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2)

근사록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1. 邢和叔
吾曹常須愛養精力이니 精力 稍不足則倦이라
所臨事 皆勉强而無誠意하니 接賓客語言 尙可見이어든 況臨大事乎
邢恕 字和叔이라
[張伯行 註] 言人之精力 須是愛惜保養이라야 凡事 方幹辦得來하야 承當得去
若不愛養而致不足이면 則於體有所不充하야 委靡廢弛 必至之勢
故臨事 只皆勉强支持하야 不能徹首徹尾하야 一意做到底리라
卽如接賓客時 精力 稍有不足이면 應對言語之閒 尙且散緩忽略하야 不能照管하리니 此其淺而可見者
況臨大事 安能配道義而塞天地乎
蓋精力 氣也 愛養精力 所謂養氣也
勉强無誠意 則志亦爲之累矣리라
世有以聲色臭味 日肆斧斤하야 憂傷病沮하야 坐致銷耗者하니 豈不可痛이리오
然則宜奈何
曰涵養主敬 最是愛養精力第一義니라


11. 형화숙邢和叔(邢恕)이 말하였다.
“우리들은 항상 모름지기 정력精力을 아끼고 길러야 하니, 정력精力이 조금만 부족하면 게을러진다.
그리하여 일을 당함에 모두 억지로 힘쓰고 성의誠意가 없으니, 빈객賓客을 대하여 말할 때에도 오히려 이것을 볼 수 있는데, 하물며 큰일을 당함에 있어서이겠는가.”
형서邢恕화숙和叔이다.
[張伯行 註] 사람의 정력精力을 모름지기 아끼고 보양保養하여야 모든 일을 비로소 주간主幹하여 담당할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만약 정력精力을 아끼고 기르지 않아서 부족하게 되면 몸에 충만하지 못한 바가 있어서 나약하여 중지하고 해이함이 반드시 이르게 마련이다.
그러므로 일을 당함에 모두 억지로 버틸 뿐이어서 철두철미하게 한 마음으로 끝까지 해내지 못한다.
예를 들면 빈객賓客을 대할 때에 정력精力이 조금이라도 부족하면 언어言語를 응대하는 사이에도 오히려 산만하고 소홀하여 제대로 살피지 못할 것이니, 이는 천근淺近하여 쉽게 볼 수 있는 것이다.
더구나 큰일을 당함에 어찌 도의道義배합配合되어 천지天地 사이에 충만할 수 있겠는가.
정력精力이니 정력精力을 아끼고 기르는 것은 이른바 양기養氣이다.
억지로 하고 진실한 뜻이 없으면 뜻도 얽매이게 된다.
세상에는 음악과 여색, 좋은 냄새와 맛으로 날마다 자신의 정력精力을 해쳐서 근심하여 손상하고 병들어 저상沮喪하여 가만히 앉아서 정력精力이 소모되게 하는 자가 있으니, 어찌 애통해 할 만하지 않겠는가.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함양涵養하여 을 주장하는 것이 정력精力을 아껴 기르는 방법 중에 가장 첫 번째의 뜻이다.



근사록집해(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