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2)

근사록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1-1 人心 作主不定 正如一箇翻車注+退溪曰 簡齋詩 荒村終日水車鳴이라하니 水車 卽翻車也 往者 國人漂到中原하야 見其制하고 來告朝廷하니 遂頒下八道 李相國賢輔 因其制而造試之하니라流轉動搖하야 無須臾停이니 所感萬端이라
若不做一箇主 怎生奈何注+按 猶言無如之何리오
張天祺昔嘗言 自約數年 自上著牀注+退溪曰 中原人 坐臥 必於床이라으로 便不得思量事注+退溪曰 張言止此라하니
不思量事後 須强把他這心來制縛이요
亦須寄寓在一箇形象이니 皆非自然이라
君實 自謂 吾得術矣로니 只管念箇中字라하니 此又爲中所繫縛이라
且中亦何形象注+程子曰 君實 常患思慮紛亂하야 有時中夜而作하야 達旦不寐하니 可謂良自苦로다 人都來多少血氣 若此 則幾何而不摧殘以盡也리오 又曰 中又何形이완대 如何念得也리오 只是於名言之中 揀得一箇好字 與其爲中所亂으론 却不如與一串數珠之愈也 夜以安身이요 睡則合眼이니 不知苦苦思量箇甚 只是不以心爲主니라 他日 又曰 君實近年 病漸較煞方得下也라하시니라이리오
張戩 字天祺
欲强絶思慮 然心無安頓處 司馬溫公 欲寓此心於中字하니 亦未免有所繫著이니라
朱子曰
譬如人家不自作主하고 却請別人求作主니라
21-2 有人胸中 常若有兩人焉하야 欲爲善인댄 如有惡以爲之間하고 欲爲不善인댄 又若有羞惡之心者하니 本無二人이니 此正交戰之驗也
持其志하야 使氣不能亂注+孟子公孫丑上篇 持其志오도 無暴其氣라하니라이면 此大可驗注+退溪曰 此 指交戰處言之 但交戰之驗 以事理言之 持其志以下 以做工夫言之 謂欲持志하야 使氣不能亂인대 則當就此交戰處하야 看其志果勝與否하야 以爲驗也니라이니 要之 注+退溪曰 要其歸而言之也컨대 聖賢 必不害心疾注+退溪曰 不爲心疾所害也 栗谷曰 害 恐當作患字意看이니라이니라
言應事處 有善惡交戰之患이니 亦是心無所主故也
苟能持守其志하야 不爲氣所勝이면 則所主者定이니 何有紛紜이리오


