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2)

근사록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9-1 伊川先生易傳序曰
變易也 隨時變易하야 以從道也
陰陽變易而生萬化
聖人象之而畫卦爻하야 使人體卦爻之變易而隨時以從道也
○ 或問 易卽道也注+范氏念德曰 易也, 時也, 道也 皆一也 自其流行不息而言之 則謂之易이요 自其推遷而無常而言之 則謂之時 而所以然之理 則謂之道니라 何以言變易以從道닛고 朱子曰
易之所以變易 固皆理之當然이어니와 聖人作易 因象明理하야 敎人以變易從道之方耳시니 如乾初則潛, 二則見之類 是也니라
49-2 其爲書也廣大悉備하야 將以順性命之理하며 通幽明之故하며 盡事物之情하야 而示開物成務之道也 聖人之憂患後世 可謂至矣로다
所以然也
開物者 使其知之明이요 成務者 使其行之就也
49-3 去古雖遠이나 遺經尙存이라
然而前儒 失意以傳言하고 後學 誦言而忘味하니 自秦而下 蓋無傳矣
予生千載之後하야 悼斯文之湮晦하야 將俾後人으로 沿流而求源注+按 葉註 謂因言求意라하니 愚則以爲因傳而求易也라하노라케하니 此傳所以作也
沿流而求源 謂因言以求其意也
49-4 易有聖人之道四焉하니 以言者 尙其辭하고 以動者 尙其變하고 以制器者 尙其象하고 以卜筮者 尙其占하니
吉凶消長之理 進退存亡之道 備於辭 推辭考卦하면 可以知變이니 象與占 在其中矣니라
尊用之也
辭者 聖人所繫之辭 變者 陰陽老少之變이라
象者 天地山澤雷風水火之類是也 占者 吉凶悔吝厲無咎之類是也
辭者 言之則也 故以言者尙其辭하고 變者 動之時也 故以動者尙其變하고 象事知器 故制器者尙其象하고 占事知來 故卜筮者尙其占이라
然辭變象占 雖各有尙이나 而吉凶消長進退存亡 易之大用 皆具於辭
變推辭而可知 象與占 皆不外乎辭也
49-5 君子居則觀其象而玩其辭하고 動則觀其變而玩其占注+按 易有聖人之道以下 皆歸重於辭也하나니 得於辭하고 不達其意者 有矣어니와 未有不得於辭而能通其意者也注+按 意 象與變占之意也니라
厭習也 不止於觀而已
蓋卦之象 可觀이나 而辭之理則無窮이라 故必玩習其辭 爻之變 可觀이나 而占之義則無窮이라 故必玩習其占이라
平居而觀象玩辭 則各盡乎爻之用이라
然象與變占 皆具于辭 故必由辭以通其意니라
49-6 至微者 理也 至著者 象也
體用一源이요 顯微無間이니 觀會通以行其典禮注+繫辭 朱子曰 會 謂理之所聚而不可遺處 謂理之可行而無所礙處 如庖丁解牛 會則其族而通則其虛也 則辭無所不備니라
朱子曰
自理而觀하면 則理爲體, 象爲用하야 而理中有象하니 是一源也 自象而觀하면 則象爲顯, 理爲微하야 而象中有理하니 是無間也니라
又曰
以理之所聚而言이요 以事之所宜而言이니 其實 一也니라
又曰
衆理會處 便有許多難易窒礙하니 必於其中 得其通處라야 乃可行耳니라
典禮者 典常之理
49-7 故善學者 求言 必自近하나니 易於近者 非知言者也
予所傳者 辭也 由辭以得意 則在乎人焉이니라
〈文集 下同〉
道無遠近之間이나 然觀書者 必由粗以達於精하고 卽顯以推其微하야 本民彛日用之常而極於窮神知化之妙 不可忽乎近而徒務乎高遠也니라


