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2)

근사록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2. 凡致思하야는 始復審思明辨이라야 乃爲善學也 若告子則到說不得處하야 遂已하고 更不復求注+孟子公孫丑上篇 告子曰 不得於言이어든 勿求於心云云이라하니라
〈橫渠 孟子說〉
思之하야 其說似窮然後 更加審思明辨之功이면 則其窮者通而所得者深也
若告子不得於言이어든 不復求之於心 固執偏見而不求至當이니 此孟子所深病也니라
○ 此以上 總論致知之方이요 以下 乃專論求之於書者하니 詳見卷首하니라


22. 〈횡거선생橫渠先生이 말씀하였다.〉
“무릇 생각을 지극히 할 적에 설명할 수 없는 곳에 이르거든 비로소 다시 자세히 생각하고 밝게 분별하여야 비로소 잘 배우는 것이 되니, 고자告子와 같은 사람은 설명할 수 없는 곳에 이르러서 마침내 그만두고 다시는 찾지 않았다.”注+맹자孟子》〈공손추公孫丑 상편上篇〉에 고자告子가 말하기를 “말에 이해되지 않거든 마음에 찾지 말라.” 하였다.
〈《횡거선생맹자설橫渠先生孟子說》에 보인다.〉
생각하여 그 말이 막힌 듯한 뒤에 다시 자세히 생각하고 밝게 분별하는 공부를 가하면 막혔던 것이 통하여 터득하는 것이 깊을 것이다.
고자告子가 ‘말에 이해되지 않거든 다시 마음에 찾지 않는 것’과 같은 것은 편견偏見고집固執하여 지극히 마땅함을 찾지 않은 것이니, 이는 맹자孟子가 깊이 병통으로 여기신 것이다.
○ 이 이상은 치지致知하는 방법을 총론總論하였고, 이 이하는 오로지 책에서 구함을 논하였으니, 의 첫머리에 자세히 보인다.


역주
역주1 說不得處 : 논리가 궁하여 설명(해명)할 수 없는 곳을 이른다.

근사록집해(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