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2)

근사록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 孟子曰 事親 若曾子可也注+孟子離婁上篇 曾子養曾晳하실새 必有酒肉云云이라 若曾子則可謂養志也 事親 若曾子者可也라하니라라하사 未嘗以曾子之孝 爲有餘也시니 蓋子之身 所能爲者 皆所當爲也니라
〈易傳 下同〉
師卦九二傳이라
可者 僅足而無餘之稱이니 竭其所當爲 無過外也니라


2. 〈이천선생伊川先生이 말씀하였다.〉
맹자孟子가 말씀하시기를 ‘어버이를 섬기기를 증자曾子처럼 하는 것이 하다(괜찮다).’注+맹자孟子》〈이루離婁 상편上篇〉에 “증자曾子증석曾晳을 봉양할 적에 반드시 술과 고기가 있었다. …… 증자曾子와 같이 한다면 뜻을 봉양한다고 이를 만하니, 어버이 섬기는 것을 증자曾子와 같이 하는 것이 하다.” 하였다. 하시어 일찍이 증자曾子유여有餘(충분)하다고 여기지 않으셨으니, 자식의 몸에 할 수 있는 것은 모두 당연히 해야 할 바인 것이다.”
〈《역전易傳》에 보인다. 이하도 같다.〉
사괘師卦 구이효사九二爻辭이다.
하다는 것은 겨우 족하여 남음이 없는 명칭이니, 당연히 해야 할 바를 다하는 것이요 밖을 넘음이 없는 것이다.



근사록집해(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