21-1 〈명도선생明道先生이 말씀하였다.〉
“사람 마음에 주장이 정해지지 않음은 바로 하나의 번차翻車(水車)注+퇴계退溪가 말씀하였다. “간재簡齋(陳義輿)의 에 ‘황폐한 마을에 종일토록 수차水車가 울린다.’ 하였으니, 수차水車는 곧 번차翻車이다. 지난번에 우리나라 사람이 표류하여 중국中國에 이르러서 그 제도를 보고는 와서 조정朝廷에 말하니, 마침내 이 제도를 팔도八道에 반포하였는데, 상국相國 이현보李賢輔가 그 제도를 따라 시험하여 만들었다.”가 돌고 동요하여 잠시도 정지할 때가 없는 것과 같아서 감응感應하는 바가 만 가지이다.
만약 하나의 주장을 세우지 않는다면 어떻게 무엇을 할 수 있겠는가.注+살펴보건대 즘생내하怎生奈何는 어쩔 수 없음〔無如之何〕이란 말과 같다.
장천기張天祺가 일찍이 말하기를 ‘스스로 몇 년 동안을 침상寢牀에 올라간注+퇴계退溪가 말씀하였다. “중국中國 사람들은 앉고 눕는 것을 반드시 평상에서 한다.” 뒤에는 일을 사량思量(생각하고 헤아림)하지 않겠다고 다짐하였다.’注+퇴계退溪가 말씀하였다. “장씨張氏의 말은 여기까지이다.” 하였는데,
일을 사량思量하지 않은 뒤에는 모름지기 저 마음을 억지로 잡아다가 제재하고 속박해야 할 것이요,
또한 모름지기 한 개의 형상形象에 붙여 두어야 할 것이니, 모두 자연스러운 것이 아니다.
군실君實(司馬光)이 스스로 말하기를 ‘내 한 가지 방법을 얻었으니, 다만 이 중자中字를 생각하는 것이다.’ 하였는데, 이 또한 에 얽매이고 속박당하는 것이다.
이 또한 무슨 형상形象이 있겠는가.注+정자程子가 말씀하였다. “군실君實이 일찍이 사려思慮분란紛亂함을 염려하여 때로 한밤중에 일어나서 아침에 이르도록 자지 않기도 하였으니, 참으로 스스로 괴롭게 하였다고 이를 만하다. 사람이 혈기血氣가 모두 얼마나 되겠는가. 이와 같이 한다면 얼마나 가서 혈기가 꺾이고 쇠잔하여 다 없어지지 않겠는가.” 또 말씀하였다. “이 또 무슨 형체形體가 있기에 어떻게 생각할 수 있단 말인가. 다만 명칭 가운데에 하나의 좋은 글자를 고른 것이니, 에게 어지럽힘을 당하기보다는 한 꿰미 염주를 세는 것이 낫다. 밤에는 몸을 편안히 하고 잠을 자면 눈을 감아야 하니, 괴롭고 괴롭게 무엇을 생각하는 것인지 모르겠다. 이는 다만 마음을 주장으로 삼지 않은 것이다.” 후일에 또 말씀하였다. “군실君實이 근년에 병이 점점 크게 줄어들었다.”
장전張戩천기天祺이다.
억지로 사려思慮를 끊고자 하나 마음이 편안히 머물 곳이 없을 것이요, 사마온공司馬溫公은 이 마음을 중자中字에 붙여 두고자 하였으니, 또한 얽매인 바가 있음을 면치 못한 것이다.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비유하건대 사람의 집에 자신이 스스로 주인主人이 되지 못하고 다른 사람을 청해다가 주인主人을 삼으려는 것과 같다.”
21-2 사람의 흉중胸中에 항상 두 사람이 있는 듯하여, 을 하려고 하면 이 그 사이에 끼어 있는 듯하고, 불선不善을 하려고 하면 또 수오羞惡하는 마음이 있는 듯하니, 본래 두 사람이 있는 것이 아니요, 이는 바로 이 서로 싸우는 징험이다.
뜻을 잘 잡아 지켜서 로 하여금 뜻을 어지럽히지 못하게 하면注+맹자孟子》〈공손추公孫丑 상편上篇〉에 “그 뜻을 잘 지키면서도 그 기운을 포악하게 하지 말라.” 하였다. 이것을 크게 징험할 수 있으니,注+퇴계退溪가 말씀하였다. “교전交戰하는 곳을 가리켜 말한 것이다. 다만 교전交戰하는 징험은 사리事理로 말하였고 지기지持其志 이하는 공부工夫를 하는 것으로 말하였으니, 뜻을 잡아지켜 가 어지럽히지 않게 하고자 한다면 마땅히 이 교전交戰하는 곳에 나아가서 그 뜻이 과연 이기는가의 여부를 보아 징험을 삼아야 한다.” 요컨대注+퇴계退溪가 말씀하였다. “요지要之는 그 귀결歸結을 요약하여 말한 것이다.”성현聖賢은 반드시 마음의 병에 해를 입지 않는다.”注+퇴계退溪는 “심질心疾에 해를 입지 않는 것이다.” 하였고, 율곡栗谷은 “는 마땅히 환자患字의 뜻으로 보아야 할 듯하다.” 하였다.
〔補註〕율곡栗谷은 ‘마음의 병을 근심할 것이 없다.’로 풀이하였다.
이는 사물事物에 응하는 곳에 이 서로 싸우는 근심이 있음을 말씀한 것이니, 이 또한 마음에 주장하는 바가 없기 때문이다.
만일 뜻을 잘 잡아 지켜서 에게 이김을 당하지 않게 한다면 주장하는 바가 정해지니, 어찌 분운紛紜함이 있겠는가.



근사록집해(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