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2)

근사록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5-1 晉之上九 晉其角注+程傳曰 角 剛而居上之物이라 上九以剛居卦之極이라 故取角爲象하니 以陽居上 剛之極也 在晉之上 進之極也 剛極則有强猛之過하고 進極則有躁急之失하니 以剛而極於進이면 失中之甚也 无所用而可 維獨用於伐邑이면 則雖厲而吉且无咎也 伐四方者 治外也 伐其居邑者 治內也 言伐邑 謂內自治也注+ 爲卦离在坤上하니 明出地上也 日出於地하야 升而益明故 爲晉이니 進而光明盛大之意也 剛而居上之物이니 上九以剛居卦之極故 取角爲象하니라이니 維用伐邑이면하나하고 無咎어니와이라하니 傳曰
人之自治 剛極則守道愈固하고 進極則遷善愈速이라
如上九者 以之自治 則雖傷於厲而吉且無咎也
嚴厲 非安和之道 而於自治則有功也
以陽居上하니 剛之極也 在晉之終하니 進之極也 剛進之極 動則爲過
惟可用之하야 以自伐其邑이니 伐邑 內自治也
以是自治 則守道固而遷善速이니 雖過於嚴厲 吉且無咎니라
5-2 雖自治有功이나 然非中和之德이라
所以貞正之道 爲可吝也니라
剛進之極 有乖中和하니 終爲疵吝이니라


5-1 진괘晉卦상구효사上九爻辭에 “뿔에 나아감이니,注+정자程子의 《역전易傳》에 이르기를 “뿔은 하면서 위에 있는 물건이다. 상구上九함으로 에 거하였다. 그러므로 뿔을 취하여 으로 삼았으니, 양효陽爻로 위에 있음은 함이 지극한 것이요, 진괘晉卦의 위에 있음은 나아감이 지극한 것이다. 함이 지극하면 강하고 사나운 허물이 있고, 나아감이 지극하면 조급한 잘못이 있으니, 함으로서 나아감에 지극하면 중도中道를 잃음이 심하다. 쓰는 곳마다 한 것이 없고, 오직 사읍私邑을 다스리는 데에 쓰면 비록 사나우나 하고 또 허물이 없는 것이다. 사방四方을 다스리는 것은 밖을 다스림이요 거주하는 고을을 다스리는 것은 안을 다스림이니, 읍을 다스린다고 말한 것은 안으로 스스로 다스리는 것이다.” 하였다.注+역전易傳》에 말하였다. “〈진괘晉卦는〉 됨이 위에 있으니, 밝음이 지상地上에 나오는 것이다. 해가 지상地上에 나와 올라가서 더욱 밝아지므로 이라 하였으니, 은 나아가서 광명光明하고 성대盛大한 뜻이다. 뿔은 하면서 위에 있는 물건이니, 상구上九양강陽剛으로 의 맨 위에 있으므로 뿔을 취하여 으로 삼은 것이다.” 오직 자신의 사읍私邑을 정벌하는 데 사용하면 너무 엄격하나 하고 허물이 없거니와 정도貞道엔 부끄럽다.” 하였는데, 〈이천선생伊川先生의〉 《역전易傳》에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사람이 스스로 다스림은 함이 지극하면 를 지킴이 더욱 견고하고 나아감이 지극하면 으로 옮겨감이 더욱 빠르다.
상구上九와 같은 자는 이로써 스스로 다스리면 비록 너무 엄격함에 하나 하고 또 허물이 없는 것이다.
엄려嚴厲는 편안하고 온화溫和가 아니나 스스로 다스림에는 이 있는 것이다.”
양효陽爻로서 에 거하였으니 함이 지극하고, 의 끝에 있으니 나아감이 지극한 것이니, 하고 나아감이 지극할 적에 동하면 지나침이 된다.
오직 이것을 써서 자기 사읍私邑을 정벌할 뿐이니, 사읍私邑을 정벌한다는 것은 안으로 스스로 다스리는 것이다.
이것으로써 스스로 다스리면 를 지킴이 견고하고 으로 옮겨감이 신속하니, 비록 엄려嚴厲함에 지나치나 하고 또 허물이 없는 것이다.
5-2 비록 스스로 다스림에는 이 있으나 중화中和이 아니다.
그러므로 정정貞正에는 부끄러울 만함이 되는 것이다.”
강하고 나아감이 지극함은 중화中和에 어그러짐이 있으니, 끝내 하자瑕疵(하자)와 부끄러움이 되는 것이다.



근사록집해(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