 있으면 반드시 천착穿鑿하고注+퇴계退溪가 말씀하였다. “천착穿鑿은 담장을 뚫고 벽을 뚫는 것이니, 〈태극부太極賦〉에 ‘담장에 구멍을 뚫어 창문을 냈다’는 것과 같은 것이다.”창의創意하여 사단事端을 일으키게 된다.
이 이루어지기 전에 먼저 공업功業을 일삼으면 이는 큰 목수를 대신하여 나무를 깎는 격이어서 손을 다치지 않을 자가 드물 것이다.”注+난외서欄外書》에 말하였다. “공업功業은 오로지 사공事功을 가리킨 것이요 문장文章을 겸하여 가리킨 것이 아니니, 이 조항은 형공荊公(王安石) 일파一派의 사람들을 말한 것인 듯하다.”
○ 《노자도덕경老子道德經74章에 “이것이 바로 큰 목수를 대신하여 나무를 깍는다는 것이니, 손을 다치지 않을 자가 드물 것이다.” 하였다.
注+살펴보건대 한퇴지韓退之(韓愈)가 유자후柳子厚(柳宗元)를 제사한 글에 이 뜻을 사용하여 말하기를 “나무를 잘 깎지 못하여 손가락을 다치고는 부끄러워 땀을 흘린다. 훌륭한 목수는 옆에서 팔짱을 끼고 보고만 있다.” 하였다.
공업功業입언立言(훌륭한 글을 씀)과 사공事功을 세움이 모두 이것이다.
학문을 하면서 먼저 공업功業에 뜻을 두면 천착穿鑿하고 창조創造하여 반드시 를 해치게 된다.



근사록집해(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