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1)

근사록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 伊川先生曰
喜怒哀樂之未發 謂之中이라하니 中也者 言寂然不動者也 故曰天下之大本이요
發而皆中節 謂之和라하니 和也者 言感而遂通者也 故曰天下之達道注+欄外書曰 寂然不動 卽太極也 又曰 感通則陰陽이니 幾善惡也注+感而遂通天下之故 繫辭라하니라
〈文集 下同〉
說見中庸이라
朱子曰
喜怒哀樂 情也 其未發 則性也 無所偏倚故 謂之中이요 發皆中節 情之正也 無所乖戾故 謂之和
大本者 天命之性이니 天下之理皆由此出하니 道之體也 達道者 循性之謂 天下古今之所共由 道之用也注+欄外書曰 注所引 朱子中庸章句也 章圖王氏云 中節二字 代了無過不及四字니라
[張伯行 註]程子引易大傳之文하야 以證明中庸未發已發之義
言喜怒哀樂 皆性之動而爲情者인대 而未接於物하야 在未發之時 乃性體之本然也
以其渾淪無所偏倚라하야 謂之中하니 卽易所云寂然不動者 雖曰不動이나 萬事萬物 皆從此出하니 正是源頭處
爲天下之大本이라
及夫喜怒哀樂之發하야는 道理流露而適如其本然之節이면 則情之自然也 以其無過不及하야 無所拂戾일새 謂之和
卽易所云感而遂通者 隨其所感하야 有箇恰好準則하야 不待安排하고 而實天下古今所共由
爲天下之達道
要而言之하면 中者 和之體 和者 中之用이며 卽所謂體 以其靜者言也 性也 卽所謂用이니 以其動者言也 情也
性情 非兩事 寂感 非兩理 易與中庸相發明而程子示人之意切矣로다


이천선생伊川先生이 말씀하였다.
“‘미발未發한 것을 이라 이른다.’ 하였으니, 은 고요하여 동하지 않음을 말하므로 천하의 대본大本이라 하였고,
‘발하여 모두 절도에 맞는 것을 라 한다.’ 하였으니, 는 감동하여 마침내 통함을 이르므로 천하의 달도達道라 한 것이다.”注+난외서欄外書》에 말하였다. “고요하여 하지 않는 것은 바로 태극太極이다.” 또 말하였다. “감동하여 통하면 이니, 이 나누어지는 것이다.” 注+감동하여 마침내 천하天下(원인)를 통한다는 것은 〈계사전繫辭傳〉에 보인다.
〈《이천선생문집伊川先生文集》에 보인다. 이하도 같다.〉
해설이 《중용中庸》에 보인다.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이고, 이것이 미발未發함은 곧 이니 편벽되고 치우침이 없으므로 이라 이르며, 발하여 모두 절도에 맞음은 올바른 이니 어그러진 바가 없으므로 라 이른다.
대본大本은 하늘이 명해준 으로 천하의 이치가 모두 이로 말미암아 나오니 이고, 달도達道을 따름을 이르는 바, 천하天下고금古今에 함께 행하는 것이니 이다.”注+난외서欄外書》에 말하였다. “에 인용한 것은 주자朱子의 《중용장구中庸章句》이다.” 장도왕씨章圖王氏가 말하였다. “중절中節무과불급無過不及를 대신한 것이다.”
정자程子가 《주역周易》 〈대전大傳(繫辭傳)〉의 글을 인용하여 《중용中庸》의 미발未發, 이발已發의 뜻을 증명한 것이다.
은 모두 하여 이 된 것인데, 아직 사물을 접하지 아니하여 미발未發의 때에 있으면 이것이 바로 성체性體본연本然이다.
혼륜渾淪하여 치우치거나 기대는 바가 없다 하여 이라 이르니, 곧 《주역周易》에서 말한 ‘적연부동寂然不動’이라는 것인 바, 비록 하지 않으나 만사萬事만물萬物이 모두 이로부터 나오니, 바로 이것이 원두源頭(根本)인 자리이다.
그러므로 천하天下대본大本이라 한 것이다.
그리고 이 발함에 이르러서는 도리道理가 유행하여 드러나서 마침 본연本然절도節度와 같이 하면 의 자연함이니 불급不及이 없어서 어기는 바가 없다 하여 라 이르니,
곧 《주역周易》에서 말한 ‘감이수통感而遂通’이라는 것인 바, 그 감동하는 바에 따라 매우 좋은 준칙準則이 있어서 안배安排하기를 기다리지 않고 실로 천하天下고금古今에 함께 말미암는 바이다.
그러므로 천하天下달도達道라 한 것이다.
요약하여 말하면 이고 이며, 은 곧 이른바 라는 것이니 으로 말하였는 바 이고, 은 곧 이른바 이라는 것이니 으로 말하였는 바 이다.
이 두 가지 일이 아니고 이 두 가지 이치가 아니니, 《주역周易》과 《중용中庸》이 서로 발명하였는 바, 정자程子가 사람에게 보여준 뜻이 간절하다.


동영상 재생
1 3. 이천선생왈 희노…(1) 736
동영상 재생
2 3. 이천선생왈 희노…(2) 330

근사록집해(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