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1)

근사록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9. 楊子 拔一毛라도 不爲하고 墨子 又摩頂放踵이라도 爲之하니 此皆是不得中이라
至如子莫執中 欲執此二者之中하니 不知怎麽執得이리오
識得則事事物物上 皆天然有箇中 在那上이라
不待人安排也 安排著이면 則不中矣注+燃犀解曰 摩頂放踵 自頂至足盡摩動이니 猶俗云粉骨碎身之意 爲之不復顧有己也니라注+列子楊朱篇 禽子問楊朱曰 去子體之一毛하야 以濟一世인댄 汝爲之乎 楊朱曰 世固非一毛之所濟니라 禽子曰 假濟 爲之乎 楊子不聽하니라 ○ 新安陳氏曰 安排者 以私意하야 而不順其自然也니라 ○ 退溪錄云 安是安頓之安이요 排布也 安頓排布 皆用意措置之謂니라 ○ 沙溪曰 着 猶言爲也니라리라
楊朱 爲我故 以一毫利天下而不爲하고 墨翟 兼愛故 雖摩頂至踵이라도 可以利天下 而亦爲之하니 楊墨 各守一偏하니 固皆失其中이라
子莫 魯之賢人也 懲二者之偏하야 欲於二者之間而取中하니라
夫中者 隨時而立注+按 立字未穩이니라하니 不能隨時以權其宜하야 而膠於一定之中注+孟子朱註 執中而無權이면 則膠於一定之中하야 而不知變하니 是亦執一而已니라이면 則所執者亦偏矣
故君子貴於格物以致其知 物格而知至하면 則有以識夫時中之理하야 而於事事物物 各有天然之中이라
不待著意安排也 若事安排 則或雜以意見之私하야 而非天然之中矣리라


이천선생伊川先生이 말씀하였다.〉
양자楊子는 터럭 하나를 뽑더라도 하지 않았고 묵자墨子는 또 정수리를 갈아 발꿈치에 이르더라도 하였으니, 이는 모두 을 얻지 못한 것이다.
자막子莫집중執中에 이르러서는 이 두 가지의 중간을 잡고자 하였으니, 어떻게 잡을 수 있는지 모르겠다.
이것을 안다면 사사물물事事物物 에 모두 천연天然이 이 위에 있는 것이다.
사람의 안배安排함을 기다리지 않으니, 안배安排하면 이 아닐 것이다.”注+사서연서해四書燃犀解》에 말하였다. “마정방종摩頂放踵은 머리끝부터 발꿈치까지 다 갈리는 것이니, 세속世俗분골쇄신粉骨碎身이라는 뜻과 같은 바, 그를 위하여 다시는 자신이 있음을 돌아보지 않는 것이다.” 注+열자列子》 〈양주편楊朱篇〉에 금자禽子양주楊朱에게 “자네 몸의 털 하나를 뽑아서 한 세상을 구제할 수 있다면 그대는 하겠는가?” 하고 묻자, 양주楊朱가 말하기를 “세상은 진실로 털 하나로 구제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하였다. 금자禽子가 “가령 구제할 수 있다면 하겠는가?” 하자, 양자楊子가 따르지 않았다.
신안진씨新安陳氏가 말하였다. “안배安排는 사사로운 뜻으로 헤아려서 자연自然에 순하지 않은 것이다.”
퇴계退溪의 기록에 이르기를 “안돈安頓(편안히 놓음)의 이요 배포排布이니, 안돈安頓하고 배포排布함은 모두 사사로운 뜻을 써서 조치함을 이른다.” 하였다.
사계沙溪가 말씀하였다. “와 같다.”
양주楊朱는 자신을 위하였으므로 터럭 하나로 천하天下를 이롭게 하더라도 하지 않았고, 묵적墨翟겸애兼愛하였으므로 정수리를 갈아 발꿈치에 이르더라도 천하天下에 이로우면 또한 하였으니, 양주楊朱묵적墨翟은 각각 한 쪽을 지켜 진실로 모두 을 잃었다.
자막子莫나라의 현인賢人이니, 두 가지의 편벽됨을 징계하여 두 가지 사이에서 을 취하고자 하였다.
은 때에 따라 확립되니,注+살펴보건대 입자立字는 온당치 못하다. 때에 따라 마땅함을 저울질하지 못하여 일정한 에 교착되면注+맹자孟子》 〈진심盡心 〉의 주자주朱子註에 “중간을 잡고 저울질함〔權道〕이 없으면 일정한 에 교착되어 변통할 줄을 알지 못하니, 이 또한 한쪽을 잡는 것일 뿐이다.” 하였다. 잡은 것이 또한 편벽되다.
그러므로 군자君子는 물건의 이치를 궁구하여 그 지식을 지극히 함을 소중히 여기는 것이니, 사물의 이치가 궁구되어 지식이 지극해지면 시중時中의 이치를 알아서 사사물물事事物物에 각각 천연天然이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뜻을 두어 안배하기를 기다리지 않으니, 만약 안배함을 일삼는다면 혹 사사로운 의견이 뒤섞이게 되어서 천연天然이 아닐 것이다.


역주
역주1 揣度 : 췌탁
동영상 재생
1 29. 양자는 발일모 …(1) 1154
동영상 재생
2 29. 양자는 발일모 …(2) 352

근사록집해(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