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1)

근사록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4. 古之學者爲己 欲得之於己也 今之學者爲人 欲見知於人也注+論語憲問篇 子曰 古之學者 爲己러니 今之學者 爲人이라하니라 ○ 程子曰 古之學者 爲己하야 其終至於成物이러니 今之學者 爲人하야 其終至於喪己니라 ○ 朱子曰 愚按 聖賢論學者用心得失之際 其說多矣 然未有如此言之切而要하니 於此 明辨而日省之하면 則庶乎其不昧於所從矣리라니라
說見論語
爲己者 如食之求飽하고 衣之求溫하야 溫飽在己 非爲人也
爲人者 但求在外之美觀하고 非關在我之實用이라
故學而爲己 則所得者皆實得이요 學而爲人이면 則雖或爲善이라도 亦非誠心커든 況乎志存務外 自爲欺誑하야 善日消而惡日長矣리라
朱子曰
爲學 且須分內外義利 便是生死路頭니라


14. 〈이천선생伊川先生이 말씀하였다.〉
“옛날에 배우는 자들이 자신을 위함은 자기 몸에 얻고자 해서이고, 지금에 배우는 자들이 남을 위함은 남에게 알아줌을 받고자 해서이다.” 注+논어論語》〈헌문편憲問篇〉에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였다. “옛날에 배우는 자들은 위기지학爲己之學을 하였는데, 지금에 배우는 자들은 위인지학爲人之學을 한다.”
정자程子가 말씀하였다. “옛날의 배우는 자들은 위기지학爲己之學을 하여 그 종말에는 남을 이루어 줌에 이르렀는데, 지금의 배우는 자들은 위인지학爲人之學을 하여 그 종말에는 자신을 잃음에 이른다.”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내가 살펴보건대 성현聖賢이 배우는 자들이 마음을 쓰는 득실得失의 즈음에 대해 논한 말씀이 많으나 이 말씀처럼 간절하면서도 요긴한 것이 있지 않으니, 이에 대해 밝게 분변하여 날로 살핀다면 따라야 할 바에 거의 어둡지 않을 것이다.”
내용이 《논어論語》에 보인다.
‘자신을 위한다’는 것은 밥을 먹을 적에 배부름을 구하고 옷을 입을 적에 따뜻함을 구하여, 따뜻하고 배부름이 자기에게 있고 남을 위하지 않는 것과 같은 것이다.
‘남을 위한다’는 것은 다만 밖에 있는 미관美觀만을 구하고 자신에게 있는 실용實用을 관계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배우면서 자신을 위하면 얻는 바가 모두 진실로 얻는 것이요, 배우면서 남을 위하면 비록 혹 을 하더라도 성심誠心이 아닌데, 하물며 뜻이 외면外面을 힘씀에 있다면 스스로 남을 속이게 되어 이 날로 사라지고 이 날로 자라나게 될 것이다.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학문을 함에는 우선 모름지기 , 를 구분하여야 하니, 곧 이것이 생사生死노두路頭(岐路)이다.”



근사록집해(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