49-1 이천선생伊川先生이 지은 《역전易傳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변역變易함이니, 때에 따라 변역變易하여 를 따르는 것이다.
음양陰陽변역變易하여 만 가지 조화造化를 낸다.
성인聖人이 이것을 본떠 괘효卦爻를 그어서 사람들로 하여금 괘효卦爻변역變易을 체득하여 때에 따라 를 따르게 한 것이다.
○ 혹자가 “이 바로 이니注+범염덕范念德이 말하였다. “가 모두 같으니, 유행하여 그치지 않는 입장에서 말하면 이라 이르고, 옮기고 바뀌어서 무상無常한 입장에서 말하면 라 이르고, 그 소이연所以然의 이치는 라 이른다.” 어찌하여 변역變易하여 를 따른다고 말하였습니까?” 하고 묻자, 주자朱子는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변역變易하는 소이所以는 진실로 모두 당연한 이지만 성인聖人을 지은 것은 으로 인하여 를 밝혀서, 사람들에게 변역變易하여 를 따르는 방법을 가르치신 것이니, 예컨대 건괘乾卦초구효初九爻잠룡潛龍이요 구이효九二爻현룡見龍인 따위가 이것이다.”
49-2 이 《주역周易》 책은 광대廣大하여 모두 갖추어져 있어서 장차 성명性命의 이치를 순히 하고 의 원인(所以然)을 통달하고 사물事物실정實情을 다하여 개물성무開物成務(사물을 열어주고 일을 이룸)의 를 보여주었으니, 성인聖人후세後世를 우려함이 지극하다고 이를 만하다.
소이연所以然이다.
개물開物은 앎을 밝게 하는 것이요, 성무成務는 행실을 이루게 하는 것이다.
49-3 옛날과 거리가 비록 머나 남아있는 유경遺經이 아직 남아 있다.
그러나 선유先儒들은 말만 전하여 뜻을 잃고 후학後學들은 말만 암송하여 의미를 잃었으니, 나라 이래로는 전함이 없었다.
나는 천년 후에 태어나서 사문斯文이 어두워짐을 안타깝게 여겨, 장차 후인後人들로 하여금 흐름을 거슬러 근원根源을 찾게 하였으니,注+살펴보건대 연류이구원沿流而求源섭씨葉氏에 “말로 인하여 뜻을 찾는 것이다.” 하였는데, 나는 정자程子의 《역전易傳》으로 인하여 《주역周易》을 찾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것이 《역전易傳》을 짓게 된 이유이다.
흐름을 거슬러 근원根源을 찾는다는 것은 말로 인하여 그 뜻을 찾음을 이른다.
49-4 에는 성인聖人가 네 가지가 있으니, 말에 응용하는 자는 그 말〔辭〕을 숭상하고, 함에 응용하는 자는 그 변화〔變〕를 숭상하고, 기물器物을 만드는 데에 응용하는 자는 그 모양〔象〕을 숭상하고, 을 치는 데에 응용하는 자는 그 점괘〔占〕를 숭상한다.
길흉吉凶소장消長의 이치와 진퇴進退존망存亡가 말에 갖추어져 있으니, 말을 미루어 를 상고하면 변화變化를 알 수 있으니, 이 이 가운데에 들어 있다.
은 높여서 사용하는 것이다.
성인聖人이 붙이신 말씀(卦辭와 효사爻辭)이요, , 변화變化이다.
따위가 이것이요, , , 무구無咎 따위가 이것이다.
는 말의 법칙이므로 말하는 자는 그 말을 숭상하고, 은 동하는 때이므로 동하는 자는 그 변화를 숭상하며, 일을 형상하여 기물器物을 알므로 기물器物을 만드는 자는 그 모양을 숭상하고, 일을 점쳐 미래를 알므로 복서卜筮하는 자는 그 점괘를 숭상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비록 각각 숭상함이 있으나 길흉吉凶소장消長진퇴進退존망存亡의 《주역周易》의 큰 운용運用이 모두 말에 갖추어져 있다.
그러므로 말을 미루면 변화를 알 수 있으니, 이 모두 말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49-5 군자君子가 편안히 거처할 때에는 그 을 관찰하여 말(글)을 살펴보고 동할 때에는 변화變化를 관찰하여 점사占辭를 살펴보니,注+살펴보건대 ‘역유성인지도易有聖人之道’ 이하는 모두 에 중함을 돌린 것이다. 말(글)을 알고도 뜻을 통달하지 못하는 자는 있으나 말(글)을 알지 못하면서 뜻을 통달하는 자는 있지 않다.注+살펴보건대 의 뜻이다.
은 실컷 익힘이요 보는 것에 그칠 뿐만이 아니다.
은 볼 수 있으나 말(글)의 이치는 무궁하므로 반드시 그 말을 완습玩習하는 것이요, 은 볼 수 있으나 의 뜻은 무궁하므로 반드시 그 점사占辭완습玩習하는 것이다.
편안히 거처할 때에 을 보고 말을 완미玩味하면 운용運用을 각기 다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모두 말에 갖추어져 있으므로 반드시 말로 말미암아 그 뜻을 통달하는 것이다.
49-6 지극히 은미한 것은 이고 지극히 드러난 것은 이다.
(理)와 (象)이 근원根源이 하나요 드러남(象)과 은미함(理)이 간격이 없으니, 회통會通을 보아 전례典禮를 행하면注+계사전繫辭傳〉에 보인다.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가 모여있어 빠뜨릴 수 없는 곳을 이르고, 가 행할 만하여 막히는 곳이 없음을 이르니, 예컨대 푸줏간의 백정이 소를 해체解體할 적에 는 힘줄이 모인 곳이고 은 비어서 칼날이 잘 들어가는 곳이다.” 말에 갖추어지지 않음이 없다.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이치의 입장에서 보면 가 되고 이 되어 가운데에 이 들어 있으니 이는 근원根源이 하나인 것이요, 의 입장에서 보면 은 드러남이 되고 는 은미함이 되어 가운데에 가 들어 있으니 이는 간격이 없는 것이다.”
또 말씀하였다.
는 이치가 모여있는 것으로 말하였고, 은 일의 마땅함으로 말하였으니, 실제는 하나이다.”
또 말씀하였다.
“여러 가 모인 곳에는 곧 허다한 난이難易질애窒礙(막힘)가 있으니, 반드시 이 가운데에 통하는 곳을 얻어야 비로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전례典禮는 떳떳한 이다.”
49-7 그러므로 잘 배우는 자는 말(글)의 뜻을 찾기를 반드시 가까운 데에서 하니, 가까운 것을 쉽게 여기는 자는 말(진리)을 아는 자가 아니다.
내가 (註釋)하는 것은 말이니, 말로 말미암아 뜻을 아는 것은 사람에게 달려 있다.”
〈《이천선생문집伊川先生文集》에 보인다. 이하도 같다.〉
의 간격이 없으나 책을 보는 자가 반드시 거친 것으로 말미암아 정밀함에 도달하고 드러난 것에 나아가 은미함에 미루어서 백성의 떳떳한 성품과 일상생활하는 상도常道에 근본하여 궁신지화窮神知化묘리妙理를 다해야 하니, 가까운 것을 소홀히 하고 한갓 고원高遠한 것만을 힘써서는 안 된다.



근사록집해(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