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2)

근사록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7-1 所謂日月至焉注+論語雍也篇 子曰 回也 其心三月不違仁이요 其餘則日月至焉而已라하니라注+論語本註 或日一至焉하고 或月一至焉하야 能造其域而不能久也라하니라 ○ 朱子曰 三月不違底 是仁爲主 私欲爲客이며 日月至焉者 是私欲爲主 仁却爲客이라 然那客 亦是主人이나 只是以其多在外故 謂之客이니라 與久而不息者 所見規模注+按 所見與規模也 雖略相似 其意味氣象逈別하니
學者於仁 或日或月而至焉하니 方其至之時 其視夫三月不違者하면 所造所見 亦無以異로되 但其意味氣象 則淺深厚薄 逈然不同이니라
7-2 須心潛黙識하야 玩索久之 庶幾自得이라
學者不學聖人則已어니와 欲學之인댄 須熟玩味聖人之氣象이요 不可只於名上理會 如此 只是講論文字니라
潛玩聖賢意象이라야 庶養之厚而得之深이니 若徒考論文義則末矣니라


7-1 〈이천선생伊川先生이 말씀하였다.〉
“이른바 ‘일월지언日月至焉注+논어論語》〈옹야편雍也篇〉에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시기를 “안회顔回는 그 마음이 3개월 동안 을 떠나지 않고, 그 나머지 사람들은 하루에 한 번이나 한 달에 한 번 에 이를 뿐이다.” 하셨다.注+논어論語》의 본주本註에 “혹 하루에 한 번 이르고 혹 한 달에 한 번 이르러서 의 경지에 나아가기는 하나 오래하지 못하는 것이다.” 하였다.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3개월 동안 떠나지 않음은 이 주인이 되고 사욕私欲이 객이 되는 것이며, 하루에 한 번 이르고 한 달에 한 번 이르는 자는 사욕私欲이 주인이 되고 이 도리어 객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객도 주인이지만 다만 밖에 있을 때가 많기 때문에 객이라 이른 것이다.”
과 ‘오래되어도 쉬지 않는 자’라는 것은 본 바의 규모規模注+살펴보건대 소견과 규모이다.는 비록 대략 서로 비슷하나 의미意味기상氣象은 크게 다르다.
배우는 자가 에 있어 혹은 하루에 한 번, 혹은 한 달에 한 번 이르니, 이르렀을 때에 3개월 동안 을 떠나지 않는 자와 비교해보면 나아간 바와 보는 바가 또한 다를 것이 없으나, 다만 그 의미意味기상氣象이 크게 다르다.
7-2 모름지기 마음을 침잠沈潛하여 묵묵히 알아서 완색玩索하기를 오래하면 거의 스스로 터득할 수 있을 것이다.
배우는 자가 성인聖人을 배우지 않는다면 모르지만, 성인聖人을 배우려고 한다면 모름지기 성인聖人기상氣象을 익숙히 완미玩味해야 할 것이요, 단지 명목상名目上에만 이해해서는 안 되니, 이렇게 하면 다만 문자文字강론講論하는 것일 뿐이다.”
성현聖賢의미意味기상氣象잠심潛心하여 완미玩味하여야 거의 기름이 후하고 얻음이 깊을 것이니, 만약 한갓 글뜻만 상고하고 논한다면 지엽적인 것일 뿐이다.



근사록집해(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